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고려
  • 길재

길재[吉再]

한 하늘 아래에서 두 왕조를 섬기지 않은 절의의 선비

1353년(공민왕 2) ~ 1419년(세종 1)

길재 대표 이미지

금오서원

국가문화유산포털(문화재청)

1 개요

길재(吉再)는 고려 1353년(공민왕 2)에 출생하여 1419년(세종 원년)에 서거한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자이자 문신이다. 자는 재부(再父), 호는 야은(冶隱) 또는 금오산인(金烏山人)이며, 고려 말의 유종(儒宗)으로 평가받던 이색(李穡)의 문인이다. 고려 왕조의 명운이 다할 것을 예견하여 일찌감치 벼슬을 버리고 은둔생활을 하였기에 정치적으로 그가 세운 업적은 많지 않으나, 패망해가는 고려에 대하여 절의를 지켰던 그의 삶은 조선 왕조 지식인들에게 큰 감명을 남겼다. 오늘날 학자에 따라 그를 빼고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을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로 길재는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목은(牧隱) 이색과 함께 삼은으로 통칭되며 충의(忠義)의 화신으로 인식되고 있다.

2 가계와 성장배경

길재는 1353년(공민왕 2) 경상도 선산(善山) 봉계리(鳳溪里)에서 길원진(吉元進)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증조부는 성균관 생원(生員)이었던 길시우(吉時遇)이며, 조부는 산원동정(散員同正) 길보(吉甫)이다. 어머니는 토산(兎山) 김씨(金氏)로,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추증된 김희적(金希迪)의 딸이다. 증조부와 조부의 관력(官歷)을 통해 미루어 볼 때, 길재는 고관(高官)을 배출하지 못한 한미한 가문 출신이었으며 경제적 형편도 그다지 좋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길재가 8살이 되던 해에 길원진이 보성대판(寶城大判)에 임명되자 그의 어머니는 봉록이 넉넉지 않아 생활이 어려울 것을 염려해 외가에 그를 맡기고 남편을 따라갔다. 어린 나이에 가정형편 때문에 어머니 품을 떠나야 했던 길재는 우연히 길 잃은 자라를 발견하고는 자라에 빗대어 자신의 외로움을 노래하였다. 길재의 행장(行狀)에 따르면, 그의 노래가 너무나 절절하였기에 이것을 들은 길재의 외조부모와 동네 사람들이 함께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10세가 되던 해인 1362년(공민왕 11)부터 길재는 냉산(冷山)에 있는 도리사(桃李寺)에서 글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당시 고려사회는 유학자들 사이에 불교계의 폐단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오고는 있었으나, 양자 사이에 뚜렷한 벽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였다. 많은 학자들이 유교와 불교 경전을 함께 섭렵하였으며, 유학자와 승려 사이의 학문적 교류도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길재 또한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불교계를 통해 글을 배웠다. 8년 뒤 길재는 상산사록(商山司錄) 박비(朴賁)의 밑에서 논어와 맹자를 읽으며 비로소 성리학(性理學)을 접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학문에 좀 더 욕심을 갖게 된 길재는 개경에 있는 아버지에게로 가서 당대의 유명한 학자들을 만나기로 결심하였고, 이색·정몽주·권근(權近)의 문하에서 공부하기 시작하였다.

1374년(공민왕 23), 길재는 국자감(國子監)에 들어가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한 뒤 이로부터 9년 뒤인 우왕(禑王) 9년에는 사마감시(司馬監試)에서 4등을 차지해 두각을 나타내었다. 그 다음해에는 금주(錦州)에서 지방관으로 재직 중이던 아버지가 사망하자 무덤 옆에 여묘(廬墓)를 짓고 충실히 삼년상을 마쳤다. 성리학의 보급 이후 고려에서는 가례(家禮)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비로소 유교적 상장례인 삼년상이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는데, 길재의 효행은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삼년상이 끝나던 해인 1386년(우왕 12), 드디어 길재는 스승인 이색과 염흥방(廉興邦)이 주관하는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합격의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이때 그와 함께 급제하여 이색의 문생(門生)이 된 사람으로는 맹사성(孟思誠)·심온(沈溫)·조연(趙涓)·정곤(鄭坤)·신원필(申元弼)·정구진(鄭龜晉)·서유(徐愈) 등이 있다. 우왕은 우수한 성적으로 과거에 합격한 길재에게 곧바로 청주사록(淸州司錄)을 제수한다. 하지만 길재는 부임하지 않았고, 후에 조선 태종[조선](太宗)이 되는 이방원(李芳遠)과 같은 마을에서 교유하며 독서에 심취하였다.

3 고려의 패망과 길재의 선택

1387년(우왕 13)에 길재는 성균학정(成均學正)을 제수 받고 관료로서의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 다음해인 1388년(우왕 14), 고려에서는 매우 충격적인 사건이 일어난다. 우왕과 최영(崔瑩)으로부터 요동정벌을 명령받은 태조 이성계(太祖 李成桂)가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감행한 것이다. 일찍이 명의 철령위(鐵嶺衛) 설치에 분노한 우왕과 최영이 요동정벌을 계획하자 이성계는 그것이 불가능한 이유를 네 가지 제시하며 강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였고, 결국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려 정변을 일으키는 극단적인 결정을 하게 되었다.

정변이 성공한 직후 고려에서는 새로운 국왕의 추대 문제를 둘러싸고 심각한 갈등이 발생하였다. 이성계는 “신돈의 아들인 우왕을 몰아냈으므로 종실 가운데 적임자를 골라야 한다”라는 주장을 폈고, 조민수는 우왕의 아들인 창(昌)을 왕으로 세우고자 하였다. 이때 이색이 “마땅히 전왕의 아들을 왕으로 삼아야 한다”고 함으로써 창왕(昌王)이 즉위하게 된다.

같은 해 12월 길재는 성균박사(成均博士)에 임명되었다. 이색의 지지로 창왕이 즉위함으로써 그의 정치적 책임이 무거워졌기 때문에 길재는 차마 스승의 곁을 떠나지 못하고 꿋꿋하게 관직생활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창왕의 즉위 이후 이성계 일파는 최대 정적으로 부상하게 된 이색 일파에게 맹렬한 정치적 공세를 펼쳤다. 그 결과 1389년(창왕 원년) 10월에는 이색의 문인인 이숭인·권근이 탄핵을 받아 유배형에 처해졌으며 이색 또한 이러한 처사에 불만을 품고 장단(長湍)에 은거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 이성계 일파는 왕씨를 세워 종묘사직을 바로잡는다는 명분하에 창왕을 폐위시키고 공양왕(恭讓王)을 추대하기에 이른다.

일련의 사태를 지켜보던 길재는 이성계 일파가 단순히 국왕을 교체하는 데에서 멈추지 않을 것임을 예측하였다. 고려 왕조의 패망을 직감한 길재는 1390년(공양왕 2) 봄에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선산으로 돌아갔다. 귀향하는 도중 그는 장단에 은거하고 있던 이색을 찾아 거취를 물었다. 이색은, “나는 대신이기 때문에 나라와 더불어 기쁨과 슬픔을 함께해야 하지만 그대 같은 사람은 마땅히 가야 한다”고 말하며 그의 선택을 존중하였다. 이에 길재가 이별을 고하고 길을 나서자 이색은 그에게 송별시를 지어 주었다. 시의 마지막 구절에서 이색은 “높은 벼슬이 내려졌으나 서둘러 받지 않으니, 날아다니는 기러기 한 마리 아득하구나”라는 표현을 쓰며 아끼던 제자가 능력을 제대로 펼 수 없는 불운한 시대를 한탄하였다.

길재의 재능을 아깝게 여긴 공양왕이 연달아 계림교수(鷄林敎授)와 안변교수(安邊敎授)에 임명하였으나, 그는 응답하지 않은 채 은거 생활을 지속하였다.

성리학에 심취하였던 길재는 60세가 된 노모를 극진히 봉양하면서 주변 사람들을 교화시키는 일에 전념할 따름이었다. 그러던 중 우왕과 창왕이 주살되었다는 소식이 뒤늦게 전해지자 그는 채과(菜果)와 염장(鹽醬)을 먹지 않은 채 3년 동안 방상(方喪)을 입었다. 방상이란 부모의 상처럼 임금에게 거상(居喪)하는 것이니, 이를 통해 길재의 지향점을 볼 수 있다.

조선이 건국되고 태조(太祖) 이성계의 뒤를 이어 정종[조선](定宗)이 즉위하자, 세자에 책봉된 이방원은 옛 친구였던 길재를 애타게 찾았다. 마침 길재와 같은 고향 출신이었던 전가식(田可植)이 조정에 있었기에 이방원은 그의 근황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쁜 마음에 길재를 서울로 불러들였다. 그리고 정종에게 청하여 그에게 봉상박사(奉常博士)를 제수한다. 하지만 길재는 이방원에게 글을 올려 “여자가 두 남편을 섬기지 않듯이 신하 또한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는 뜻을 전하였다. 이에 정종과 이방원은 그의 충성심을 인정하며 그가 귀향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이후 길재는 조선 왕조에서의 출사(出仕)를 거부한 채, 김숙자(金叔滋)·박서생(朴瑞生) 등의 후학을 기르고 세상을 교화하는 데에 전념하였다. 충(忠)과 효(孝)의 가치를 강조하고 이단(異端)을 강하게 비판하였는데, 승려들 가운데 그의 말에 감화되어 불교계를 떠난 사람이 수십 인에 이를 정도였다고 한다. 심지어 평범한 부녀자들까지도 그의 가르침을 받아 행동거지가 달라졌다. 조선후기 안정복(安鼎福)이 편찬한 『동사강목(東史綱目)』에는 길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길재가 살고 있는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한 병졸의 집이 있었는데, 그의 아내는 남편이 없는 사이 몸이 더럽혀질 것을 걱정하여 주변에 가시 울타리를 치고 정절을 지키며 살았다. 약 10년이 지난 뒤 남편이 돌아와 문을 열라고 소리쳤지만, 아내는 밤늦게 몰래 들어오는 남편을 함부로 받아들인다면 길선생(吉先生)을 뵐 면목이 없어진다고 하며 문을 열지 않았고 다음날 이웃들을 모아놓은 자리에서 부부임을 재확인하였다고 한다.

이는 길재가 갖는 학문적·정신적 영향력이 당대인들에게 얼마나 컸는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비록 관료 생활을 한 기간이 짧아 혁혁한 정치적 업적을 세우지는 못하였으나 이처럼 길재는 또 다른 의미에서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 인물이었다.

4 길재에 대한 당대와 후대의 평가

길재는 그가 살아있을 당시부터 동시대인들에게 진정한 충신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조선의 국왕들까지도 고려 왕조를 향한 그의 충정을 높이 치하할 정도였다. 태종 이방원은 “길재는 불러도 오지 않고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는 뜻을 굳게 지켰으니, 신하의 절개는 진실로 이러해야만 하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충신의 표준으로서 길재를 거론하였다.

세종 또한 즉위한 직후 길재 본인에게 벼슬을 내릴 수 없으니 자손 가운데 재주와 행실이 있는 자를 찾아서 아뢰라는 명을 내렸다.

길재가 타계한 뒤에도 그에 대한 추숭 작업은 계속해서 이어졌다. 1419년(세종 원년) 길재의 부고를 들은 세종은 호조(戶曹)에 명을 내려 후한 부의를 보내고 시신을 매장할 인부도 마련해주었다. 또한 정몽주와 함께 길재를 충신도(忠臣圖)에 넣어 다른 신하들을 권면하였고 그의 아들인 길사순(吉師舜)에게 높은 관직을 내리기도 하였다. 후대 왕인 문종[조선](文宗)·성종[조선](成宗) 또한 길재를 추증하고 그 후손에게 관직을 내리는 등 길재에 대한 존중의 마음을 표현하였다. 문종은 길재의 손자인 길인종(吉仁種)이 20세가 되는 해에 관직을 내리라고 명하였고, 성종 또한 길재의 후손을 찾아 녹용(錄用)하라고 이조(吏曹)에 지시하였다.

특히 성종의 치세(治世)는 사림파(士林派)로 명명되는 신진세력이 대거 조정에 진출하여 훈구파(勳舊派)와 경쟁하던 시기였다. 이때의 사림은 주로 정몽주·길재의 학통을 계승한 사람들이었는데, 길재의 문하에서도 김종직(金宗直)·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 등이 벼슬길에 나아와 조선의 정치를 바로잡기 위해 애를 썼다. 비록 연산군(燕山君) 시기에 훈구파의 견제로 인하여 많은 사림들이 핍박을 받아 잠시 그 활동이 주춤하였으나, 중종[조선](中宗)이 즉위한 이후에는 길재의 학통을 이은 조광조(趙光祖)가 등장해 급진적인 개혁정치를 펼침으로써 길재는 다시 한 번 조선 정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조선중기 이후 길재는 사림의 정신적 지주로서 확고한 위치를 점하였고, 다양한 방식으로 추모되었다. 우선 길재의 학문을 전하고 그의 덕행을 기리기 위한 서원(書院)이 다수 건립되었다. 금산(錦山)의 성곡서원(星谷書院)과 청풍서원(淸風書院), 선산의 금오서원(金烏書院), 인동(仁同)의 오산서원(吳山書院)은 모두 길재를 제향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설들이다. 다음으로 그의 행적에 관한 기록과 시문을 수록한 『야은선생행록(冶隱先生行錄)』이 선조(宣祖) 이후 수차례 간행되어 세간에 널리 읽혔다. 마지막으로 영조(英祖) 시기에는 길재에게 ‘충절(忠節)’이라는 시호가 부여되었다.

이와 같이 길재는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충신의 대명사로 인식되며 국왕을 비롯한 지배층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회자되었다. 앞서 서술한 많은 사례들은 한국사에서 길재가 갖는 정치적·사상적 위상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