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
  • 제3장 정비된 혼인, 일탈된 성
  • 1. 올바른 혼인
  • 어떻게 하는 것이 올바른 혼인인가
  • 양인과 천인은 서로 혼인할 수 없다
이순구

“갑오년 6월 28일 이후에 양인(良人) 남편에게 시집가서 낳은 공사(公私) 비(婢)들의 소생은 경술년 가을부터 3년마다 한 차례씩 조사하여 장적(帳籍)을 만들었습니다. 그러하오나 사천(私賤)인 경우 그들 주인은 비 소생을 천인으로 만들려고 (비가) 기한 전에 시집갔다고 주장하고, 반대로 그 양인 남편과 비들은 자신의 아이들은 양인이 되게 하려고 스스로 기한 후에 시집갔다고 말하면서 서로 고소하고 있습니다. 심한 자는 그의 남편을 남편으로 하지 않고, 천부(賤夫)에게서 난 소생을 양부(良夫) 소생이라 고쳐 이르는가 하면, 그 본래의 주인은 또 양부의 소생까지도 오히려 천부의 소생이라 일컬으며, 서로 다투고 거짓으로 꾸며 대면서 부자(父子)를 바꾸고 있으니, 그 옳고 그름을 알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윤상(倫常)을 상하게 하고 풍속을 무너뜨림이 이에서 더 심할 수가 없습니다. 이제부터 이와 같은 고소가 있으면, 이를 관장하는 도관(都官)에 보내어 명백히 분별 한 뒤에 장적을 만들도록 하고, 또 유사(攸司)에 송치하여 깊이 징계하여 뒷사람을 감계(鑑戒)하도록 하옵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132)『세종실록』 권21, 세종 13년 1월 경오.

확대보기
자리짜기
자리짜기
팝업창 닫기

국가는 국역을 확보하기 위해 양인이 줄어드는 것을 원치 않았다. 양인이 노비와 혼인하여 그 소생이 다시 노비가 되는 것은 국가 양역(良役)에 손실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가가 양인의 혼인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즉 이들에게 바라는 바람직한 혼인은 신분이 서로 혼효되지 않아서 국익에 손해가 되지 않는 것에 집중되어 있을 뿐이었다. 친영을 하고 예를 갖추는 혼인은 양인 이하의 사람들에게는 애초에 요구되지 않았던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