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제도

진사과

제목 진사과
한자명 進士科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진사시(進士試), 사마시(司馬試), 소과(小科)
별칭•이칭

[정의]

조선 시대 때 진사(進士)를 선발하는 시험으로 생원과(生員科)와 함께 소과(小科)로 분류됨.

[내용]

진사과는 진사시(進士試)라고도 불렀다. 생원과와 함께 소과(小科) 또는 사마시(司馬試)라고도 했다. 주로 생원진사시라고 묶어서 불렀는데, 원칙적으로 두 시험은 따로 시행되었다. 진사과는 유교 경전에 관한 지식과 이해 정도를 평가했던 생원과와는 달리, 부(賦)와 시(詩) 등 문학적 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합격자에게는 진사의 지위를 부여했다.

생원과와 진사과 모두 지방과 한성에서 초시(初試)를 치르고, 통과한 이들이 다시 한성에서 복시(覆試)를 거쳐 최종 합격되는 방식은 동일하였다. 한 사람이 생원과와 진사과에 모두 응시할 수 있었고, 1년 동안 두 시험에 함께 응시하는 것도 가능했다. 두 시험에 모두 합격한 사람을 양시(兩試)라고 했다. 진사과는 3년마다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식년시(式年試)와 국가에 큰 경사가 있을 때 특별히 시행하던 증광별시(增廣別試)가 있었던 것도 생원과와 동일하였다.

진사과의 기본 목적은 시험에 합격한 이들에게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주고, 대과에 응시할 자격을 주는 것으로 시험에 합격했더라도 관직에 제수되지는 못했다. 관리에 임용되기 위해서는 대과에 응시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 원칙이 엄격하게 지켜진 것은 아니었고, 조선 후기로 갈수록 소과를 거치지 않고 문과에 합격하는 인원들이 증가하였다.

생원과와 진사과에 합격했지만 대과에 합격하지 못한 사람들은 생원과 진사의 지위를 유지하고 이 명칭으로 불렸다. 하지만 생원과 진사의 지위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은 양인(良人)들에 비해 높은 대우를 받았고 사회적 지위도 인정받았기 때문에 소과에 합격했다는 사실은 조선 사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조선 건국 초기에 진사과는 생원과보다 덜 중요하게 취급되었다. 생원과는 건국 직후부터 제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지만 진사과는 1395년(태조 4) 폐지되었다가 세종 대에 다시 시행되었다. 지역에 따라 규정된 선발 인원이 있었지만 조선 후기로 갈수록 선발 인원이 증가하였다.

▶ 관련자료

ㆍ사마시(司馬試)
ㆍ진사(進士)
ㆍ진사과(進士科)
ㆍ진사시(進士試)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