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조선
  • 악학궤범

악학궤범[樂學軌範]

조선의 음악을 담다

1493년(성종 24)

악학궤범 대표 이미지

악학궤범 표지

e뮤지엄(우륵박물관)

1 개요

『악학궤범(樂學軌範)』은 조선 성종대 편찬된 음악 서적으로, 모두 9권 3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궁중 음악인 아악(雅樂)과 중국 전래 음악인 당악(唐樂), 전통 고유의 음악인 향악(鄕樂)을 글과 그림으로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1493년(성종 24) 왕명에 의해 예조판서 성현(成俔) 등이 편찬에 참여하였다.

유교 국가인 조선에서는 예와 악을 함께 존숭하였는데, 의례를 정리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편찬 이후 음악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악학궤범』은 조선시대 음악의 원리와 악기, 악보, 악곡 등 그 실체를 상세히 담고 있어 이 시기 음악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기록 유산이라 할 수 있다.

2 예악 제도의 정비, 그 마지막 결실로서의 『악학궤범』 편찬

『악학궤범』은 1493년(성종 24) 왕명에 의해 편찬되었다. 『악학궤범』이 편찬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 배경이 있다. 우선, 『악학궤범』의 〈서문〉에서 성현(成俔)은 “의궤(儀軌)와 악보가 오래되면서 헤어지고 파손되었으며, 다행히 보존된 것도 역시 내용이 소략하고 오류가 있으며 빠진 곳도 많다.”는 이유를 언급하였다. 성종은 세종 이후에 정리되었던 선현(先賢)들의 음악이 폐지될 우려가 있다고 여겼다. 따라서 새로운 음악의 규범을 담은 책을 편찬하여 후세에 전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악학궤범』의 편찬에는 이보다 좀 더 궁극적인 목적도 있었다. 『악학궤범』이 완성된 성종대는 성리학의 이념에 기초한 여러 법제가 완비되었던 시점이었다. 일반적으로 예(禮)와 악(樂)은 항상 함께 언급한다. 이 둘은 상호 보완적인 성격이 있다. 의례 현장에는 항상 음악이 구비되어야 했는데, 이는 유교 경전에서 늘 강조하던 부분이다. 중국 고대의 의례 서적인 『예기(禮記)』에서는 “예악을 두루 갖추어야 완벽하다.”라고 하였다.

일찍이 『국조오례의』를 통해 의례를 정비한 성종은 항상 예와 짝을 같이 하는 악의 정리를 고심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국가 제도 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악학궤범』이 편찬되었던 것이다. 성종대는 의례의 정비로서 『국조오례의』, 법전의 정비로서 『경국대전』, 음악의 정비로서 『악학궤범』이 편찬되며 국가의 중요한 전장제도를 갖추게 되었다.

한편으로 『악학궤범』은 아악과 당악, 향악을 수록하여 당대 음악을 명확히 분류하였다. 이는 세속적인 음악이 아닌 교화를 위한 음악을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였다. 아악은 궁중 음악으로 국가 의식을 시행할 때 사용되는 음악이다. 당악은 중국에서 전래된 음악이고, 향악은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이다. 성종은 우리 고유의 음악인 향악을 존중하면서도 당악을 본받아 아악을 중심으로 음악을 정비하였고 그 결실을 『악학궤범』에 정리하였다.

3 『악학궤범』의 편찬자와 전래 과정

성종대 『악학궤범』의 편찬은 1489년(성종 20) 무렵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종은 성현(成俔)에게 그 책임을 일임하였다. 당시 성현은 예조판서이면서 장악원(掌樂院)의 제조를 겸임하고 있었다. 장악원은 조선시대 음악과 관련된 사무를 책임지는 관서였다. 자연히 『악학궤범』 편찬은 장악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악학궤범』 편찬을 담당한 인원은 예조판서 성현, 장악원 제조 유자광(柳子光), 장악원 주부 신말평(申末平), 전악(典樂) 박곤(朴棍), 김복근(金福根) 등이 되었다. 이 가운데 성현은 음악에 조예가 깊은 인물로 정평이 나 있었다. 유자광은 “장악원 제조는 성현이 아니면 안됩니다.”라고 간언할 정도였다. 또한 신말평 역시 당시 조정 신료들 가운데 “마음을 다하여 음률을 익힌 사람”이라고 인정을 받았다. 박곤도 음률에 능한 사람으로 정평이 나 있던 인물이었다. 이처럼 음악에 유능한 인재들이 『악학궤범』 편찬에 참여하였고, 1493년(성종 24)에 이르러 『악학궤범』이 완성되었다.

임진왜란 때에는 조정의 악기가 모두 소실되었지만, 『악학궤범』은 무사하였다. 그리하여 『악학궤범』을 토대로 하여 악기와 악보를 복원할 수 있었다. 이후 1610년(광해군 2), 1655년(효종 6), 1743년(영조 19)에 재간행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도 고전간행회에서 영인본(影印本)을 간행하기도 하였다. 한편, 1968년에는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던 임진왜란 이전의 판본이 일본 호사문고(蓬佐文庫)에서 발견되어 연세대학교에서 영인하였다. 1979년에는 이 판본으로 민족문화추진회에서 국역 간행하였다. 한국에 보존된 가장 오래된 판본은 1610년본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소장하고 있다.

4 음률의 원리와 악기, 악보, 복식을 그림과 함께 기록하다

『악학궤범』의 서문에는 책의 구성 원리가 실려 있다. “먼저 음률(音律)을 만드는 원리를 말하고, 그 다음에 음률을 사용하는 방법을 말하였으며, 이어 악기와 의물(儀物)을 제작하는 것과 춤의 절차까지 모두 기록하였다.”라고 하였다. 서문의 구성 원리에 따라, 전체 9권으로 간행된 『악학궤범』의 내용은 그림을 적절히 활용하여 아악과 당악, 향악 등의 이론과 제도, 법식을 수록하였다.

1권에서는 음률을 만든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제일 첫 내용은 60조(調)로 시작한다. 60조는 5성(聲)과 12율(律)을 배합한 것이다. 5성은 5조(調)라고도 하는데, 중국음악에서 전래된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를 말한다. 이들 각 조는 모두 12개의 율을 가졌다. 12율은 아악(雅樂)에서 사용하는 12개의 음계이다. 12율은 1옥타브의 음역대를 가졌다. 12율을 저음에서 부터 보면, 황종(黃鍾:C), 대려(大呂:C#), 태주(太簇:D), 협종(夾鍾:D#), 고선(姑洗:E), 중려(仲呂:F), 유빈(蕤賓:F#), 임종(林鍾:G), 이칙(夷則:G#), 남려(南呂:A), 무역(無射:A#), 응종(應鍾:B)이라고 부르는 음역을 확인할 수 있다. 황종을 도(C)로 보면, 응종은 시(B)가 되는데, 이들 12율은 하나의 옥타브를 형성한다. 즉, 60조는 이러한 5성과 12율의 음계에서 중심음(中心音)이 되는 부분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소개하고 있다. 60조 이후의 내용은 성종대의 악기를 설명하거나 음률을 설명하는 각종 도설 등 다양한 음률에 대한 원리를 수록하고 있다.

2권은 성종대 국가 제사와 의례에 사용하는 악기를 배치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즉, 아악진설도설(雅樂陳設圖說)과 속악진설도설(俗樂陳設圖說)이 그것이다. 여기는 아악에 악기를 배치하는 방식과 속악, 즉 향악에 악기를 배치하는 방식이 그림과 함께 소개되어 있다. 여기에는 국가의례에 사용되는 아악의 악보와 악장을 함께 수록했고, 또 조회나 연향(宴享)에 사용할 여러 음악의 이름과 춤도 기술하였다. 즉, 국가의례에 사용할 아악과 속악의 배치 방식을 소개한 것이다.

3권부터 5권까지는 당악과 향악의 정재(呈才)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정재는 궁중 무용을 뜻한다. 3권에서는 먼저 『고려사(高麗史)』의 「악지(樂誌)」에 나온 당악정재(唐樂呈才)와 속악정재(俗樂呈才)를 설명하였다. 역사 속으로 사라진 고려시대의 당악과 속악에 사용된 무용을 우선 기록하여 우리나라 음악의 전통을 이해하게 하였다. 이어 4권에서는 성종 당대에 실시한 당악정재도의(唐樂呈才圖儀)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여기에는 고려시대에는 없던 악기인 박(拍)이 추가되어서 구성이 변화된 당악정재의 내용을 설명하였다. 5권에서는 성종대에 실시한 향악정재도의(鄕樂呈才圖儀)를 수록하고 설명하였다. 특히, 5권에서는 한글로 쓰여진 〈동동〉, 〈정읍사〉, 〈처용가〉 등의 향악도 수록하고 있는데, 〈정읍사〉의 경우에는 오직 『악학궤범』에만 볼 수 있어 국문학 이해에도 소중한 사료이다.

6권과 7권은 악기에 대한 설명이다. 이 부분에서는 악기의 전체 모양을 보여주고 이어 그 재료와 크기를 서술하여 나중에도 똑같은 악기를 제작할 수 있게 하였다. 6권에서는 아악 연주 악기에 대한 아부악기도설(雅部樂器圖說)을, 7권에서는 중국에서 유래된 당악을 연주하는 악기에 대한 당부악기도설(唐部樂器圖說)을 수록하였다.

8권은 당악정재의물도설(唐樂呈才儀物圖說)과 향악정재악기도설(鄕樂呈才樂器圖說)을 수록하였다. 당악정재의물도설은 당악의 정재에 사용하는 의물과 복식을, 향악정재악기도설은 아박(牙拍)과 향발(響鈸), 무고(舞鼓) 등 춤을 추는 사람이 쓰는 악기를 그림으로 그리고 실물 크기를 기록하여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9권은 관복도설(冠服圖說)로서, 악사(樂師)와 악공(樂工)들이 입었던 관복과 처용과 무동(舞童) 등이 입었던 복식을 그림으로 그리고 그 치수를 적어서 관복을 제작할 수 있게 하였다.

5 『악학궤범』의 가치와 의미

『악학궤범』에는 12율과 5성 등 당대의 음률 형식은 물론, 제향에 쓰이는 악조(樂調), 그리고 악기를 진설하는 방법과 무용의 방식, 악기나 의물, 복식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궁중 음악의 필수적인 사항들을 모두 망라하였다. 또한 그림을 함께 수록하여서 나중에 이를 모방하여 악기를 제작하고, 궁중 정재(呈才)를 재현할 수 있는 바탕이 되게 하였다. 이는 오늘날에도 조선시대의 음악을 복구하고 재현하는 데 큰 도움이 되며, 학술적인 면에서도 중요한 기여를 하는 실용적 서적이라 할 수 있다.

『악학궤범』과 같이 상세한 형식과 내용을 갖춘 음악 서적은 세계사적으로도 유래를 찾기 힘들다. 『악학궤범』은 음악이론과 악기편성, 악보나 악곡 등의 음악 문화 전승이라는 음악학 분야에서의 가치만이 아니라, 국어학과 미술사, 복식사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악학궤범』에는 고려가요의 가사도 수록되어 있어 15세기의 악장문학(樂章文學)을 연구할 수 있다. 또한 연주자와 무용수의 복식이 기록되어 있어 복식사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더욱이 악기, 의물, 복식을 그림으로 그려놓고 그 재료와 색채에 대한 설명을 덧붙여서 미술사적으로도 큰 가치가 있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