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3권 거상, 전국 상권을 장악하다
  • 제2장 시전 상인의 조직과 도성 문화
  • 2. 시전 상업의 시기적 변화
  • 조선 중기 한양 상업의 동요와 재편
고동환

16세기 이래 순조롭게 발전하던 한양의 상업은 후반기에 이르러 소빙기 기후에 따른 자연재해의 집중과 여파로 발생한 두 차례 전란으로 크게 동요되었다. 한양은 임진왜란 당시 왜군에 점령된 기간은 채 1년도 되지 않았지만, 시전 상업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전쟁은 상업 시설과 같은 상업의 외형은 철저하게 붕괴시켰지만, 농토에 묶여 있어서 장사에 익숙하지 않았던 많은 농민들을 장사의 길로 내모는 기능을 하였다.

확대보기
연행도(燕行圖)
연행도(燕行圖)
팝업창 닫기

피난길에 나선 농민들은 부족한 물자를 최대한으로 활용해야 하였다. 그러므로 민간 사이에 다양한 물물 교환이 발달하여 국가 차원의 상품 유통 경제가 아니라 농민 차원의 생계형 상품 유통 경제가 활성화되었다. 그 결과 농촌에서는 시장을 향한 생산이 진전되면서 농촌 장시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임진왜란 이전까지 장시가 없었던 경기 지역에도 장시가 크게 늘어났다. 또한 전쟁 과정에서 명나라 군대의 참전으로 은화(銀貨)가 널리 보급되어 금속 화폐 유통의 경제적 기반도 마련되었다. 이처럼 한양의 상업은 외형상으로는 붕괴되어 갔지만, 내부적으로는 경기 지역 장시와 연계가 밀접해지면서, 사치품 수요 중심의 시전 체제가 점차 농촌 장시와 연계성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변하였다.

임진왜란으로 붕괴된 한양의 상업 체제는 광해군 때를 전후하여 점차 복구되어 갔다. 한양의 시전 행랑이 복원되고, 상인들도 다시 모여들어 정상적인 상업 체제가 자리를 잡았다. 복구된 한양 상업 체제 아래서 시전 상인들은 임진왜란 이전의 상인들이 아닌 군병들과 일반 주민들로 새로 충원되었다. 시전 상인이 교체된 것이다.

17세기 중엽까지 관 주도의 경제 체제에 의지하여 성장하던 한양의 상업 체제는 17세기 후반 이후 국제 교역의 활성화를 계기로 크게 변모하기 시작하였다. 17세기 후반 이후 전개된 청-조선-일본의 국제 교역은 중국과 일본의 직교역로(直交易路)가 봉쇄된 상황에서 전개된 조선 상인의 중개 무역이었다. 조선 상인은 중국의 비단 원사를 수입하여 이를 왜관에서 일본 상인에게 은화를 받고 수출함으로써 막대한 이익을 남겼다. 1720년대까지 지속된 중개 무역을 통해 얻은 막대한 부는 대부분 한양의 역관(譯官) 계층과 권세 가문, 사상(私商)들에게 집적되었다.

확대보기
왜관도(倭館圖)
왜관도(倭館圖)
팝업창 닫기

앞서 언급한 『허생전』의 변 부자는 실제 인물인 역관 변승업(卞承業)이 모델이다. 변승업은 이 시기 중개 무역을 통해 조선 제일의 갑부가 될 수 있었다. 역관, 권문세가(權門勢家), 사상에게 집적된 부는 한양의 상품 화폐 경제를 민간 중심 상업 체제로 변화시킨 중요한 요소였다. 조선 전기까지 주로 국가적인 조세 수취 체제의 운용에 기반했던, 즉 중세 국가의 수도로서 국가적 상품 유통 경제의 중심 기능을 기반으로 성장하던 한양의 시전 상업 을 민간 유통 중심으로 크게 바꿔 놓았다. 그러므로 17세기 후반 이후에도 조선의 사회 경제는 여전히 농본 체제를 기본적으로 유지하였지만, 그 이전에 비해 유통 경제가 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한양의 상업 체제에서 국가 차원의 유통 경제 요소보다 민간 부분의 유통 경제 요소가 우위를 보이면서 한양에서는 종전의 시전 상인 외에 새로운 상업 세력도 등장하였다. 17세기 전반 시전 상인과 함께 한양의 상업계를 양분한 세력은 훈련도감(訓練都監) 군병(軍兵)들이었다. 이들은 급료로 받는 요포(料布)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정부에서는 이들의 상행위를 허용하였다.

그러나 병자호란 이후 군사적 위협이 완화되면서 이들의 상업 행위에 제한이 가해지기 시작하였고, 1680년대 이후부터 점차 군병의 상업 활동은 위축되었다. 1680년대 이후 군병들은 독자적으로 상행위를 전개하기보다는 사상 난전 세력과 결탁하여 난전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은 평시서 시안(市案)에 등록하지 않은 자유 상인들이었다. 물론 17세기 전반에도 사상 난전 세력이 존재하긴 했지만, 당시에는 시전 상업계를 위협할 정도로 성장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17세기 후반 들어 한양을 중심으로 육상과 해상의 교통로가 눈부시게 발달하여 한양은 전국 상권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이 시기에 사상 세력들은 세력가나 궁방(宮房) 등과 결탁하여 외부에서 물품이 반입되는 요로를 장악하고 전(廛)을 벌이거나 시전 행랑을 차지하는 등 다양한 난전 상업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난전 활동은 시전 상인의 이익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이었으므로, 시전 상인의 난전 상인에 대한 금압(禁壓) 요구가 거세졌고, 이 과정에서 시전 상인의 이익을 옹호하는 금난전권도 확립되었다. 금난전권의 권리 내용은 난전 상인을 체포·구금하는 난전인 착납권(亂廛人捉納權)과 난전 상품을 압수하는 난전물 속공권(亂廛物屬公權)으로 구성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정비되기 시작한 17세기 한양의 시전 상업은 16세기의 방납과 대외 교역 등 주로 국가적 상품 유통 경제와 지배층의 사치품 유통에 토대를 둔 상업 구조를 그대로 계승한 것이었지만, 상인층의 교체와 장시 발달에 바탕한 농민적 상품 화폐 경제와 연관성을 지녔다는 점에서 16세기 상업 구조와는 달랐다. 특히 17세기 후반기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소빙기의 장기적인 자연재해가 남긴 상처에서 서서히 회복되었고, 이를 계기로 농업 생산력도 임진왜란 이전을 넘는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생산력 회복을 바탕으로 금속 화폐 유통도 성공적으로 뿌리내렸다.

또한, 1608년부터 1708년까지 100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실시된 대동법(大同法)은 현물 위주의 국가 재정을 화폐 재정으로 전환시키는 실마리를 마련하였을 뿐 아니라, 각종 토목 공사에 노동력을 고용하는 제도를 정착시킴으로써 노동력의 상품화도 진전시켰다. 그 결과 17세기 후반을 계기로 조선은 상품 화폐 경제로 진입할 수 있었다.18)고동환, 「17세기 서울 상업의 동요와 재편」, 『서울 상업사』, 태학사, 2000.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