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조선
  • 신유박해

신유박해

천주교 박해가 시작되다

1801년(순조 1)

신유박해 대표 이미지

배론성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1 조선 후기 천주교의 확산

1801년(순조 1) 신유박해는 조선 정부가 천주교인들에게 가한 대규모 탄압이었다. 사실 천주교가 조선에 소개된 것은 17세기 초반이었다. 이때 명의 수도인 베이징에서 유럽인 가톨릭 선교사들이 활동을 시작하면서 매년 베이징에 방문하였던 조선 사신들이 이들 선교사를 통해 서양 관련 서적과 기물 등을 들여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선에서 천주교가 종교로써 곧바로 기능한 것은 아니었다. 조선 지식인들의 관심은 철저하게 서양 과학 기술에 있었으며 천주교가 학문적 대상으로 인식된 것은 18세기의 남인(南人) 실학자들에 의해서였다.

그런데 18세기 후반, 천주교의 전파 속도가 급속히 빨라졌다. 천주교를 학문의 대상으로 인식하였던 기호남인계 일부에서 천주교를 신앙으로 수용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784년 이승훈(李承薰)의 세례를 계기로 천주교 신자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다시 전교 서적의 유입을 부채질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1780년대 중반에 들어오면서 양반층들이 관련된 천주교 사건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으며 1791년(정조 15) 신해박해(辛亥迫害), 이른바 진산사건이 일어났다. 이것은 조선 사회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성리학적 예 질서를 수호해야 할 양반층인 윤지충(尹持忠)과 권상연(權尙然)이 제사를 폐하고 신주를 불사름으로써 성리학적 질서를 정면으로 거부하였다는 점에서, 집권층은 이를 곧 체제 자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당시 국왕이었던 정조[조선](正祖)는 진산사건에 대한 처결을 윤지충과 권상연의 사형으로 마무리하여, 이것을 천주교도에 대한 대대적인 박해의 발단으로 삼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정조는 정학(正學)을 밝힘으로써 사학(邪學)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서학에 대한 강경한 대응은 피하였던 것이다.

2 천주교 박해의 심화

문제는 정조 사후에 발생하였다.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한 순조(純祖)를 대신하여 정순왕후(貞純王后)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자, 경주 김씨와 노론 벽파(僻派)세력은 정국을 일당전제의 정치형태로 전환하고자 했다. 대왕대비는 1800년(순조 즉위) 12월 18일 정조가 내세웠던 의리를 재해석하였다. 특히 대왕대비는 여기서 영조(英祖)가 내렸던 사도세자(思悼世子)에 대한 처분이 부득이했음을 강조하고 그에 반대되는 의견을 수용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천명했다. 이는 벽파의 의리를 공식적으로 천명한 것이며, 이후 정국이 벽파를 중심으로 전개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1801년(순조 1) 1월, 대왕대비가 ‘사학(邪學)’에 대한 토벌을 공식적으로 지시하면서 본격적인 신유박해가 시작되었다. 대왕대비는 ‘정학이 밝아지면 사학은 저절로 종식될 것’이라는 정조의 처분을 강조하면서도 내수(內修)와 외양(外攘)을 겸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우며 패륜의 사학도(邪學徒)를 철저히 소탕하도록 지시했다.

2월 사간 박서원(朴瑞源)이 사학의 교주를 체포하고, 사학도를 극형으로 다스리기를 요청하자, 집권세력은 사학을 금지하고 사학의 무리를 소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논의했다. 그 결과 정조 대 사학에 대한 교화 위주의 정책을 ‘사람을 살리기 좋아하는 성덕’으로 평가하였지만, 사학에 대한 철저한 탄압과 사학의 무리에게 일벌백계의 극형을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실행에 옮겼다.

이후 천주교의 지도급 인물들인 권철신(權哲身), 이승훈, 정약종(丁若鍾), 홍낙민(洪樂敏), 최창현(崔昌顯), 최필공(崔必恭), 이존창(李存昌), 유항검(柳恒儉) 등이 모두 처형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남인세력 역시 중앙정계에서 재기 불능의 타격을 입었고, 그밖에 그들과 연결될 가능성이 있는 인물들도 함께 제거되었다.

3 신유박해의 목적 - 정치적 탄압

정조 때 탕평정국 아래서 정치적 위치를 확보했던 남인 세력은 사도세자 문제에 있어서 정조의 입장을 뒷받침했다. 또한 이들은 바로 서학을 주도적으로 받아들인 집단이었다. 때문에 신유박해는 천주교도 박해와 더불어 남인세력 제거라는 정치적 목적도 띄고 있었다. 남인 세력은 정조를 도와 주요한 여러 개혁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던 반면 노론(老論) 벽파는 노비제도, 토지제도 개혁 등 정조의 다양한 개혁정책에 반대하였다. 이러한 대립은 벽파 집권 직후에 일어난 1801년(순조 1) 신유박해가 단순한 종교적 탄압뿐만 아니라 정치적 정적 제거의 수단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었음을 암시한다.

실제로 신유박해 때 희생된 사람들 가운데 정조대에 개혁을 주도한 남인 세력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집권 세력은 정조대에 대립했던 남인세력에 대해 서학 탄압을 명분으로 철저히 제거했다. 이런 집권 세력의 정치적 의도는 채제공(蔡濟恭)의 추탈관작 논의에서 잘 드러난다. 1801년(순조 1) 2월 9일 삼사에서는 이가환(李家煥), 이승훈, 정약용(丁若鏞)을 탄핵하면서, ‘조정을 위협하고 흉계를 은밀히 도모했다.’는 이유로 채제공의 추탈관작을 요청하기 시작했다.

신유박해가 진행되는 기간에 끊임없이 계속된 채제공에 대한 공격은 점차 서학과 관련지으려는 경향이 짙어졌다. 집권 세력은 처음에는 홍낙임(洪樂任) 일파로, 나아가 서학의 비호 세력으로, 급기야 서학의 우두머리로까지 지목하면서 채제공에 대한 공격에 박차를 가했다.

3월 13일 주문모 신부가 자수하자 천주교에 대한 탄압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장령 홍광일(洪光一)은 이승훈 부자가 요서(妖書)를 가지고 온 책임은 채제공에게 있다며, 그를 사학의 비호세력이라고 탄핵했다.

한편 유항검의 ‘대박청래(大舶請來)’사건이 정국의 현안으로 대두되자 채제공을 사학과 연루시키는 공격은 한층 강화되었다. 대사간 정동관(鄭東觀) 등은 채제공이 사학을 비호했을 뿐만 아니라, ‘대박청래’사건과도 연루되어 있다고 비판했다. 황사영(黃嗣永)이 체포된 이후부터는 채제공과 서학의 연루설이 더욱 구체화되었다. 사간 이동식(李東埴)은, 황사영의 백서 사건은 채제공을 위한 것으로서, 이가환, 권철신이 심복이 되고, 유항검, 황사영이 그의 부하가 되었으며, 이승훈, 정약종이 그의 보좌관이 되고, 이학규(李學逵), 신여권(申與權) 등이 그의 행렬이 되어 다른 나라와 내통한 역모를 꾸민 것이라고 공격했다.

마침내 대왕대비는 12월 18일 채제공에 대한 추탈관작 전교를 내리고, 토역반사문(討逆頒赦文)에 채제공의 죄상을 추가토록 했으며, 다음날 채제공에게 내렸던 고신(告身)을 거두어 불태워버렸다. 이어 12월 22일 ‘토역반사문’이 반포되면서 신유박해는 일단락되었다.

그리고 이가환은 사학의 괴수로 지목을 받아 심문을 받다 장살 당하였고, 이기양(李基讓) 역시 사학 괴수로 지목을 받아 심문을 받은 후 단천으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사망하였으며, 정약용과 정약전(丁若銓)도 천주교 신자로 체포되어 심문을 받은 뒤 강진과 흑산도로 각각 유배되었다. 그러나 채제공과 함께 이가환·정약용·정약전은 당시 천주교를 믿지 않았다. 이기양은 천주교인들과 가까웠으나 공초에서 천주교인이라는 증거가 드러난 바가 없었으며, 이가환의 경우 천주교 서적에 많은 관심이 있었지만 천주교를 믿지는 않았다. 또 정약용과 정약전도 한때 천주교를 믿었으나 신해박해 이후로 배교하고 천주교를 믿지 않았다. 이밖에도 오석충(吳錫忠), 이유수(李儒修), 이치훈(李致薰) 등 많은 남인 계열 인물들이 당시 천주교를 믿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학에 연루되어 심문을 받고 유배되거나 관직에서 쫓겨났다. 이런 과정 속에서 남인 계열의 주도로 이룩된 개혁의 주요한 성과들도 신유박해를 전후로 하여 대부분 폐기되었다.

집권 세력이 거의 만 1년을 끌어온 신유박해의 목표 가운데 하나는 정조대 자신들과 대립관계에 있었던 시파(時派), 남인 세력의 제거였다. 그리고 그 중심에 채제공의 추탈관작 문제가 있었다. 이와 더불어 정순왕후 및 벽파세력과 대립적 위치에 있던 홍봉한(洪鳳漢)의 아들이자 정조의 친어머니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의 동생인 홍낙임(洪樂任)과 사도세자의 아들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인 은언군(恩彦君) 이인(李裀)을 제거하는 데 신유박해가 이용되었다.

주문모 신부의 자수를 계기로 천주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면서, 벽파 집권 세력은 홍낙임을 서학의 배후로 몰아 공격했다. 3월 교리 윤우열(尹羽烈)은 홍낙임을 채제공 등 역적의 근원이라고 비난하면서, 이들이 사학과 결탁해 나라에 재앙을 가져올 것이라며 신속한 처벌을 요청했다. 한편 3월 들어 은언군 이인도 서학의 배후로 지목받기 시작했다. 은언군의 처 송씨와 그의 며느리 상계군 이담(李湛)의 처 신씨가 영세를 받고, 주문모 신부를 숨겨준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결국 홍낙임과 은언군 이인은 흉악한 역적의 괴수이며 사악한 무리의 우두머리라는 죄목으로 5월 사사(賜死) 당하였다. 집권세력과 대척점에 있었던 홍낙임, 은언군 제거와 함께, 정조의 의리를 받들어 탕평체제를 유지하고자 했던 인물인 윤행임(尹行恁) 역시 신유박해 과정에서 제거되었다. 윤행임은 벽파의 의리론을 비판하면서 자신을 정조의 정책을 추진하는 주체로 설정하고 정치적 입지를 굳히려고 하였다. 그러자 집권 벽파 세력은 이를 막기 위해 그를 서학의 배후로 지목하여 제거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신유박해는 정적을 제거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천주교 신앙을 중심으로 현실 체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세력에 의해 광범위하게 확산된 종교운동을 탄압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었다는 사실 역시 간과할 수는 없다.

4 신유박해의 목적 - 반체제 종교의 탄압

천주교가 확산되었던 18세기 말, 19세기 초는 사회경제적 변동이 급격하게 일어나면서 기존 체제에 대한 저항도 점차 확대되고 있었다.

실제로 6~7년 사이 천주교 신도수의 증가 추세는 정부의 공식적인 금압조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금하면 금할수록 널리 퍼져나가며, 씨앗이 떨어져 또 다른 씨앗을 내듯” 한결같이 번져나갔다.

신유박해 당시 신도들 신분은 상당수가 몰락 양반 출신이거나 중인층이었다. 이들은 봉건체제에 대해 비판하는 과정에서 교회에 접근하고 있었다. 천주교인들은 조상 제사 거부, 신분 질서 무시, 왕권과 친권(親權)의 상대화 등 체제 거부적인 태도를 보였다. 전통사회를 지키고자 했던 집권층과 새로운 사상인 서학을 신봉하였던 천주교도 자신들 모두 서학을 사회변혁 이념으로 생각했다. 천주교도들은 1791년(정조 15) 신해박해 이후 점차 깊은 산골짜기 등으로 숨어들어가 신앙공동체를 형성하고, 경당(經堂)에 모여 그들의 이념을 실천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천주교 신앙운동은 이상향을 추구하던 민중들의 염원을 담아 새로운 시도를 도모했다. 즉 서양의 선박을 불러와 천주교의 자유로운 포교를 달성하려고 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정감록의 변혁사상과 같이 봉건 사회 말기에 나타난 민중의 희원이 담겨 있었고, 이것이 천주교 신앙의 구원사상 내지는 서양 선박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과 결부된 측면이 있었다.

조선 정부는 이러한 민중의 동요 현상에 대해 위기의식을 갖고 적극적 대응 방안을 도모했다. 서학을 믿는 사람들을 ‘어버이도 없고 임금도 없는’ 인륜을 무너뜨리려는 금수 이적이자 중세체제의 기본질서를 뒤흔드는 무리로 인식했다. 게다가 집권 세력의 눈에는 황사영 등의 서양 선박을 불러오려는 시도가 ‘바다 건너 도둑놈을 불러와 문을 열어주고 나라를 바치려 한 흉악한 음모’로 인식되었다.

정부에서는 전통질서를 강화하려는 방안을 다양하게 강구했다. 그리고 서학집단을 철저히 소탕하고, 나아가 이들과 일반 민인을 격리하려는 대책 마련에 부심했다. 먼저 서학도의 체포를 독려하고, 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오가작통제(五家作統制)나 호패법(號牌法)을 강화했다.

서학도를 격리시키는 현실적인 방법으로 천주교인들을 외딴 섬으로 귀양 보내 격리시키는 방안이 논의되었다. 하지만 이 방안도 이들이 섬 주민을 선동하여 흉악한 역모를 꾸미고 외국과 연락할 가능성이 크며 나아가 그 수가 불어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철회되었다.

결국 체포한 천주교도를 큰 고을에는 서너 사람, 작은 고을에는 한두 사람 씩 귀양 보내 수령으로 하여금 특별 관리토록 했다.

결국 신유박해의 배경에는 집권 세력의 정적제거이자 정조 시대의 개혁에 대한 반동이라는 측면 외에 중세체제의 모순에 저항하며 동요하는 민중에 대한 적극적 탄압이라는 측면도 있었다. 신유박해 당시에 희생된 사람은 처형 100명, 유배 400명 등 도합 500여 명에 달했다고 한다. 이것은 천주교 선교에도 커다란 타격이 되었다. 하지만 살아남은 천주교인들은 깊은 산중을 중심으로 교우촌을 형성하여 더 넓은 지역으로 교세를 확산시켰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