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 살펴보건대, 하늘의 이치가 사람에게 부여된 것을 성(性)이라 이르고, 성(性)과 기(氣)를 통합해서 한 몸에 주재하는 것을 심(心)이라 이르고, 마음이 사물에 응접해서 바깥에 발현된 것을 정(情)이라고 이르니, 성은 곧 심의 본체이고 정은 심의 작용이며, 심은 바로 발현되지 않은 것과 이미 발현된 것을 총괄한 명칭이다. 그러므로 심통성정(心統性情)이라고 말한 것이다.
성(性)의 항목에는 다섯 가지가 있으니, 인⋅의⋅지⋅예⋅신(仁⋅義⋅禮⋅智⋅信)이고, 정(情)의 항목에는 일곱 가지가 있으니, 희⋅노⋅애⋅구⋅애⋅오⋅욕(喜⋅怒⋅哀⋅懼⋅愛⋅惡⋅欲)이다. 정(情)의 발현됨에는 또한 도의(道義)를 위해서 발현되는 것이 있으니, 자기의 어버이에게 효도하고 싶어 함과, 자기 임금에게 충성하고 싶어 하는 것과,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는 것을 보면 측은해함과, 옳지 않은 것을 보면 부끄러워하고 미워함과, 종묘
를 지나면 공경하는 마음을 갖는 것과 같은 것들이 여기에 해당하며, 이것을 곧 도심(道心)이라 이른다. 또 이목구비와 몸을 위해서 발현되는 것이 있으니, 배고프면 먹으려고 함과, 추우면 입으려고 함과, 수고로우면 쉬려 함과, 정력이 성하면 남녀 관계를 생각함과 같은 것들이 여기에 해당하며, 이것을 곧 인심(人心)이라고 이른다.
'종묘' 관련자료
이기(理氣)는 서로 섞이고 융합되어 있어서 원래 서로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심(心)이 움직여서 정(情)이 될 때 발현시키는 것은 기(氣)이고 발현되는 원인은 이(理)이니, 기(氣)가 아니면 발현될 수 없고, 이(理)가 아니면 발현될 바가 없다. 어찌 이발기발(理發⋅氣發)의 다름이 있겠는가. 단지 도심(道心)은 비록 기(氣)에서 떠나지 못하나, 그것의 발현됨은 도의(道義)를 위해서 발현된 것이기 때문에 성명(性命)에 속한 것이고, 인심(人心)은 비록 또한 이(理)에 근본을 했지만, 그것의 발현됨은 이목구비(耳目口鼻)와 몸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형기(形氣)에 속한 것일 뿐이니, 사방 한 치 되는 심장 속에는 처음부터 두 개의 마음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단지 발하는 곳에 이 두 가지 단서가 있기 때문에, 도심(道心)을 발현시키는 것은 기(氣)이지만 성명(性命)이 아니면 도심(道心)이 나올 수 없고, 인심(人心)의 근원은 이치이지만, 형기(形氣)가 아니면 인심(人心)이 나오지 않는 것일 뿐이다. 이것이 혹 근원하고 혹 생겨나서 공(公)과 사(私)의 다름이 있게 되는 이유이다.
도심은 순수한 하늘의 이치이기 때문에 착함은 있지만 악함은 없고, 인심은 천리가 있고 사람의 욕심이 있기 때문에 착함도 있고 악함도 있다. 예를 들면 마땅히 먹어야 할 때 먹음과, 마땅히 입어야 할 때 입음과 같은 것은 성현도 면치 못하는 것이니, 이것이 하늘의 이치이고, 음식과 여색의 생각으로 인해 흘러가서 악함을 행함은 이는 사람의 욕심이다. 그러므로 도심은 단지 지키면 되는 것이지만, 인심은 사람의 욕심으로 흐르기 쉽기 때문에, 비록 착하다 하더라도 또한 위태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마음을 다스리는 사람이 하나의 생각이 발현될 때 그것이 도심임을 알면 그것을 확충시키고, 그것이 인심임을 알면 정밀하게 살펴서, 반드시 도심으로 절제해서, 인심이 항상 도심의 명령을 듣도록 하면, 인심이 또한 도심이 될 것이니, 어떤 이치를 보존치 못할 것이며 어떤 욕심인들 막지 못하겠는가?
진서산(眞西山)
송나라 이종(理宗) 때 학자인 진덕수(眞德秀, 1178~1235)
이 천리와 인욕(人欲)을 지극히 분명하게 논설했으니, 배우는 사람의 공부에는 매우 유익한 점이 있다. 그러나 인욕을 전적으로 인욕으로만 돌려서 하나같이 이기고 다스리는 데만 뜻을 두었을 뿐이니, 여기에 미진한 점이 있는 것이다. 주자께서 이미 말씀하시기를 ‘비록 최상의 지혜라도 인욕이 없을 수 없다’고 하셨으니, 이는 성인도 또한 인심이 있음이라. 어찌 모두를 인욕이라고 이를 수 있겠는가? 이것으로 본다면 칠정은 곧 인심과 도심의 착하고 악함을 총체적으로 이름한 것이다. 그러므로 맹자께서 칠정가운데 선한 것을 골라내어 사단으로 지목하셨으니, 사단은 곧 도심과 인심 중의 착한 마음이다. 사단에 신(信)을 말하지 않은 것은 것 대해, 정자(程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이미 성심(誠心)이 있어 사단이 되었다면 신이 그 속에 있다’고 하셨으니, 아마도 다섯 성품 중에 신은 오행의 토(土)와 같아서 정해진 방위가 없고, 전적으로 사용하는 기운도 없이 사시(四時)에 붙어서 왕성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논하는 사람들이 혹 사단으로 도심을 삼고 칠정으로 인심을 삼으니, 사단은 참으로 도심이라고 이를 수 있겠지만, 칠정은 어찌 단지 인심이라고만 할 수 있겠습니까? 칠정 외에는 다른 정이 없으니, 만약 인심뿐이라고 치우치게 가리켜 말했다면 이는 그 반절만 들고 그 반절은 빠뜨린 것이다. 자사(子思) 선생님께서 중용(中庸)에서 칠정의 발현되지 않은 것을 중(中)이라 이르시고, 이미 발현된 것을 화(和)라 이르시어, 성정(性情)의 전체의 덕을 논하시면서 단지 칠정만을 열거하셨으니, 어찌 치우치게 인심만을 열거했을 리가 있겠습니까? 칠정 속에 인심 도심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분명히 의심할 것이 없는 것이다. 성은 심에 갖추어 있고 발현되면 정이 되니, 성이 이미 본래 착하다면 정 또한 마땅히 착하지 않음이 없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정이 혹 착하지 못함이 있음은 어째서입니까? 이는 본래 순수하고 착하지만 기에 맑고 흐림이 있기 때문이니, 기라는 것은 리를 담는 그릇이다. 심이 발현되지 않았을 때는 기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가운데 있는 본체가 순수하고 착하고, 심이 발현됨에 미치게 되면 착하고 악함이 비로소 나누어지게 되는 것이니, 착한 것은 맑은 기운이 발현된 것이고 악한 것은 흐린 기운이 발현된 것이다. 그렇지만 그 근본은 단지 천리일 뿐이다.
정 중에서 착한 것은 맑고 깨끗한 기를 타서 천리를 따라 바로 나와 그 중(中)을 잃지 않으니, 그것이 인의예지의 단서가 됨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사단으로 지목한 것이고, 정 중에서 착하지 못한 것은 비록 또한 이치에 근본을 했지만, 이미 더럽고 탁한 기운에 가리고 막힌 바가 되어서 그 본체를 잃고 옆으로 나오고, 혹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해서, 인에서 근본을 했지만 도리어 인을 해치고, 의에서 근본을 했지만 도리어 의를 해치고, 예에서 근본을 했지만 예를 해치고, 지(智)에서 근본을 했지만 도리어 지를 해치게 된다. 그러므로 사단이라고 이를 수 없는 것이다.
주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인의예지신이 느껴 움직임에 착하고 악함이 나누어진다’고 하셨고, 程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착하고 악함은 모두 천리이다’라고 하셨고, 주자께서는 말씀하시기를 ‘천리로 인해서 인욕이 있는 것이다’라고 하셨으니, 모두 이와 같은 뜻이다. 지금의 학자들은 착하고 악함이 기의 맑고 흐림에 말미암은 것임을 알지 못해서 그 학설을 구하다가 얻지 못했다. 그래서 곧 이의 발현된 것을 착함으로 삼고 기의 발현된 것을 악함으로 삼아서, 이기가 서로 떨어지게 하는 잘못을 했으니, 이것이 밝지 못한 이론이다. 신이 어리석고 참람됨을 헤아리지 못하고 삼가 왼쪽과 같이 그림을 그려 올립니다.
『율곡전서』권14, 설, 인심도심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