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국사교과서Ⅴ. 사회 구조와 사회 생활4. 근대 태동기의 사회[2] 향촌 질서의 변화

양반의 향촌 지배 약화

경제의 변동과 신분제의 동요 속에서 사족 중심의 향촌 질서도 변화하였다. 평민천민 중에 재산을 모아 부농층으로 등장하는 사람도 있었으며, 양반 중에는 토지를 잃고 몰락하여 전호가 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임노동자로 전락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향촌 사회 내부에서 양반이 지녔던 권위도 점차 약해졌다.

양반은 군현을 단위로 농민을 지배하기 어렵게 되자, 촌락 단위의 동약을 실시하거나 족적 결합을 강화함으로써 자기들의 지위를 지켜 나가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전국에 많은 동족 마을이 만들어지고, 문중을 중심으로 서원, 사우가 많이 세워졌다.

향촌 사회에서 종래까지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양반은 새로 성장한 부농층의 도전을 받았다. 경제력을 갖춘 부농층은 수령을 중심으로 한 관권과 결탁하여 향안에 이름을 올리는가 하면, 향회를 장악하여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을 키우려 하였다. 부농층은 종래의 재지 사족이 담당하던 정부의 부세 제도 운영에 적극 참여하였으며, 향임직에 진출하거나 기존 향촌 세력과 타협하면서 상당한 지위를 확보하여 갔다. 그러나 향촌 지배에 참여하지 못한 부농층도 여전히 많았다.

부농

조선 후기에 등장한 부농층을 당시에 요호부민(饒戶富民)으로 불렀다. 이들은 자기의 전지를 소유하고 지방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향임직(鄕任職)

향촌에 있는 향청(유향소)에서 일을 보는 사람이나 그 직책을 말한다.
사우(충북 청원)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