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창군(吉昌君) 권근(權近)
이 상서하였는데, 그 글에 이르기를, “신(臣) 근(近)이 장구(章句)에 매달린 말학으로 오랫동안 문한(文翰)의 직임을 욕되게 하여 은혜를 입은 바가 지나치게 두텁지만 일찍이 보답한 것이 없습니다. 그런데 이제 또 외람하게 유학 제조(儒學提調)가 되었으니, 어찌 감히 우둔한 재주를 다하여 문치(文治)의 만분(萬分)의 일을 돕지 않겠습니까? 그러하오나 신이 노쇠한 나이에 병이 많고, 정신이 혼미하며, 눈은 두루 보기에 어둡고, 기운은 강설(講說)하기에 피곤하여, 비록 힘을 다해 후학을 가르쳐 내고자 하여도 실로 감내할 수 없으므로, 이른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생각하니 전하의 위임하신 뜻을 저버릴까 두렵습니다. 삼가 권학(勸學)하는 사목(事目) 한두 조건을 갖추 기록하여 아뢰오니, 성상(聖上)의 재가(裁可)를 바랍니다.
'길창군(吉昌君) 권근(權近)' 관련자료
1. 문과(文科) 초장(初場)에 의의(疑義)
에 그치어, 아직 경학(經學)에 뛰어난 인재가 그동안 나오지 않고, 문재(文才)와 기상과 습속은 도리어 저하되고 좀스러워졌으니, 신이 항상 그렇게 된 까닭을 괴이하게 여겨서 이를 생각하고 헤아려 보았습니다. 문장을 짓는 것은 기(氣)로써 주장을 삼고, 기를 기르는 것은 뜻[志]으로 근본을 삼으니, 뜻이 넓으면 기가 웅대(雄大)해지고, 뜻이 좁으면 기가 용렬(庸劣)해지는 것은 당연한 형세입니다.
일종의 논술 시험
를 폐지하고 강론(講論)을 시험하였으니, 이것은 사장(詞章)의 도습(蹈襲)
선인의 의논이나 시문 또는 주장 등을 도용하여 자기 것으로 하는 것
하는 폐단을 억제하고, 되도록 경서를 궁리(窮理)한 실학(實學)의 선비를 얻자는 것으로 이는 참으로 아름다운 법입니다. 그러나 이 법을 행한 지 이제 벌써 몇 번의 과거
'과거' 관련자료
오늘날 배우는 자들은 경서의 뜻[經旨]을 헤아려 유사(有司)의 물음에 대답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그 뜻이 먼저 구두(句讀)와 훈고(訓詁)
자구의 해석
에 국한되어, 오로지 기억하고 외우는 것만 힘써서 입[口]에만 담으려 하니, 의리(義理)의 깊은 것과 문장(文章)의 법에는 힘을 쓸 여가가 없습니다. 또 한마디 말[一言]이라도 맞지 아니하여 배척을 받거나 쫓겨나면, 부끄러워 얼굴을 붉히고 두려워서 꺼려하여 그 기(氣)가 먼저 꺾이니, 이것이 곧 문장과 기사와 습속이 전체로 저하되고 좀스러워지는 까닭입니다. 바라옵건대, 지금으로부터 강론을 폐지하고 다시 의의(疑義)를 시험하되, 다만 경의(經義)
에 통하여, 심지(心志)가 너그럽고 넓어지며, 편안하고 한가롭게 널리 박람(博覽)하여 사기(辭氣)가 풍부하게 넓어지고, 문재(文才)가 진작(振作)하여 피어날 것입니다.
경서의 뜻
한 문제[一道]와 사서의(四書疑) 한 문제를 업(業)으로 하게 하여, 아울러 고려조의 예전 정식에 의거하도록 하십시오. 그리고 오경의(五經疑) 한 문제는 여러 경서에서 각각 내지 말고 사서의(四書疑)의 예와 같이 하여, 혹 한 경서만 행하기도 하고, 혹 다른 경서를 병합하기도 하여 마땅함에 따라 설문(設問)해서, 어떤 경의에서 나오는가를 먼저 알지 못하게 하십시오. 그러면 응시하는 자들이 모두 오경(五經)1)
1)
오경(五經) : 유교의 5가지 경전으로, 일반적으로는 『역경(易經)』⋅『서경(書經)』⋅『시경(詩經)』⋅『예기(禮記)』⋅『춘추(春秋)』를 말한다.
1. 문과 중장(中場)에서 시험하는 고부(古賦)는 초학(初學)의 선비가 지을 수 없는 것이고, 또 실제로도 쓸 데가 없으니, 익히지 않더라도 가(可)합니다. 바라옵건대, 고부를 폐지하고 논(論)
사물에 대한 논술
⋅표(表)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문장 형식의 하나
각각 한 문제[一道]와 판(判) 한 문제로 시험하소서. 1. 이문(吏文)
의 요무(要務)이니 중히 여기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지금 의학⋅역학⋅음양학⋅율학 등은 모두 과목이 있어도 오직 이것만은 없으니, 진실로 불충분한 법입니다. 바라옵건대, 고려조의 명경과(明經科)의 예에 따라 문과(文科)의 종장(終場)에 이문하는 선비를 아울러 시험하여, 정규 과거
와 동방(同榜)
와 달리 하게 하소서. 그리고 문과에 응시하는 자로서 이문까지 아울러 응시하고자 하는 자가 있거든 이를 들어주고, 정규 과거
내에 분수(分數)를 더하게 하소서.
조선 시대 중국과 교환하던 특수한 외교 문서
은 사대(事大)
'사대(事大)' 관련자료
'과거' 관련자료
같은 시기 합격자
으로 이름을 부르도록 허락하여 잡과(雜科)
'잡과(雜科)' 관련자료
'과거' 관련자료
1. 직책이 관각(館閣)2)
을 띠고 있는 문신과 한량문신(閑良文臣)3)
으로서 장차 임용할 만한 자는, 매월 5일마다 한 차례씩 예문관에 모이게 해서 서로 더불어 강마(講磨)
와 제조(提調)가 있는 곳에 나아가 품(稟)하게 하여, 그것들의 취사(取捨)를 책으로 만들게 하고, 대간
의 관원은 매월 그 근만(勤慢)을 조사하게 하소서.
2)
관각(館閣) : 홍문관(弘文館)⋅예문관(藝文館)의 통칭.
3)
한량문신(閑良文臣) : 일정한 직책이 없는 산관 문신(散官文臣)을 이르는 말.
학문을 갈고 닦음
하게 하소서. 그리고 무릇 글을 지을 일이 있으면 이들 모두에게 제술(製述)하게 하여 잘 된 것을 택하여 쓰고, 그 능하고 능하지 못한 것을 상고하여 승진⋅폄출(貶黜)
벼슬을 박탈하고 물리침
하도록 하소서. 한량문신도 재행(才行)과 근만(勤慢)을 살펴 예문관으로 하여금 천거하여 등용하게 하고, 직관(直館) 이상의 관원은 매일 『동인시문(東人詩文)』 중 약간 편(篇)을 뽑아서 그 하관(下官)을 시켜 의정부
'의정부' 관련자료
'대간' 관련자료
1. 삼관(三館)
으로 서용(敍用)하소서.
홍문관⋅예문관⋅교서관
의 여러 인원은 유학 제조(儒學提調)로 하여금 매월 한 번씩 그들이 읽은 경사(經史)의 여러 글들을 조사해서 그 이름을 기록해 치부(置簿)하게 하소서. 그리고 연말에 질(秩)이 차서 옮기게 될 때, 그들이 읽은 경서의 많고 적은 것을 함께 써서, 상등인 자는 차례를 뛰어 넘겨 청요(淸要)한 벼슬에 두고, 중등인 자는 전례에 따라 천질(遷秩)
벼슬을 옮김
시키고, 하등인 자는 외임(外任)
'외임(外任)' 관련자료
1. 『소학』의 글은 인륜⋅세도(世道)에 매우 긴밀하고 절실한 것인데, 오늘날의 학자는 모두 익히지 않으니 심히 불가합니다. 지금부터 경중(京中)과 외방(外方)의 교수관(敎授官)은 생도들에게 먼저 이 글을 강한 연후에 다른 글을 배우도록 허락하게 하고, 생원시
에 응시하여 태학(太學)에 들어가고자 하는 자는 성균 정록소(成均正錄所)로 하여금 먼저 이 글에 대한 통과 여부를 상고하게 하여 응시하도록 허락하고, 길이 항식(恒式)을 삼으소서.
'생원시' 관련자료
1. 고려 때는 외방에 있는 한량유신(閑良儒臣)이 개인적으로 서재를 두어서 후진을 교육시킴으로써, 스승과 생도가 각기 편안함을 얻어서 그 학업을 이루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에는 사유(師儒)가 간혹 다른 고을[州]의 교수(敎授)가 되어, 가족과 떨어지게 되고 생업을 폐하게 되므로, 모두 구차스럽게 피하려고 합니다. 또한 생도는 강제로 향교
에 나오게 하여 편안히 공부를 하지 못하게 할 뿐 아니라 수령이 혹은 서사(書寫)의 일로써 사역을 시키니, 이름은 권학(勸學)이라 하지만 실제는 폐하거나 해이해지는 것이 많습니다. 이제부터는 외방(外方)에 있는 유신(儒臣)이 개인적으로 서재를 두고 교육시키는 자는 감히 다른 고을[州]의 교수로 정하지 말도록 하고, 생도도 강제로 향학(鄕學)
에 나오게 하지 말도록 하며, 감사
와 수령이 권면(勸勉)을 가하여, 각기 편안히 살면서 강학(講學)하여 풍화(風化)를 돕게 하소서.
'향교' 관련자료
'향학(鄕學)' 관련자료
'감사' 관련자료
1. 시장(詩章)으로 창화(唱和)하는 것은 유자(儒者)의 하찮은 재주이기는 하지만, 또한 인재(人材)의 성쇠(盛衰)에 관계되오니, 이를 편벽되게 폐할 수 없고, 또 성정(性情)을 노래하면 감흥이 흥기(興起)하는 바가 있으니, 곧 예전에 주자(胄子)
가 있고, 밖에는 도회(都會)
대를 잇는 맏아들
를 전악(典樂)
음악을 관장하던 관직
이 영가(詠歌)로써 가르치던 것에서 유래된 뜻입니다. 고려 때 안에는 구재(九齋)4)
4)
구재(九齋) :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부터 있던 성균관(成均館)
의 경학(經學)을 공부하던 재(齋). 오경사서재(五經四書齋)로서 역재(易齋)⋅서재(書齋)⋅시재(詩齋)⋅춘추재(春秋齋)⋅예재(禮齋)의 오경재(五經齋)와 논어재(論語齋)⋅중용재(中庸齋)⋅맹자재(孟子齋)⋅대학재(大學齋)의 사서재(四書齋) 등을 말한다.
'성균관(成均館)' 관련자료
지방에서 행하는 향시
를 두어서, 매양 여름에는 시를 짓는 것으로 과업을 삼고, 동당감시(東堂監試)
국자감시
에서도 또한 시로써 시험하였는데, 지금은 모두 폐지하고 오직 경술만 힘써서, 끝은 버리고 근본으로 향하니 아름다운 법이라 하겠습니다. 그러나 지금 유자(儒者)가 비록 경서에 통하였다고 하더라도 문장에 뛰어난 재주가 적고, 시험에서도 많이 잘하지 못하니, 대개 두 가지를 다 잃어버린 것입니다. 만일 중국의 사신이 사명(使命)을 받들고 와서 서로 더불어 창화(唱和)한다면, 어찌 웃음거리가 되지 않겠습니까? 바라옵건대, 이제부터는 시산(時散)
와 수령이 학문을 점검할 때도 또한 시를 짓게 하여, 그 능한 자를 표창해서 권면(勸勉)을 가하소서” 하였는데, 그대로 따랐다.
현직 관리와 품계만 있는 관리
의 문신 3품 이하를 매년 봄과 가을의 중월(仲月)에 예문관에 모아서, 관각(館閣)의 제학(提學) 이상이 제목을 내어 시를 짓게 하여서 그 능하고 능하지 못한 것을 상고하여 이름을 갖추어서 아뢰어 서용(敍用)에 참고하소서. 그리고 중외(中外)의 학교에서 매년 봄과 가을의 계월(季月)
일 년 가운데 마지막 달
에 다시 과시(課詩)의 법을 행하고, 감사
'감사' 관련자료
『태종
'태종' 관련자료
- 오경(五經) : 유교의 5가지 경전으로, 일반적으로는 『역경(易經)』⋅『서경(書經)』⋅『시경(詩經)』⋅『예기(禮記)』⋅『춘추(春秋)』를 말한다.
- 관각(館閣) : 홍문관(弘文館)⋅예문관(藝文館)의 통칭.
- 한량문신(閑良文臣) : 일정한 직책이 없는 산관 문신(散官文臣)을 이르는 말.
- 구재(九齋) :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부터 있던 성균관(成均館)
'성균관(成均館)'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