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고려
  • 덕종

덕종[德宗]

고려의 자존심을 걸고 거란에 맞서다

1016년(현종 7) ~ 1034년(덕종 3)

덕종 대표 이미지

의주 남문(의주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1 머리말

고려의 9대 국왕 덕종은 1016년(현종 7)에 태어나 1034년(덕종 3)에 사망하였다. 재위 기간은 1031년(덕종 즉위년)부터 1034년(덕종 3년)까지였다. 이름은 흠(欽)이고 자는 원량(元良)이다. 현종(顯宗)과 원성태후 김씨(元成太后 金氏)사이의 장남이다. 후비로는 현종의 딸 경성왕후(敬成王后)와 효사왕후(孝思王后), 그리고 왕가도(王可道)의 딸 경목현비(敬穆賢妃) 등이 있었다.

2 덕이 많은 임금 즉위하다

덕종은 1020년(현종 11)에 연경군(延慶君)에 봉해지고 1022년(현종 13)에 태자에 책봉되었다. 당시 그의 나이는 불과 7세였다. 몇 년 뒤인 1031년(현종 22) 5월에 현종이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중광전(重廣殿)에서 즉위하였다. 그의 나이 16세 때의 일이었다. 『고려사』에 의하면, 덕종은 어려서부터 성숙했으며, 성격이 강인하고 결단력이 있었다고 한다. 좀 더 나이가 들어서는 기왓장을 밟기만 하면 깨어졌는데, 사람들은 이를 보고 왕의 덕이 무겁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덕종은 즉위하자마자 자신의 명령을 황제의 명령이라는 의미로 ‘제(制)’라고 하였으며, 자신의 생일을 ‘인수절(仁壽節)’에서 하늘의 뜻에 부응한다는 의미를 갖는 ‘응천절(應天節)’로 개칭했다.

덕종대에 행해진 제도 가운데는 덕종 즉위해인 1031년 윤10월에 과거의 예비시험 성격인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처음 시작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 때 시험과목은 문장을 아름답게 엮고,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부(賦)와 오언이나 칠언의 구절을 여섯 구나 열 구 이상 늘어놓는 6운시(六韻詩)나 10운시(十韻詩)였다. 덕종 즉위년 국자감시를 통해 정공지(鄭功志) 등 60명의 인재를 선발하였다. 1032년(덕종 원년)에는 왕가도를 감수국사(監修國史)로, 황주량(黃周亮)을 수국사로 삼아 태조에서부터 목종(穆宗)에 이르는 7대의 사적을 36권으로 구성한 7대실록을 완성하였으며, 1034년(덕종 3년)에는 양반 및 군인과 함께 한인(閑人)에게도 토지를 지급하는 것으로 전시과를 개정하였다. 한인이 어떤 사람들을 지칭하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나뉘는데, 일반적으로는 직역부담층으로 파악하고 있다.

3 압록강 동쪽의 땅을 수복하려고 하다

덕종이 즉위한 시기는 거란과의 3차례 전쟁이 끝난 뒤이기는 했지만, 당시 고려는 거란에 대한 의심을 풀지 않았다. 거란은 1015년(현종 6)에 압록강을 건너 그 동쪽 지역을 점령해 성을 쌓았는데, 그 지역을 고려에 반환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고려는 언제라도 거란이 다시 공격해올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쌓여있었던 것이다. 그곳은 거란이 설치한 최전방 기지였다. 1029년(현종 20)에는 거란 동경(지금의 요양 지역)의 대연림(大延琳)이 흥요국(興遼國)을 세우자 형부상서 곽원(郭元)은 압록강 이동 지역을 공격해 회복하자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하지만 고려는 이 때 그 곳을 되찾지는 못했다.

이후 거란 성종(聖宗)이 사망하면서 다시 이 문제가 불거졌다. 고려는 거란 성종의 장례식에 김행공(金行恭) 등을 보내 참석하게 하였는데, 이 때 고려는 압록강에 설치한 성과 다리를 헐고 거란이 억류한 고려 사신을 돌려보내 줄 것을 요청했다. 상갓집에 가서 자신의 영토를 돌려 달라고 하는 행위는 도덕적으로 그리 환영받을 만한 일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려가 이를 요청했다는 것은 그만큼 고려로서는 다급한 일이었던 것이다.

고려의 이러한 요구에 대해 거란은 거절하였다. 이에 대해 고려 내에서는 2가지 견해가 제시되었다. 하나는 평화관계를 맺어 백성을 편안히 쉬게 하자는 유화적인 입장과 거란에 사신 파견을 더 이상 하지 말고 연호도 사용하지 말자는 강경한 입장이 제기된 것이다. 고려 조정에서는 후자의 견해를 택했다. 그로 인해 고려는 새로이 즉위한 거란 흥종(興宗)의 연호 사용을 중지하였다. 그 대신 사망한 거란 성종의 연호를 계속 사용하였다. 즉 고려가 거란 흥종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은 흥종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의사의 표현이었던 것이다.

4 거란, 송에 원병을 요청하다

고려는 거란이 자신들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자, 외교를 단절하는 등의 강경대응을 실제 행동으로 옮겼다. 1032년(덕종 원년) 1월에 거란 사신의 입국을 거부하고, 삭주(朔州)와 영인진(寧仁鎭) 등에 성을 쌓거나, 같은 해 2월에는 1010년(현종 원년)에 거란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던 김거(金居)와 수견(守堅) 등에게 포상을 내리거나, 전사한 이들에게 관직을 더해주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성을 쌓는 행위는 거란의 침략을 대응하기 위한 의도였으며, 김거 등에게 포상을 주거나, 전사자들에게 대한 대우 조치는 혹시나 있을지도 모를 거란의 침입으로부터 내부의 단결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진 조치 가운데 하나였다.

1033년(덕종 2년) 8월에는 북쪽 경계 지역에 관성(關城),을 설치하기도 했다. 덕종은 유소(柳韶)에게 명을 내려 성을 쌓았는데, 거란 군사가 공격해 와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거란은 자신들을 막기 위해 쌓는 관성의 존재를 용인할 수 없었던 것이다. 1034년 3월에 유소 등에게 관성 개척의 공로를 인정하여 그에게 추충척경공신(推忠拓境功臣)의 호를 주었다. 당시 유소가 설치한 관성은 압록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곳에서부터 시작하여, 동쪽으로 위원·흥화·정주·영해·영덕·영삭·운주·안수·청새·평로·영원·정융·맹주·삭주 등을 거쳐, 요덕·정변·화주 등 3성에 닿고 동쪽 바다에 이르렀다. 성은 돌로 쌓았는데, 높이와 두께가 각각 25척이었다고 한다.

1033년(덕종 2년) 10월에 거란은 정주(靜州)를 침입하였다. 대규모 침략은 아니었지만, 고려와 거란의 충돌이 지속되었음을 말해준다. 하지만 거란은 총력을 기울여 고려를 공격하지 못했다. 1019년(현종 10)에 강감찬(姜邯贊)의 고려 군사에 귀주에서 거란병이 대패한 이후에 거란은 고려의 군사력을 겁내 섣불리 행동에 나설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한 사실은 거란이 송에 원병을 요청한 사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송나라의 기록인 『송명신언행록』에는 “거란이 (송에) 사신을 보내와 고려를 정벌하는데 병사를 빌리려 하였다”는 사실이 전한다. 거란이 고려를 공격하기 위해 송에 원병을 요청했음을 분명히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송이 거란의 요청을 거부하자, 거란은 더 이상 고려에 군사적 침략을 감행하지 못했다. 이는 고려의 군사력에 대한 거란이 부담이 얼마나 컸었는지를 말해주는 기록이다.

5 짧은 삶, 짧은 재위 기간

거란에 강경한 대응을 하며 고려의 자존심을 살린 덕종의 노력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그가 재위 4년 만에 사망하였기 때문이다. 병에 걸린 덕종은 그는 동생인 평양군 왕형(王亨) 즉, 정종(靖宗)에게 왕위를 계승케 하라는 유언을 남겼는데, 그 때 그의 나이 19세였다.

덕종과 관련해서는 봉황과 까마귀 얘기가 전하기도 한다. 그 이야기를 보면, 덕종대 개성의 의봉문(儀鳳門)에 봉황이 날아와 춤을 추었는데, 까마귀들이 봉황을 향해 우는 바람에 봉황이 날아가 버렸다. 이에 백성들이 까마귀를 미워하여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활로 까마귀를 쏘는 바람에 덕종이 재위하는 기간에는 서울인 개성에 까마귀가 없었다는 것이다.

덕종에 대한 이제현(李齊賢)의 평을 보면, 부모상을 당해서는 자식으로서 효성을 다하였고 정치를 함에 있어서는 아버지의 하던 일을 고치지 않았으며, 원로들인 서눌(徐訥)과 왕가도 그리고 최충(崔冲)과 황주량 등을 신임하여 서로 기만하는 일이 없었다고 하면서 그러한 결과로 백성들은 제각기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었다고 하여, 시호에 덕을 붙이는 것은 당연한 일 이라는 언급을 하기도 하였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