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2권 배움과 가르침의 끝없는 열정
  • 제2장 조선시대의 배움과 가르침
  • 서당
  • 평가와 상벌
임하영

강독의 평가 절차를 ‘강(講)’이라 한다. 강은 이미 배운 글을 소리 높이 읽고 그 뜻을 질의 응답하는 것으로서, 평가이자 서당의 교육 방법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서당의 하루 일과는 전날 배운 것을 평가하는 일강(日講)으로 시작된다. 학생들은 훈장 앞에서 교재를 덮은 뒤 눈을 감고 바로 앉거나 뒤돌아 앉 아 전날 배운 글이나 문장을 외워 뜻을 풀이하고 훈장의 질문에 완전히 대답할 수 있어야 새로운 내용을 배울 수 있게 된다. 만약 여기서 통과하지 못하면 종아리를 맞고 전날 배운 것을 반복하게 된다. 날마다 하는 평가 이외에도 단원과 문장 구절에 따라 5일강, 10일강, 월강(月講) 등 다양한 형태가 있었다.

확대보기
벌 받는 학동
벌 받는 학동
팝업창 닫기

평가 등급은 요즘의 ‘수-우-미-양-가’처럼 5등급으로 나뉘었다. 5등급은 순-통-약-조-불 또는 대통-통-약-조-불로 이루어졌다. ‘조’ 이상은 합격이었고, ‘불’은 불합격으로 반복 학습 대상이었다.

강에 능숙하여 ‘순’이나 ‘대통’을 받거나 하과 때 장원이 된 사람은 주위의 칭찬과 격려를 받았을 뿐 아니라 훈장에게 상을 받기도 하였다. 칭찬의 의미로 서당 내의 벽에 몇 달 동안 상장을 붙여 놓거나 상으로 종이나 붓 같은 문구류를 받았다.

벌은 강에 통과하지 못하거나 학업을 게을리 하고 행실이 바르지 못할 때에 가해졌다. 회초리로 종아리를 때리거나 오랫동안 꿇어앉히기, 손들고 서 있기, 냉수 마시기 등의 벌이 있었다. 이 밖에도 학부모가 훈장에게 부탁하여 체벌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를 ‘달초(撻楚) 또는 초달(楚撻)’이라고 불렀다. 달초는 회초리로 종아리가 부르트도록 때려 벌하는 것으로, “서당 아이들은 달초에 매여 산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아이들이 무서워하는 벌이었다.

제술은 주로 특별 행사 때에 많이 평가하였으며, 가끔 전시회 형식으로 습자 평가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확대보기
서당 성적표
서당 성적표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