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조선
  •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현모양처의 화신으로 기억되는 여류 화가

1504년(연산군 10) ~ 1551년(명종 6)

신사임당 대표 이미지

신사임당 표준영정

전통문화포털(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정보원)

1 개요

신사임당(申師任堂)은 조선 중기의 여성 화가요 문사였으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어머니로 유명하다. 신사임당은 연산군 10년(1504) 음력 10월 29일에 강릉(江陵)에서 태어났으며, 명종 6년(1551) 음력 5월 17일 4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화가로서 이름이 높았는데 특히 포도와 풀벌레를 잘 그렸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사임당(師任堂)이라는 당호는 ‘태임(太任)을 본받는다.’ 하는 뜻인데, 태임은 현숙한 부인의 전형으로 이름난 중국 고대 주(周) 문왕(文王)의 어머니를 가리킨다.

2 가족

신사임당의 아버지는 진사(進士) 신명화(申命和)였으며, 어머니는 용인(龍仁) 이씨로 이사온(李思溫)의 따님이었다. 신명화는 평산 신씨로 중종 11년(1516) 진사시에 합격하였는데, 당시 윤은보(尹殷輔)나 남효의(南孝義) 등이 현량과(賢良科)에 천거하려 했으나 사양했다고 한다. 그는 용인 이씨와 결혼하여 아들 없이 딸만 다섯을 두었는데, 신사임당은 그 가운데 둘째 딸이었다.

율곡 이이는 자신의 외조부인 신명화의 행장을 지었다. 행장에는 성리학 의례를 엄격하게 준수하였던 선비의 모습 뿐 아니라 딸들을 교육시키는 데에도 힘썼던 그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신명화는 신사임당을 결혼시킨 해인 중종 17년(1522) 서울에서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신사임당의 어머니인 이씨 부인은 그 뒤에도 계속 강릉에서 생활하였는데, 강릉은 이씨 부인의 어머니 쪽 집안인 최씨가 세거하던 지역이었다. 신사임당의 아버지는 처가의 세거지에 정착하였고, 어머니와 딸이 이어서 그 지역을 지켰던 것으로 보인다. 신사임당 또한 강릉에서 태어났고, 결혼 이후에도 상당 기간은 강릉에서 생활하였다. 그래서 율곡 이이도 강릉에서 태어나게 되었던 것이다.

율곡 이이는 자신의 외조모인 용인 이씨의 묘지명을 지었다. 거기에는 외조모의 가계와 결혼 후의 일화가 실려 있는데, 이씨는 남편을 살리기 위해 손가락을 잘랐던 일로 중종[조선](中宗)으로부터 정문을 받았다고 한다.

율곡 이이는 자신의 외조모가 남편을 살리기 위해 손가락을 잘랐던 일에 대해 따로 「이씨감천기(李氏感天記)」를 지었다. 율곡은 자신의 외할머니에 대해서, ‘부부의 정이 두텁지 않은 것이 아니었으나 어버이를 모시기 위하여 16년이나 떨어져 사셨고, 진사께서 질병이 나셨을 적에는 마침내 지성으로 빌어 하늘의 뜻을 감동시켰으니, 빼어난 사람의 행실과 옛사람을 초월하는 절의가 아니고서야 어찌 이렇게 할 수 있었겠는가?’ 하였다.

신사임당은 중종 17년(1522) 이원수(李元秀)와 결혼하였고, 이선(李璿), 이번(李璠), 이이(李珥), 이우(李瑀)의 네 아들을 두었고, 조대남(趙大男), 윤섭(尹涉), 홍천우(洪天祐)에게 출가한 세 딸을 두었다. 남편인 이원수의 자는 덕형(德亨)이며 이름을 난수(蘭秀)라고도 하였다. 그는 과거에 급제하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이며 벼슬은 사헌부 감찰에 이르렀다.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이 지었다는 이원수의 지문(誌文)에 따르면, 이원수는 성격이 착실하고 꾸밈이 없었으며 너그럽고 겸손하여 옛 사람의 기풍이 있었다고 한다.

송시열(宋時烈)은 이원수의 묘표를 지었는데, 『송자대전』 193권에 실린 감찰증좌찬성이공묘표(監察贈左贊成李公墓表)가 그것이다. 송시열은 율곡이 동국 유학의 정통을 밝혀 이름이 후세에 전하게 되었으니, 율곡의 부친인 이원수 또한 이름이 길이 남게 되었다고 하면서 이원수와 신사임당으로부터 이어지는 후손들의 가계를 상세히 밝혔다.

신사임당의 셋째 아들이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이자 경세가이며 문신인 율곡 이이이다. 율곡 이이 때문에 이원수는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었으며, 신사임당도 정경부인에 추증되었다.

신사임당의 예술적 재능은 큰 딸인 매창(梅窓)과 넷째 아들인 옥산(玉山) 이우(李瑀)에게 이어졌다고 한다. 매창은 시와 그림에 능하였으며, 이우는 거문고, 글씨, 시, 그림의 네 가지에 뛰어나 사절(四絶)이라 불렸다.

3 생애와 예술

율곡 이이는 어머니인 신사임당에 대해, ‘천성이 온화하고 얌전하였으며 지조가 정결하고 거동이 조용하였으며 일을 처리하는 데 편안하고 자상스러웠으며, 말이 적고 행실을 삼가고 또 겸손하였다.’ 하고 기록하였다. 또한 아버지인 신명화가 딸을 매우 아꼈다고 기록하였다. 신사임당이 결혼할 때 아버지인 신명화는 사위가 될 이원수에게, ‘다른 딸을 시집을 가도 서운하지 않더니 그대의 처만은 내 곁을 떠나보내고 싶지 않다’고 했을 정도이다. 그래서 그런지 신사임당은 결혼 후 곧바로 서울로 가지 않았고 2년 뒤인 갑신년에 서울에 왔다고 한다. 그 뒤에도 다시 강릉으로 가 있기도 하고 봉평(蓬坪)에서 살기도 했다는 것을 보아 강릉 이외에도 몇 군데의 근거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사임당은 강릉에서의 생활을 무척 사랑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율곡 이이의 기록에 따르면 고향을 그리워하며 밤중에 조용해지면 울기도 하고 새벽이 되도록 잠을 이루지 못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강릉으로 근친을 갔다가 돌아오면서 대관령 중턱에 이르러 고향을 바라보면서 지은 시가 남아서 전한다.

신사임당에 대한 가장 상세한 기록은 아들인 이이가 남긴 ‘돌아가신 어머니의 행장[先妣行狀]’일 것이다. 거기에 신사임당이 강릉에 갔다가 돌아오면서 지은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머리 하연 어머니를 임영(臨瀛)에 두고 / 장안을 향하여 홀로 가는 이 마음 / 고개 돌려 북촌을 바라보노니 / 흰 구름 날아 내리는 저녁 산만 푸르네.’

신사임당은 어릴 때부터 경전을 읽었고, 글을 잘 지었으며 글씨도 잘 썼다. 신사임당의 어머니인 이씨 부인도 어릴 때 삼강행실을 읽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집안의 전통에 따라 문인으로서의 교양을 갖추었던 것으로 보인다. 율곡 이이의 연보에 따르면 그는 처음 어머니에게서 글을 배웠다고 한다.

신사임당은 그림에도 뛰어났다. 이미 7세 때 안견(安堅)의 그림을 모방하여 산수도를 그렸는데, 그 작품이 매우 절묘했다고 한다. 화제 중에는 포도를 가장 잘 그려서 당시에 흉내낼 수 있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고 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그 그림을 모사한 병풍이나 족자가 세상에 많이 전해진다고 한다. 현재는 초충도, 포도도, 화조도, 화초어죽, 매화도 등의 그림이 남아 있다.

『패관잡기(稗官雜記)』는 중종 말에 어숙권(魚叔權)이 편집한 것으로, 그림에 대한 신사임당의 명성을 알려주는 기록이 남아 있는데, 『패관잡기』 2권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근래 선비로서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이 매우 많다. 산수화에는 별좌(別坐) 김장(金璋)과 사인(士人) 이난수(李蘭秀)의 아내 신씨(申氏)와 학생(學生) 안찬(安瓉)이 있고, 영모(翎毛 새나 짐승을 그린 그림)를 그린 잡화(雜畵)에는 종실(宗室) 두성령(杜城令)이 있으며, 풀벌레 그림에는 정랑 채무일(蔡無逸)이 있고, 묵죽(墨竹 먹으로 그린 대)에는 현감 신잠(申潛)이 있는데, 이들은 그 중에서도 가장 저명(著名)한 사람들이다.’ 이난수는 신사임당의 남편 이원수의 다른 이름이다.

또한 『패관잡기』 4권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도 전하고 있다. ‘지금 동양(東陽) 신씨(申氏)가 있는데, 어려서부터 그림을 잘 그렸다. 포도(葡萄)와 산수(山水)는 한 때에 절묘하여 평하는 사람들이, ‘안견(安堅) 다음 간다’ 하였다. 아, 어찌 부인의 필치(筆致)라 해서 소홀히 해서야 되겠으며, 또 어찌 부인이 마땅히 할 일이 아니라 하여 책망할 것인가.’

우암 송시열의 문집에 율곡의 후손이 사임당의 난초 그림을 얻어 소장한 데 대해 발문을 적어 준 일이 기록되어 있는데, 그때까지도 사임당의 그림이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신사임당은 중종 36년(1541) 서울로 왔으며, 10년 뒤 삼청동에서 갑자기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하니 그 사이에는 서울에서 생활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남편인 이원수는 명종 5년(1550) 수운판관(水運判官)에 임명되었고, 조운의 일로 관서를 오갔는데, 명종 6년(1551) 이원수가 아들 이선과 이이를 데리고 관서에 나가 있는 동안, 신사임당은 갑자기 병이 나서 세상을 떠났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