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고려
  • 의천

의천[大覺國師義天]

고려의 왕자, 승려가 되어 천태종을 설립하다

1055년(문종 9) ~ 1101년(숙종 6)

의천 대표 이미지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국가문화유산포털(문화재청)

1 시대 배경과 의천의 출가

의천(義天, 1055~1101)은 고려 중기의 화엄종 승려로, 불교 개혁과 교장(敎藏) 간행의 업적을 남겼다. 고려 중기에는 귀족 문화가 융성하는 것과 함께, 불교에서는 교종 계통의 화엄종(華嚴宗)과 법상종(法相宗)이 대두하여 불교계를 주도하였다. 그러나 교종(敎宗)과 선종(禪宗) 각 파의 대립은 지속되고 있었고, 이에 의천은 개혁을 시도하였다. 화엄종 승려인 그는 화엄의 입장에서 교종을 포섭하고, 나아가 천태종(天台宗)을 창설하여 선종을 포섭함으로써 교선의 대립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의천은 고려 11대 국왕인 문종[고려](文宗)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11세에 출가를 자원하였다. 그의 형들은 차례로 고려의 순종(順宗), 선종(宣宗), 숙종(肅宗)이 되었고, 동생 중에 출가한 이로는 보응승통(普應僧統) 왕규(王規)와 총혜수좌(聰慧首座) 왕경(王璟)이 있다. 특히 보응승통은 어머니 인예태후의 친가인 인주(仁州) 이씨 이자연(李子淵)의 아들인 소현(韶顯)의 제자가 되기도 하였다. 당시 고려는 왕실은 물론 귀족들도 아들 가운데 한 두 명은 승려로 출가시켜 큰 종파나 사찰을 운영하게 하고, 한편으로 서로 인척이나 사승 관계로 얽혀 있었다.

1065년(문종 19)에 화엄종 사찰 영통사(靈通寺)에서 왕사(王師) 난원(爛圓)을 스승으로 하여 출가하고, 불일사(佛日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의천은 난원에게 화엄사상을 배우고, 불교 경전은 물론 유학과 제자백가의 서적들까지 두루 섭렵하였다. 스승이 입적한 뒤에는 화엄종 교단을 이끌면서 화엄학을 강의하였다. 1067년(문종 21)에 우세(祐世)라는 호와 함께 승통(僧統)의 법계를 받았다.

2 송나라 학승들과의 만남

의천은 일찍부터 송에 유학할 뜻을 품고, 송나라의 화엄을 중흥한 학승 정원(淨源)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교유하였다. 그러나 모후인 인예순덕태후(仁睿順德太后)와 형인 선종[고려](宣宗)의 반대로 떠나지 못하였다. 당시 고려는 송과 북방의 거란 사이에서 중립적 외교 관계를 맺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의천은 1085년(선종 2)에 편지를 남기고, 몰래 상선을 타고 바다를 건너 송나라로 갔다. 소식을 들은 송의 황제 철종(哲宗)은 사신을 보내, 그를 수도 변경(汴京)으로 맞아들였다.

의천은 변경의 계성사(啓聖寺)에 머물면서 화엄종 승려 유성(有誠)과 교유하고, 상국사(相國寺)에서 운문종(雲門宗) 선사(禪師) 종본(宗本)을 만났다. 또 흥국사(興國寺)에서 인도 출신 승려 길상(吉祥)을 만나 산스크리트 불경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다음에 항주(杭州)로 가서 혜인원(慧因院)에 머물며, 전에 서신을 통해 스승으로 삼았던 정원을 만나 깊이 사귀었다. 이후로 혜인원은 고려사(高麗寺)라고 불리게 되었다. 정원과는 『화엄경(華嚴經)』, 『능엄경(楞嚴經)』, 『원각경(圓覺經)』,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및 천태학과 화엄학에 대하여 토론하였다. 천태학의 중심지 항주에서 의천은 천태종 승려 종간(從諫)을 만나서 천태학을 배웠다. 또 고려에서 가지고 간 지엄(智儼)·현수(賢首)·청량(淸凉)·규봉(圭峯) 등 당나라 화엄 조사(祖師)들의 저술에 대해 여러 학승들과 담론하였다. 그가 만난 송의 승려들은 대체로 선종이 득세하면서 침체된 교종을 우려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의천은 송나라 조정의 보호를 받으며 각지의 고승을 찾아가 담론을 나누는 한편, 널리 불교 전적을 수집하였다. 1086년(선종 3) 4월에 천태산(天台山)으로 가서 천태종의 조사(祖師) 지의(智顗, 538~597)의 탑을 참배하고 고려에 천태종을 개창할 것을 맹세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수집한 3천여 권의 서적을 가지고 귀국하였다.

3 교장 간행과 천태종 개창

의천은 개경 흥왕사(興王寺)에 머물면서, 교학을 연구하고 제자를 길렀다. 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설치하고 교장(敎藏)의 간행을 준비하였다. 의천은 고려 국내는 물론 송과 요, 일본의 불교학 연구서들까지 널리 수집하였는데, 그것을 간행하기 위해 1090년(선종 7)에 편찬한 목록집이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이다. 이어서 10여 년에 걸쳐 교장을 간행하였다. 교장의 간행은 한역(漢譯) 불경을 바탕으로 성립된 동아시아 불교의 당시까지의 교학 연구 성과가 집대성된 것으로,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 교장은 불교의 거의 모든 학파의 논서를 포함하고 있어, 의천의 관심사가 화엄을 중흥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대승과 소승은 물론 천태를 포함한 선종까지 아울러 고려에서 불교를 융성하게 하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해동고승전에서도 다섯 가지 교파인 열반종, 율종, 화엄종, 법상종, 법성종이 각각 그 자기 자리를 찾았다고 평가하였다.

1089년(선종 6)에 의천은 인예태후의 후원으로 천태종의 중심 사찰로 국청사(國淸寺)를 창건하였으나 큰 화재가 일어나 공사가 중단되었다. 몇 년 뒤에 인예태후와 선종이 세상을 떠나자, 문벌귀족인 인주 이씨 세력이 후원하는 법상종이 불교계를 주도하게 되면서, 의천은 멀리 해인사(海印寺)로 내려가야 했다. 이듬해 숙종[고려](肅宗)이 즉위한 뒤에 의천은 흥왕사로 돌아왔고, 국청사는 1097년(숙종 2)에 완공되었다. 의천은 천태종을 개창하고, 국청사의 초대 주지가 되어 천태 교학을 강의하였다. 그의 문하에는 선종 각 파의 승려 천여 명이 모여들었다.

이어서 천태종에서도 승과(僧科)로 승려를 선발하게 하였다. 이로써 고려 불교계는 교종의 화엄종과 법상종, 선종의 천태종과 조계종의 4대 교단 체제가 되었다. 의천은 『법화경(法華經)』에 근거하여 교관겸수(敎觀兼修)를 설한 천태학으로 선종을 포섭하고 통합하고자 하였다. 특히 천태종은 고려초 체관(諦觀)이 천태종을 이끌었으나 죽은 뒤에 그 교리가 전해지지 못한 것을 의천이 중국에서 직접 다시 들여와 하나의 종파를 이루었던 것이다. 당시 이미 문도를 거느리고 있던 거돈사(居頓寺)의 원공국사(圓空國師), 영암사(靈巖寺)의 적연국사(寂然國師), 지곡사(智谷寺)의 진관선사 (眞觀禪師)등의 무리가 새로운 천태종의 문도가 되었고, 승과를 통해 천태종 승려 40여명을 선발하자 천태종은 당대의 법상종과 비슷한 규모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의천이 죽자 곧 그 규모는 줄어들고 말았다.

또 화쟁사상(和諍思想)으로 모든 쟁론을 회통하려고 했던 원효(元曉)를 높여 화쟁국사(和諍國師)의 시호를 내리게 하고, ‘해동보살(海東菩薩)’이라 일컬으며 크게 존경하였다. 의천은 불교를 통하여 당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국제적 위상에서 고려의 위치를 크게 선양하였다. 이런 점은 외교 관계에서도 잘 드러난다.

의천이 해인사에 머물고 있다가 숙종이 즉위하자 흥왕사로 불러서 주지를 맡게 하였다. 거란의 요에서 왕악(王萼)을 사신으로 보내었는데, 흥왕사의 종을 보고 요에는 없는 것이라 칭찬하자, 의천은 요의 황제를 위해 금으로 종을 2개 만들어 보내겠다고 하였다. 하지만 미리 보고를 받은 요의 황제는 ‘사신이 망령되게 굴었다’라고 사신 일행을 처벌하고 금종도 보내지 말라고 하였다. 이러한 이야기는 당시 고려의 불교가 가지고 있는 국제적인 위상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의천은 주화(鑄貨)를 만들어 사용할 것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는 동전의 유통에 대한 이로움을 다루는 장문의 글을 남겼는데, 이를 의천의 주전론이라 한다. 여기서 그는 중국의 화폐 유통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 다음, 우리나라 해동은 신라의 자장 이래 중국의 문물을 받아들여 고려에 이르러서는 예의와 법도, 의복은 물론 백관의 제도도 훌륭히 갖추었는데, 유독 동전의 제도만 구비하지 못하였다고 지적한다. 그리고는 동전의 이로움을 거론하며 당시 숙종에게 동전을 주조하여 유통하자고 건의하였다. 의천이 거론한 화폐 유통의 이로움은 5가지였는데, 4가지만 남아 전한다. 우선 운반이 편리하고, 쌀을 화폐로 쓸 때 생기는 부정함을 막을 수 있으며, 녹봉을 쌀로 줄 때 생기는 폐단도 막을 수 있다고 하였고, 저장하기도 편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당시 고려의 경제 상황에 대한 간접적인 이해를 보여주는 한편 승려이자 국제적인 식견을 갖춘 왕자로서 의천이 보여주는 경세관의 폭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의천 이전 시기에 고려에서도 성종[고려](成宗)대에 주화를 만든 적이 있었으나 실제 사용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의천과 윤관(尹瓘) 등의 건의를 받아들여, 숙종은 주전도감(鑄錢都監)을 설치하고 해동통보(海東通寶), 삼한통보(三韓通寶) 등을 만들어 유통시켰다.

1101년(숙종 6)에 의천은 국사(國師)로 책봉되고, 개경 총지사(摠持寺)에서 입적하였다. 의천의 비는 개경 영통사의 영통사대각국사비(靈通寺大覺國師碑)와 칠곡(漆谷) 선봉사의 선봉사대각국사비(僊鳳寺大覺國師碑)가 각각 건립되었다. 그 외 흥왕사대각국사묘지명(興王寺大覺和尙墓誌)이 전해진다. 그가 화엄종과 천태종을 함께 이끌었고, 그의 제자로 또한 양 종파에서 많은 인물이 배출되었지만, 화엄종과 천태종은 서로 다른 종파였기 때문에, 대각국사가 죽은 뒤에도 서로 각기 자기 종파의 승려로서 의천을 기리는 비문을 세운 것이다.

가장 먼저 제작된 것은 흥왕사의 묘지명으로 의천이 죽은 해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 두번째는 영통사의 비문으로 의천 사후 24년이 지난 1125년(인종 3)에 김부식이 비문을 지었다. 김부식의 비문에서는 의상과 원효를 불교를 중흥시킨 대종사로 칭송하고, 선종이 대장경의 내용을 공부하는 것을 비판하는 것을 잘못된 것이라고 반박하였다. 특히 화엄종을 강조하여 의천이 화엄의 9명의 조사를 기리는 구조당을 세운 것 등을 강조하였다.

이후 1132년(인종 10)에는 천태종의 시조임을 강조하는 비석을 다시 세우는데, 이것이 선봉사의 비석이다. 선봉사의 음기에는 천태종의 시조로서 의천을 강조하고, 천태종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쇠퇴할까 우려하여 비문을 세우고, 제자와 문생을 나열하여 후대에 천태종이 이어져 그 기본을 잊지 않도록 하였다는 사실을 기록하였다.

의천의 저술로는 『신편제종교장총록』 외에 『신집원종문류(新集圓宗文類)』, 『석원사림(釋苑詞林)』,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 『대각국사외집(大覺國師外集)』, 『간정성유식론단과(刊定成唯識論單科)』, 『천태사교의주(天台四敎儀註)』, 『계악권선면학(誡惡勸善勉學)』 등이 있다. 현재는 『신편제종교장총록』 과 『대각국사문집』, 『대각국사외집』의 일부, 『원종문류』, 『석원사림』의 일부, 『간정성유식론단과』 서문만 전하고 있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