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조선
  • 명종

명종[明宗]

외척의 대립과 전횡으로 지연된 개혁 정치의 꿈

1534년(중종 29) ~ 1567년(명종 22)

명종 대표 이미지

강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1 아버지와 형을 이어 즉위하다

중종은 두 번째 왕비 장경왕후와의 사이에서 인종을 낳았고, 세 번째 왕비 문정왕후와의 사이에서 명종을 낳았다. 중종에 이어 즉위한 인종이 재위 8개월 만에 죽자 동생 명종은 형 인종을 이어 조선의 제 13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1545년 7월부터 1567년 6월까지 약 22년간 재위하였다. 짧지 않은 재위기간이었지만 열두 살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으므로 향년 34세에 불과하였다.

명종은 1534년(중종 29) 태어나 1539년(중종 34) 경원대군에 봉해졌다. 1542년(중종 37)에는 청송심씨 심연원(沈連源)의 아들인 심강(沈鋼)의 딸과 혼인하였다. 세종의 장인인 심온(沈溫)의 증손이 심연원의 부친 심순문(沈順門)이다. 청송심씨 집안은 경원대군 세력기반의 한 축이 되었다.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 사이에서 태어난 순회세자가 열세 살의 나이로 일찍 세상을 뜨자 명종의 왕위는 중종의 아홉째아들인 덕흥군의 셋째 아들 하성군 균(河城君 鈞)이 계승하였으니 선조이다.

명종의 자는 대양(對陽)이고 이름은 이환(李峘)이다. 시호는 공헌헌의소문광숙경효대왕(恭憲獻毅昭文光肅敬孝大王)이고, 묘호는 명종(明宗)이며, 능호는 강릉(康陵)으로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있다. 명종은 평소 “나의 시호는 명(明) 자면 족하다.”라고 하였다 한다.

2 중종대 후반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 정국

중종이 47세 되던 1534년(중종 29) 중종의 세 번째 왕비 문정왕후는 34세라는 꽤 늦은 나이에 아들 경원대군(훗날 명종)을 낳았다. 위로 네 공주를 낳은 후이고 왕비가 된 지도 17년이나 지났을 때였다. 문정왕후에게 늦둥이 아들의 출생은 그토록 바라 마지않던 경사였을 테지만 이후 조정은 왕위계승을 둘러싼 갈등에 휩쓸리게 되었다.

당시 동궁인 인종을 보호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권세를 쥐었던 김안로(金安老) 등은 문정왕후의 동생 윤원형, 윤원로(尹元老)와 대결하던 중 1537년(중종 32) 윤원형 등이 사림을 해치려한다는 모함을 하여 쫒아내려다가 오히려 자신들이 국모를 해치려한다는 혐의를 받고 처형당하였다.

1543년(중종 38)에는 동궁 처소가 불타면서 동궁의 외삼촌 윤임(尹任)을 중심으로 한 대윤과 경원대군의 외삼촌 윤원로를 중심으로 한 소윤의 대립이 다시 격렬해졌으나 이듬해 중종이 승하하면서 곧바로 인종이 즉위하게 되었다.

왕위계승을 둘러싼 갈등 정국에서 어렵게 즉위한 인종이 아버지 중종의 상을 치르다가 병이 나서 즉위한 지 1년도 못 되어 승하하면서 명종이 열두 살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다. 1543년(중종 38)부터 본격화한 대윤과 소윤의 대립은 1545년 명종 즉위 후 을사사화로 폭발하였다.

3 명종의 즉위와 을사사화

을사사화는 윤원형, 이기(李芑), 정순붕(鄭順朋), 임백령(林百齡), 허자가 명종이 즉위한 지 두 달도 안 된 1545년(명종 즉위년) 8월에 윤임 일파를 고변함으로써 일파만파로 확대되었다. 대윤의 핵심인 윤임과 함께 역모했다는 혐의를 받은 좌의정 유관(柳灌), 이조판서 유인숙(柳仁淑) 등이 모두 사사되었고, 그밖에 많은 사림들이 죽거나 유배되었다.

을사사화에 대한 당시 사관의 논평을 보면, “이기는 간특한 술책에 뛰어나고 임백령은 음험한 일을 꾸미기에 장점이 있는데 여기에다 정순붕의 잔혹스러움과 윤원형의 험독스러움이 합쳐져서 한 몸처럼 움직이니 큰 화를 빚어내어 당시의 명사들을 일망타진”한 사건이라고 되어 있다.

을사사화 이듬해에는 윤원형과 윤원로 형제 사이의 권력투쟁의 결과 윤원로가 사사되었고, 양재역 벽서사건 등을 비롯한 일련의 사건들이 이어지면서 을사사화는 확대되었으며 그 여파도 계속 되었다. 윤원형을 비롯하여 이기, 정순붕, 임백령, 허자 등 이른바 ‘을사오적’의 전횡도 더욱 심화되었다.

4 을사사화 여파와 훈척 전횡으로 혼돈 속에 빠진 국정

양재역 벽서사건은 1547년(명종 2) 9월 18일 부제학 정언각(鄭彦慤)이 양재역 벽에 붙은 익명서를 가져와 관련자의 처벌을 논의하면서 남은 윤임 일파와 사림들을 모조리 숙청한 사건이다. 벽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여자임금이 위에서 정권을 잡고 간신 이기 등은 아래에서 권력을 농락하고 있으니 나라가 망할 것을 서서 기다리는 격이다. 어찌 한심하지 않은가.

다음날 바로 송인수(宋麟壽), 이약빙(李若氷)을 사사하고 권벌(權橃), 이언적(李彦迪), 노수신(盧守愼), 유희춘(柳希春), 백인걸(白仁傑) 등을 유배 보낸다는 교서를 반포하였다.

을사사화의 여파는 양재역 벽서사건에서 그치지 않았다. 뒤이은 안명세 사초사건, 이홍윤 옥사 등 을사사화를 비난하는 사림들을 역모로 모는 사화들이 계속되었다.

이른바 ‘안명세 사초사건’이라는 것은 1548년(명종 3) 찬집청이 『속무정보감』을 편찬하기 위해서 시정기를 춘추관에서 꺼내어 본 일에서 나온 것이었다. 사관 안명세(安名世)의 시정기에는 윤임 등 3대신을 죽인 것은 국가적인 불행이라는 지적과 이기 등이 무고한 많은 선비들을 처형한 사실을 중심으로 을사사화를 비난하는 글 및 명종의 과실을 적은 내용이 들어 있었다.

1549년(명종 4)에는 이홍남(李洪男)이라는 자가 그의 동생 이홍윤(李洪胤)이 조정을 비난한 내용을 적은 편지와 관련하여 고변이 있었다. 이홍윤은 양재역 벽서사건으로 죽은 이약빙의 아들이자 을사사화로 처형된 윤임의 사위이다. 이른바 ‘이홍윤의 옥’과 관련된 사관의 논평에 의하면 이 옥사는 모두 이홍남이 꾸며낸 일이었는데 이에 연루되어 죽거나 귀양 간 자가 무려 40~50인에 달하였다고 한다. 실록에는 당시 이홍윤이 모의한 내용이 조목별로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명종 즉위 초 정국은 사화의 피바람으로 혼돈 그 자체였으나 그 가운데 국왕의 존재감은 없었다. 어린 왕을 앞세우고 뒤에서는 수렴청정을 하는 문정왕후와 그 동생인 윤원형이 국정을 농단하고 있었던 것이다. 문정왕후는 수렴청정을 하게 되자 곧바로 윤원형을 예조참의에 임명하였다. 윤원형은 이듬해 사헌부대사헌에 임명되었고 뒤에는 이조판서, 병조판서 등 요직을 거쳐 영의정에까지 오르는 등 문정왕후가 살아있는 동안 그야말로 국정의 실세로 군림하였다.

1553년(명종 8) 명종의 친정 이후에도 문정왕후의 제재와 윤원형의 전횡은 계속되었다. 윤원형을 견제하기 위한 명종의 전략은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명종의 전략이라는 것은 윤원형 즉 그의 외삼촌을 견제하고자 이량(李樑) 즉 왕비의 외삼촌을 등용한 것이었는데 오히려 하나의 외척을 더 키운 셈이 되었다. 당시 사람들은 윤원형, 이량, 심통원(沈通源)을 삼흉이라고 부르며 외척들의 전횡을 비난하였으나 1563년(명종 18) 이량이 탄핵되고 1565년(명종 20) 윤원형이 죽을 때까지 외척의 전횡은 계속되었고 명종의 개혁정치는 저지되었다.

문정왕후의 비호 아래 이루어진 보우의 만행도 명종 대 국정을 어그러뜨린 요소 중의 하나였다. 문정왕후는 보우를 신임하여 불교의 부흥을 꾀하며 선교 양종의 복립을 명하였다. 또 특명으로 보우를 판선종사 도대선사 봉은사 주지로 삼았다.

명종이 친정을 하기 시작한 1553년(명종 8)부터 『경국대전』 주해와 『경국대전』 이후의 법전을 정리하고 직전법을 혁파하면서 개혁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나 여전히 횡행하고 있는 국정 농단 요소들 때문에 명종 득의의 정치는 계속 지연되고 있었다. 외척 윤원형을 견제하고자 또 다른 외척을 등용한 것은 패착이었고 보우 등 불교세력의 만행은 여전하였다. 결국 을사사화 이후 문정왕후가 생존해 있는 동안 명종의 개혁은 어려운 과제였다.

5 끝내 펼치지 못했던 명종의 개혁정치

1565년(명종 20) 문정왕후 승하 후 국정은 드디어 일신할 기회를 맞이하였다. 먼저 보우가 처단되었다. 불교를 배척하고 보우를 처벌하라는 상소가 전국에서 빗발쳤고 이이도 「논요승보우소(論妖僧普雨疏)」를 올려 그를 귀양 보낼 것을 적극 주장하여 보우는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제주도에 유배된 보우는 제주목사 변협(邊協)에 의해 주살되었고, 그의 기만으로 설치되었던 양종 선과도 공론에 따라 혁파되었다. 또한 명종 대 척신정치의 원흉인 윤원형 역시 26조목의 죄악으로 탄핵을 받았다. 이와 같은 적폐 청산과 함께 한편으로는 을사사화 당시 피해 입은 자들을 사면하고 복권하는 절차도 이루어졌다.

이즈음 사림들이 정계에 다시 등장하기 시작하고 재야 사림들의 성리학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사림세력의 기반이 꾸준히 확대되어 나가는 분위기에 따라 명종은 이황, 이이 등을 등용하여 개혁정치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1564년(명종 19) 소과, 문과에서 연이어 장원급제한 율곡 이이를 호조좌랑으로 삼았고, 이듬해에는 사간원정언으로 임명하였다. 1566년(명종 21)에는 사림의 영수로 추대 받던 퇴계 이황을 정2품 홍문관예문관대제학으로 임명하였다. 이황은 선조 즉위 후 왕명을 받아 명종의 행장을 짓기도 하였다.

재위 말엽 명종은 훌륭한 인재를 널리 등용하여 선정을 펼치고자 하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승하함으로써 명종의 개혁정치는 끝내 결실을 이루지 못하였다. 1563년(명종 18) 아들을 잃고 나서 슬픔과 고통 속에 얻은 병세가 어머니 문정왕후의 삼년상을 지성으로 치르면서 악화되어 곧 승하하고 말았다. 명종이 조금 더 재위하였다면 오늘날 명종에 대한 평가는 달라졌을까?

명종 사후 실록에 기록된 사관의 논평에 따르면 명종은 총명과 예지의 덕이 있었는데도 국가에 베풀지 못한 왕이었고, 어둡거나 탐혹하고 잔인한 잘못이 없었는데도 백성들에게 해를 끼친 왕이었다. 또 이단을 숭상하지 않았으나 사찰이 나라의 절반을 차지하게 하였고 환관을 친애하지 않았으나 소인들을 출입하게 한 왕이었다. 그리하여 나라에 해를 끼친 것은 모두 소인들의 소행인데도 잘못은 모두 뒤집어쓴 왕이었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