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조선
  • 홍국영

홍국영[洪國榮]

권력에 집착한 정조의 측근

1748년(영조 24) ~ 1781년(정조 5)

1 가계와 인물평

홍국영은 1748년(영조24)에 태어났다. 본관은 풍산이며, 어릴 때의 이름은 덕로(德老)였다. 그의 6대조는 선조와 인목대비의 소생인 정명공주의 남편 영안위 홍주원(洪柱元)이었다. 아버지는 홍낙춘(洪樂春)이다. 그의 아버지는 벼슬을 하지 못했지만 가문은 왕실과 연혼관계를 맺어온 서울을 기반으로 한 명문 벌열 가문이었다. 정조의 외조부인 홍봉한(洪鳳漢)도 홍국영에게 10촌 할아버지였고, 정순왕후 가문과도 인척관계였다.

현재 전하는 홍국영의 인물평은 그리 좋지 않다. 혜경궁 홍씨의 전언에 따르면 홍국영은 눈치가 빠르고 민첩하며, 얼굴이 예쁘고 준수하였다고 한다. 처음 문과에 급제하여 왕을 만났을 때에도 그의 인물을 정(精)하다고 평가한 것으로 보아 용모가 빼어났던 것은 사실로 보인다. 그의 거침없고 방자하기까지 한 성격에 대한 전언도 많다. 천하의 일은 모두 내 손 안에 있게 될 것이라고 호언하고 다녀서 동년배들이 꺼렸다는 이야기나 성격이 종잡을 수 없고 방종하여 술과 여색을 좋아하였고, 시정의 무뢰배들과 거리낌없이 어울려 사대부들이 함께 사귀기를 부끄럽게 여겼다는 등의 이야기에서 기왕의 단정한 사대부의 이미지와 거리가 멀었던 그의 젊은 시절을 엿볼 수 있다. 다만 이상의 이야기들은 개인적으로 그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던 사람들이 전한 바이므로 감안해서 보아야 한다.

2 세손을 보호하며 측근으로 승승장구하다.

1772년(영조48) 9월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바로 가주서(假注書)에 보임되고, 1773년(영조49) 한림 소시(召試)에서 정민시(鄭民始)와 함께 발탁되어 기사관(記事官)으로서 영조의 측근에 있으면서 아낌을 받았다.

당시 영조는 세손을 후계로 삼았고, 홍국영은 세손의 측근으로 척신들의 횡포 속에서 그를 보호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홍국영이 세손과 인연을 맺은 것은 1772년의 일이나, 세손의 궁관으로 본격적으로 활동한 것은 세손의 대리청정을 전후한 시기였다. 이 때 홍인한(洪麟漢) 등이 ‘삼불필지(三不必知 : 동궁은 노론과 소론, 이조판서와 병조판서의 적임자, 조정의 일에 대해 반드시 알 필요가 없다는 것)’의 설로 세손에게 대리청정을 시키려는 영조의 계획을 무산시키려 했을 때 서명선(徐命善)이 상소를 올려 이러한 정승들의 횡포를 고발하였다. 영조가 이 일의 내막을 조사하고자 하여 동궁을 보좌하던 홍국영에게 세손이 이 일로 상소를 올리려 한 일이 있었느냐고 물었는데, 홍국영은 그 당시 자신이 동궁에 들어오기 전이라 잘 알지 못한다고 답하였다.

이 시절 홍국영은 유신으로서 세손의 서연에도 참여하여 세손의 앞에서도 거침없이 행동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홍대용이 남긴 『계방일기(桂坊日記)』에는 경전이나 사서를 강론하면서 세손에 대해 입바른 소리를 하여 정조를 난처하게 한 일 등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시절 홍국영은 세손의 보호를 위해 어려운 일을 마다하지 않았다. 정조 말년에 김조순과 나눈 대화 속에는 다음과 같은 일이 있다. 사도세자의 죽음이 질병으로 인한 것이었다고 영조가 공표해주기를 바란 세손 시절의 정조가 홍국영을 보내서 김구주(金龜柱)를 만나게 하였다. 김구주는 병으로 인한 것이었다고 공표하게 되면 영조에게 누를 끼치는 일이라며 이를 거절했고, 홍국영이 돌아와 눈물을 흘리며 정조에게 고했다는 것이다. 이렇듯 홍국영은 정조의 세손시절 가장 가까이에서 어려운 일을 도맡아 처리하였고, 이런 과정에서 얻은 정조로부터의 신임은 정조 즉위 후 유례없을 정도로 빠른 승진의 바탕이 되었다.

1776년 3월 정조가 즉위한 지 며칠 만에 홍국영은 승정원 동부승지에 임명되었고, 좌승지와 이조참의 등을 거쳐 7월에는 도승지의 자리에 올랐다. 수년 후 갑자기 정계를 떠나기 전까지 이 자리를 지켰다. 9월 규장각을 창설했을 때에는 규장각 직제학에 임명되었다. 11월에는 정조가 홍국영을 수어사에 임명하여 장신의 임무를 맡겼다. 정조는 나라를 엿보는 이들이 여전한 때에 심복할 수 있는 사람에게 병권을 맡기고 싶다고 하며 홍국영에 대한 신임을 보였다.

1777년 1월에는 금위대장에 임명되었다. 이해 7월에 궁궐에 침입하여 정조를 시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8월에 홍술해 등이 정조와 홍국영을 죽이고 이찬(李瓚)을 추대하려 한 역모를 처리하였고, 11월에는 궁궐 안에 새로 설치된 숙위소를 책임지는 숙위대장에 임명되었다. 1778년 4월에는 훈련대장에 임명되었다.

정조 초반 홍국영은 훈척과 다를 바 없다며 우대되었던 서명선 및 정민시 등 궁료 출신의 측신 신하들과 함께 왕위 계승에까지 개입하며 권력을 농단하던 척신들과 권신들을 조정에서 축출하는데 앞장섰다. 노론 청명당 계열의 김종수(金鍾秀), 정이환(鄭履煥) 등도 적극적으로 연대하였다. 우선 홍인한(洪麟漢)·정후겸(鄭厚謙) 등 정조의 즉위를 방해했던 척신 세력과 조재한(趙載翰)·이명휘(李明徽) 등 사도세자를 위한다고 나선 이들을 제거하였다. 또한 외척 홍봉한(洪鳳漢)과 김구주(金龜柱)를 공격하여 홍봉한을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게 하고 김구주도 흑산도에 유배시켜 세력을 와해시켰다.

이러한 정치적 처분들과 함께 정조의 의리론에 입각한 정치를 수립하는 일도 적극 주도하였다. 송시열(宋時烈)을 효종 묘정(廟廷)에 추가로 배향하는 일을 주장하여 결국 관철시켰고, 노론의 신임의리를 주장하다가 죽임을 당한 이의연(李義淵)에게 증직하는 일, 노론계 산림 김창흡(金昌翕)·이재(李縡)에게 벼슬을 높여 주고, 충청도 지역의 노론계 산림학자들을 우대하고자 하는 조정의 뜻을 보이기도 했다. 윤선거(尹宣擧), 윤증(尹拯) 부자의 관직 삭탈로 홍국영의 건의에 의한 것이었다.

3 척신이 되어 세도를 농단하다.

정조 초반 홍국영에게 지나치게 권력이 집중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홍국영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자신의 누이동생을 정조의 후궁으로 들여보내 그 이상의 권력을 꿈꾸었다. 1778년 당시 정조는 중궁전과의 사이에서 소생이 없어 빈어(嬪御)를 들여 후사를 도모하려 하였다. 이 때 홍국영의 누이동생이 간택되어 가례를 올리고 원빈에 책봉되었다.

1779년 5월 원빈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탄탄대로처럼 보였던 홍국영의 출세도 막을 내리게 된다. 홍국영은 원빈의 죽음에 의혹이 있다고 보고 내전의 나인들을 혹형을 가하면서 심문하기도 했고, 원빈이라는 시호와 원칙에 위배되는 궁원제 적용, 은언군의 맏아들 상계군(常溪君) 이담(李湛)을 원빈의 양자로 삼아 ‘완풍군(完豊君)’이라는 작호를 준 일 등으로 구설에 올랐다. 내전의 나인들을 마음대로 심문함으로써 왕대비, 혜경궁, 중궁전을 핍박했고, 왕의 사친에게만 적용하는 궁원제(宮園制)를 적용하여 묘소를 꾸민 일, 전주 이씨를 뜻하는 ‘완’과 풍산 홍씨를 뜻하는 ‘풍’을 써서 원빈 양자의 작호를 정하고 그를 정조의 후계자로 삼으려 했던 일 등이 문제가 된 것이다.

1779년 9월 26일 홍국영은 도승지의 자리 뿐 아니라 정계에서 물러나겠다는 상소를 올렸다. 정조는 옛날에 없던 흑발의 봉조하(奉朝賀)도 있게 되었다며 은퇴를 결심한 홍국영에게 봉조하의 직함을 수여하고 선마의식(宣麻儀式)을 거행했다.

홍국영은 스스로 물러나는 형식을 취했지만, 사실상 정조가 그가 보전될 수 있도록 기회를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조는 왜 그가 물러나는 것을 만류하지 않느냐는 주위의 말에 대해 넌지시 그와의 특별한 인연 때문에 홍국영이 지금에 이르렀으나 여기에서 물러나게 해주는 것이 그를 보전해주는 것이라고 그가 물러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임을 암시하였다. 같은 날 실록에서는 홍국영이 권력을 전횡한 일 뿐 아니라 숙위소에 있으면서 의녀 및 침선비와 더러운 짓을 하였다거나, 평상시 다리가 높은 평상을 두고 맨발로 다리를 뻗고 앉아 방문한 공경, 재상까지도 평상 아래에서 절하게 했다는 등 그의 오만방자한 평상시 행동거지까지 비판하고 있다.

홍국영은 은퇴를 기정사실화 한 정조의 처분을 듣고 바로 강교로 나갔지만, 재기를 꿈꾸었던 것으로 보인다. 홍국영의 은퇴 선언 후 그 내막을 잘 모르던 송덕상(宋德象)과 김종후(金鍾厚) 등은 그가 정조 초년에 했던 역할을 거론하며 만류해야 한다고 청하기도 했고, 홍국영을 물러나는 것을 만류하지 않았다고 하여 서명선을 공격하기도 했다.

1780년 1월 정조가 홍국영을 돌아오게 하려 애쓴 홍낙순(洪樂純)의 잘못을 열거하고 관작을 삭탈하고 내쫒으면서 홍국영에 대한 처분도 돌이킬 수 없는 일이 되었다.

1780년 2월 26일 김종수가 왕실의 후계자를 보는 일을 막으며 기회를 엿본 홍국영의 죄를 지적하며 귀양을 보내라는 상소를 올렸고, 정조는 홍국영이 이런 처지에 빠지게 된 것을 자책하며 전리에 방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후 그의 역심에 대한 조정의 공격이 이어졌고 홍국영과 가까웠던 사람들도 잇달아 공격을 받고 물러났다. 횡성에 이어 강릉에까지 쫓겨난 홍국영은 실의에 빠져 술로 세월을 보내다가 1781년 4월에 병으로 죽었다. 정조는 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공이 지대한 홍국영을 많이 의지하여 중한 지위를 맡겨 위엄을 갖고 나라를 위해 일하도록 하였는데, 스스로 삼가지 않고 오직 총애만을 믿고 위엄과 복록을 멋대로 사용하다가 끝내는 돌이킬 수 없는 죄를 짓게 되었다고 하고, 이것이 모두 자신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자책했다.

홍국영의 축출 이후 정조의 사류를 중심으로 한 탕평정치와 개혁도 본 궤도에 오를 수 있었다. 홍국영은 정조가 평한 말 그대로 나라를 위한다는 충심과 기개로 조선시대 어느 누구보다도 권병을 한 손에 쥘 수 있었지만, 그 권력을 제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몰랐다. 공공을 위해 권력을 쓰지 않고 사익을 위해 사용하는 순간 그는 모든 것을 하루아침에 잃었고, 아무도 찾지 않는 바닷가에서 쓸쓸히 생을 마감해야 했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