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3권 거상, 전국 상권을 장악하다
  • 제2장 시전 상인의 조직과 도성 문화
  • 3. 시전의 종류와 판매 물종
  • 유분각전과 무분각전
고동환

육의전 외에도 항상적 수익이 있어서 정부에 매년 일정한 부담을 감당할 수 있는 시전을 유분각전(有分各廛)이라 했는데 육의전이 4분역 이상을 부담하는 시전이라면, 유분각전은 국역 부담 비율이 3분역 이하인 시전이었다. 반면 정부의 부담을 감당할 수 없는 영세한 시전도 있었는데 이를 무분각전(無分各廛)이라 하였다. 이들 가운데 몇몇 시전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자전(刀子廛) : 도자전에서는 주로 여인네들의 옷과 몸치장에 필요한 갖가지 장신구를 판매하였다. 왕실의 궁녀가 사용하는 화려한 비녀에서 여염집 아낙네의 민비녀에 이르기까지 온갖 장신구를 팔았다.

확대보기
진신
진신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운혜
운혜
팝업창 닫기

이전(履廛), 승혜전(繩鞋廛), 창전(昌廛) : 신은 소비량이 많은 생활필수품이었으므로 시장에서 널리 거래되었다. 이전과 승혜전 등에서 신을 판매하였는데, 조선시대의 신은 남녀, 신분, 옷에 따라 재료와 형태가 다양하였다. 조선시대 신의 재료로는 풀, 가죽, 나무를 썼고, 형태는 목이 긴 화(靴)와 목이 짧은 이(履)·혜(鞋)가 있었다. 이 가운데 가죽으로 만든 신은 목화(木靴), 백화(白靴), 수화자(水靴子), 녹피혜(鹿皮鞋), 진신(油鞋), 태사혜(太史鞋), 흑혜(黑鞋), 운혜(雲鞋), 당혜(唐鞋) 등이 있었다. 가죽신은 아무나 신을 수 없고 만들기도 까다로워서 양반 관료가 많은 한양에서 많이 팔려나갔다. 창전에서는 신발창만 따로 만들어 팔았다. 조선시대 신발은 오늘날과 달리 신발창이 먼저 닳았기 때문에 따로 창전이 생겨 그 수요를 감당하였다.

흑립전(黑笠廛), 백립전(白笠廛), 망건전(網巾廛) : 조선시대의 관모(冠帽)는 의관을 갖추는 데 꼭 필요하였기 때문에 시장의 주요한 상품이었다. 머리를 기른 조선시대 성인들은 단정하게 머리를 간수하기 위해서 관모가 꼭 필요하였고, 그 중에서도 상류층은 때와 장소에 맞추어 반드시 갖추어야 하였다.

확대보기
흑립과 백립
흑립과 백립
팝업창 닫기

상전(床廛) : 상전은 참빗, 얼레빗, 면빗, 쌈지, 줌치, 허리띠, 보료, 간지(簡紙), 주지(周紙), 당주지(唐周紙) 등 각종 물건을 판 잡화상이다. 상 위에 물건을 늘어 놓고 팔았다고 해서 상전이라고 불렀다. 온갖 물건을 팔아 수요가 많았기 때문에 상점의 숫자가 많았다.

연죽전(煙竹廛), 연초전(煙草廛) : 우리나라에 담배가 들어온 것은 17세기로, 끽연구(喫煙具)가 함께 보급되어 시전의 연초전과 연죽전에서 담배와 담배 용구를 팔았다. 담배는 중요한 기호품이어서 시전의 주요 물목이었다. 유득공(柳得恭)의 『경도잡지(京都雜志)』를 보면 조관(朝官)들은 반드시 연합(煙盒)이 있고, 비천한 사람은 존귀한 사람 앞에서 담배를 피우지 못한다고 하여 담배가 조관의 애용품인 동시에 권위의 상징이었음을 알 수 있다.

모든 시전에서 어떤 물건을 판매했는지 일일이 소개할 수 없어 표 ‘유분각전과 무분각전의 위치와 판매 물종’으로 정리하였다. 여기서는 국역 부담 비율을 나타내는 분역과 시전의 위치, 판매 물종을 나타내었다.

<표> 유분각전과 무분각전의 위치와 판매 물종
〈유분각전〉
시전 이름 분역 위치 판매 물종
연초전(煙草廛) 3   서초(西草)와 각종 연초
생선전(生鮮廛) 3 종로 서쪽 민어, 석어, 석수어, 도미, 준치, 고등어, 낙지, 소라, 오징어, 조개, 새우, 전어 등
상전(床廛)   13곳  
면빗, 참빗, 얼레빗, 쌈지, 줌치, 허리띠, 총전, 보료, 모담자, 간지, 주지, 당주지 등
망문상전(望門床廛) 3 의금부 망문 앞
신상전(新床廛) 2 안국방 주변
동상전(東床廛) 1 종루 남쪽
수진상전(壽進床廛) 1 수진방
포상전(布床廛)   종로 포전 앞
철상전(鐵床廛)   철물교 주변
필상전(筆床廛)   필동 주변
남문상전(南門床廛)   남대문 근처
염상전(鹽床廛)   염전 앞
병문상전(屛門床廛)    
정릉동상전(貞陵洞床廛)   정릉동 주변
동현상전(銅峴床廛)   구리개
지상전(紙床廛)   지전 앞
미전(米廛)   5곳  
하미, 중미, 극상미, 찹쌀, 좁쌀, 기장쌀, 녹두, 청태, 적두팥, 마채, 중태, 기름태 등
상미전(上米廛) 3 철물교 서쪽
하미전(下米廛) 3 철물교 동쪽
문외미전(門外米廛) 2 남대문 밖
서강미전(西江米廛)   서강
마포미전(麻浦米廛)   마포
잡곡전(雜穀廛) 3 철물교 서쪽 미곡 이외의 잡곡 판매
유기전(鍮器廛)·바리전(鉢里廛) 2 어물전 뒤쪽 각종 유기류 판매 : 조반기, 대접, 주발, 탕기, 보시기, 종지, 바리, 발탕기, 쟁첩, 양푼, 쟁반, 접시, 향로, 요강, 촛대, 조치, 타구 등
은국전(銀麴廛) 2 입전 병문 근처 누룩 판매
의전(衣廛)·고착전(古着廛)·넝마전 2 종루 주변 의류 대여업 및 헌옷 판매
면화전(棉花廛)·면자전(綿子廛) 2 광통교 주변 면화 등 솜 판매
이전(履廛)·혜전(鞋廛) 2 종루 주변을 비롯한 각처에 산재 각종 가죽신. 유정혜(油釘鞋)는 종루의 혜전에서만 판매
화피전(樺皮廛) 1 종루의 동쪽 각종 채색 물감과 중국산 과실
인석전(茵席廛) 1 수진방 왕골과 부들로 만든 돗자리류
진사전(眞絲廛) 1 의금부 주변 중국 실과 국산 실, 갓끈, 주머니 끈
청밀전(淸蜜廛) 1   각종 꿀
경염전(京鹽廛) 1 이현 소금, 꼴뚜기젓, 황석어젓
체계전(髢髻廛) 1 내전은 광통교 외전은 서소문 밖 부인들이 머리에 얹는 가발류
내장목전(內長木廛) 1 여러 곳에 산재 가옥 건축용 목재
철물전(鐵物廛) 1 여러 곳에 산재 주로 주물한 각종 철물
연죽전(煙竹廛) 1 여러 곳에 산재 담뱃대와 재떨이
내·외시저전(內·外匙箸廛) 1 내전은 종루 주변 외전은 서소문 밖 유기로 제작한 수저류
우전(牛廛) 1  
마전(馬廛) 1 동대문 안쪽에 소재 마필
〈무분각전〉
시전 이름 위치 판매 물종
외장목전(外長木廛) 성 밖에 소재 가옥 건축용 목재
채소전(菜蔬廛) 종루와 칠패에 소재 각종 채소나 나물류
우전(隅廛)·모전(毛廛) 6곳  
각종 과일 판매 : 청실뇌, 홍실뇌, 건시, 홍시, 조홍시, 밤, 대추, 호두, 잣, 포도, 경도, 자두, 석류, 유자, 복숭아, 용안, 여지, 당대추
송현우전(松峴隅廛) 안국동 근처
정릉동우전(貞陵洞隅廛) 정릉 근처
문외우전(門外隅廛) 남대문 밖 주변
상우전(上隅廛)  
하우전(下隅廛)  
전우전(典隅廛) 전동 주변
혜정교잡전(惠政橋雜廛) 혜정교 옆 양산, 편박(발), 지거(횃불) 등
세물전(貰物廛) 여러 곳에 산재 혼인이나 상례 때에 필요한 각종 물건이나 그릇 등 대여. 건당 대여료는 10전 미만
양태전(凉臺廛) 종루 주변 갓을 만드는 양태
내·외전립전(內·外戰笠廛) 내전은 유전교 외전은 돈의문 밖 기타 여러 곳에 산재 군병들이 쓰는 갓인 우모 전립
잡철전(雜鐵廛) 여러 곳에 산재 적쇠, 못, 솥 등 각종 철물
염전(鹽廛)   소금
침자전(針子廛)   바늘류
내·외분전(內·外粉廛) 내전은 종루 주변 외전은 서소문 밖 화장품 판매. 여인이 판매를 담당(여인전)
족두리전   족두리 및 아녀자의 패물류
생치전(生雉廛) 생선전의 병문에 소재 꿩고기
망건전(網巾廛) 아침에는 서소문 밖, 낮에는 종루 주변 망건
고초전(藁草廛)   지붕 잇는 볏짚, 울타리 엮는 싸리
이저전(履底廛)·혜저전(鞋底廛)·창전(昌廛) 입전동(笠廛洞) 주변 가죽 신발의 밑창
저육전(猪肉廛) 도성 안에 70∼80곳 돼지고기
파자전(笆子廛)   울타리를 엮는 발
합회전(蛤灰廛)   조개류
전촉전(箭鏃廛) 동대문 안 화살촉
도자전(刀子廛) 새벽에 종루 주변에서 노점을 벌여 판매 각종 패물류 : 용잠, 봉잠, 서복잠, 간화잠, 창포잠, 민죽절, 쪽비녀, 은가락지, 옥가락지, 밀화지환, 금패호박가락지, 금가락지, 노리개류(대삼작, 소삼작, 옥나비, 금벌이, 산호가지, 밀화불수), 장도류(옥장도, 대모장도 등), 각종 노리개
염수전(鹽水廛)·간수전(艮水廛)   두부를 만들 때 필요한 간수
종자전(種子廛) 여러 곳에 산재 각종 채소의 종자
남문외해전(南門外醢廛) 남대문 밖 젓갈류
칠목기전(漆木器廛)·장전(欌廛) 광통교 소재 각종 칠목기와 궤, 장롱
상·하목기전(上·下木器廛) 상전은 육조 거리 하전은 이현 목기류
현방(懸房) 도성 내외에 23곳 쇠고기
그림전 광통교 아래 각종 그림
초물전(草物廛) 서소문 밖 왕골이나 볏짚으로 만든 물건, 나막신 등
약전(藥廛) 구리개 주변 각종 약재 판매 : 인삼, 사삼, 현삼, 황련, 황금, 황백, 진피, 청피, 대복피, 감초, 자초, 하고초, 우황, 타황, 구황, 웅담, 구담, 사담, 침향, 정향, 당사향, 용뇌, 용안, 용골, 소합환, 광제환, 태을환, 소침환, 청심환, 안신환, 포룡환, 만응환, 운모고, 우황고, 오독고, 신이고, 제중단, 옥추단, 벽온단, 자금단, 옥설, 금설, 진주설, 금박, 은박 호박설, 민강, 귤병, 금전병, 녹용고, 경옥고 등
계전(鷄廛) 광통교 주변
계아전(鷄兒廛) 광통교 계전과 이웃함 계란
복마제구전(卜馬諸具廛)   짐을 싣는 말에 필요한 마구류
내·외세기전(內·外貰器廛)   그릇 대여점
승혜전(繩鞋廛)   미투리, 짚신
등전(鐙廛) 광통교 주변 말안장 등 마구
백립전(白笠廛)   백립(가는 대나무로 틀을 짠 위에 베를 씌워 만든 갓으로 포립이라고도 함)
초립전(草笠廛)   초립(관례를 막 끝낸 아동이나 관아의 심부름꾼, 광대 등이 쓰는 챙이 짧은 갓)
흑립전(黑笠廛)   흑립(검은색 갓)
교자전(橋子廛)   교자
백당전(白糖廛) 여러 곳에 산재 엿 판매 : 아동들이 엿판을 지고 길거리에서 판매
좌반전(佐飯廛) 4곳  
조린 어물 등 반찬
생선(生鮮)좌반전 여러 곳에 산재
상미(上米)좌반전  
내어물(內魚物)좌반전  
외어물(外魚物)좌반전  
월외전(月外廛)    
모자전(帽子廛)   중국산 모자
징전(徵廛)  
모의전(毛衣廛)    
절초전(折草廛)   절초
거자전(炬子廛)    
우방전(牛肪廛)   소에서 나오는 기름 판매
판자전(板子廛)    
유롱전(杻籠廛)    
사립전(蓑笠廛)    
마포염전(麻浦鹽廛) 마포 소금 판매
마포칠목전(麻浦柒木廛) 마포 목재류 판매
마포잡물전(麻浦雜物廛) 마포 잡화 판매
마포간수전(麻浦艮水廛) 마포 두부를 만들 때 필요한 간수 판매
토정고초전(土亭藁草廛) 마포의 토정 지역 지붕 잇는 볏짚, 울타리 엮는 싸리 등 판매
토정시목전(土亭柴木廛) 마포의 토정 지역 땔감 판매
두모포시목전(豆毛浦柴木廛) 두모포 땔감 판매
용산시목전(龍山柴木廛) 용산 땔감 판매
용산소시목전(龍山小柴木廛) 용산 땔감 판매
옹리합회전(瓮里蛤灰廛) 용산의 옹리 지역 조개류 판매
서강시목전(西江柴木廛) 서강 땔감 판매
흑석리시목전(黑石里柴木廛) 서강의 흑석리 지역 땔감 판매
뚝섬시목전 뚝섬 땔감 판매
뚝섬소시목전 뚝섬 땔감 판매
✽『만기요람』 재용편, 시전 ; 『동국여지비고』 권2, 한성부 시전 ; 『비변사등록』 166책, 정조 8년 3월 21일 「각전시민전화산대별단(各廛市民錢貨散貸別單)」.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