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3권 거상, 전국 상권을 장악하다
  • 제2장 시전 상인의 조직과 도성 문화
  • 5. 조선 후기 한양의 도시 문화
  • 인구 증가와 상업 도시화
고동환

17세기 후반 이후 조선 사회는 대동법의 실시와 금속 화폐의 유통으로 전국적으로 상업이 발달하였다. 이 시기에는 부(富)의 일반적 형태가 토지에서 점차 화폐로 전화되었다. 토지와 노비 그리고 권력을 소유한 사람이 부자인 것이 아니라 이제는 돈을 많이 소유한 사람이 부자로 인정받은 것이다. 앞서 『허생전』의 변 부자는 비록 중인에 지나지 않았지만, 엄청난 화폐 자본을 축적함으로써 한양에서 최고 부자로 꼽힌 것이다. 이와 같은 상품 화폐 경제가 농가 경제에 널리 침투하면서 농민층 분해가 심화되었고, 이는 노동력의 상품화를 촉진시켰다. 조선 후기 노동력의 상품화 양상은 유명한 『흥부전』에 나오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웅변하고 있다.

흥부 아내는 이 말에 순종하여 서로 나가서 품을 팔기로 하더라. 방아찧기, 술집에서 술 거르기, 초상난 집의 제복(祭服) 짓기, 대사 치르는 집의 그릇닦기, 굿하는 집의 떡 만들기, 시궁발치의 오줌치기, 해빙(解氷) 때면 나물캐기, 봄보리를 갈아 보리놓기, 이렇듯 온갖 일에 품을 팔고, 흥부는 이월동 풍에 가래질하기, 삼사월에 부침질하기, 일등전답의 무논(水畓)갈기, 이집저집 돌아가며 이엉엮기, 궂은 날에는 멍석맺기, 시장 갓에 나무베기, 곡식 장수의 역인(驛人)서기, 각 읍 주인들의 삯일가기, 술밥 먹고 말짐싣기, 닷 푼 받고 말편자박기, 두 푼 받고 똥재치기, 한 푼 받고 비매기, 식전이면 마당쓸기, 이웃집의 물긷기, 전주 감영의 돈짐지기, 대구 감영의 태전지기, 이렇듯 온갖 일을 해도 살 길이 막연한지라.42)김기동, 이종은 편, 『한국 한문 소설 선집(韓國漢文小說選集)』, 흥부전, 교학연구사, 1984.

여기서 보듯이 흥부와 흥부 아내가 품팔이로 살아가는 방도가 매우 다양하였다. 이제 별다른 기술이나 재산이 없어도, 몸뚱이만 있으면 도시에 와서 품을 팔아 먹고살 수 있는 경제 조건이 형성되었다. 이는 17세기 후반 이후 도시의 발달을 추동한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와 같이 상품 화폐 경제가 급속히 발달하면서 한양의 도시 구조도 변모하였다. 한양의 변화는 우선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서 엿보인다. 17세기는 전 세계에 소빙기 기후가 휩쓸었기 때문에, 조선에서도 가뭄·홍수 등 엄청난 자연재해로 수많은 인구가 농촌에서 유리되어 떠돌아다닐 수밖에 없었다. 유민들은 대부분 이 과정에서 한양에 정착하였다.

한성부에서 집계한 공식 통계에 따르면, 한양 인구는 1657년(효종 8) 8만 572명에서 1669년(현종 10) 19만 4,030명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3년마다 집계되는 통계상의 인구는 실제보다 훨씬 저평가된 것으로, 18세기 이후 한양의 실제 거주 인구는 3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10만 명의 거주 인구를 예상하고 건설한 도시에 그 세 배에 달하는 인구가 집중됨으로써 도시 공간도 도성 밖으로 확대되었다. 이주민은 대부분 당시 전국적 해상 교통의 중심이었던 한강변의 마포·서강 등지에 거주하였고, 이 지역은 가장 중요한 상업 중심지로 변모하였다. 그 결과 도성 밖 인구의 비중이 대폭 증가하여, 18세기 후반에는 전체 호(戶)의 49.7%(인구로는 40.6%)가 도성 밖 인구였다. 세종 때에 도성 안이 90%, 도성 밖이 10%의 인구 비중을 보 인 것에 비하면 도성 밖 인구는 이 시기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양으로 몰려든 유민들은 도성 가까운 외곽에 정착할 수 없으면 그보다 더 멀리 떨어진 송파나 누원점 등지에 정착하였는데, 이곳은 상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17세기 후반 이후 계속된 인구 이동은 한양뿐 아니라 경기도 인구를 증가시킨 한 요인이 되었다. 이는 18세기 중엽 이후 한양이 사대문을 경계로 한 성곽 중심 도시에서 벗어나 광역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한양의 영역 확대 과정은 18세기 말 경도(京都)-사도(四都) 체제로 완성된다. 즉, 경도인 한성부 외에도 경기도 남북에 위치한 수원, 광주, 개성, 강화 네 도시가 사도로 확립되어 한양과 경기 지역을 연결하는 광범한 영역이 수도권으로 성장하였다. 이 영역은 오늘날 대한민국 수도권과 대체로 일치한다. 현재의 수도권은 이미 18세기 말에 공간적으로 확정된 셈이다.

확대보기
경강부임진도(京江附臨津圖)
경강부임진도(京江附臨津圖)
팝업창 닫기

인구 증가에 따른 공간 확대와 아울러 이 시기 한양에서는 상업도 크게 번성하였다. 그 결과 궁궐과 관청, 군대 중심의 왕도(王都)였던 한양이 상업 도시로 변모하였다. 17세기 후반 이래 급속한 인구 증가와 상업 발달은 한양의 인구 구성을 변화시켰다. 대동법이 전국적으로 시행되기 전인 1638년(인조 16) 한양의 주민 구성을 나타내는 자료에는 ‘종실(宗室), 부마(附馬), 사대부(士大夫), 의(醫), 역(譯), 서도(胥徒), 시민(市民)’이 거론되고 있다. 이 시기 한양 주민은 대개 왕실과 관련된 사람들과 관료, 중인층, 상인층으로 구성되었는데, 상업 도시보다는 정치·행정·군사 중심 도시의 특성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세기 초반 한양 주민의 구성을 나타내는 자료에는 ‘직임자(職任者), 서리, 공인(貢人), 시전 상인, 군병, 상인, 수공업자, 한잡지류(閑雜之類)’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자료에서는 농사도 짓지 않고 베틀에 앉아 옷감을 짜지 않아도 먹고사는 한잡지류가 수십만 명에 달한다고 전한다. 이들은 대부분 상업 인구였다. 17세기 후반 이후 한양의 인구 증가는 다름 아닌 상업 인구의 증가를 의미한다. 예컨대 주로 쇠고기를 팔아 생계를 이어갔던 성균관 전복(典僕)의 숫자도 1724년(영조 즉위년) 5,000명에서 1736년(영조 12)에는 1만 명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한양의 인구 중에는 군역의 고립화(雇立化)에 따라 각종 군역에 종사하는 사람도 상당수였다. 이들은 군역의 대가로 군포를 받아 생계를 꾸려가거나 영세 소상인으로, 그렇지 않으면 각종 토목 공사의 역군으로 품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는 도시 하층민으로 존재하였다.

한양 인구 대부분은 상업에 종사하는 자들이었다. 이러한 사정을 당시 유행하는 한문 소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서울은 온갖 장인(匠人)들과 장사치들이 모여드는 곳인 만큼 대체로 물건을 살 수 있는 수많은 전방이 줄줄이 벌여 있고 바둑처럼 깔려 있다. 어떤 사람은 손으로 품팔이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도 있으며, 어깨와 등을 파는 자도 있거니와 뒷간을 치는 자, 칼을 갈아 소를 잡는 자, 자신의 얼굴을 예쁘게 꾸며서 몸을 파는 자도 없지 않으니 천하의 사고팔음이 극도에 이르렀다 하겠다.43)김기동, 이종은 편, 『한국 한문 소설 선집』, 유광억전(柳光億傳), 교학연구사, 1984.

조선 후기 한문 소설에 비친 한양은 노동력만이 아닌 성(性)까지도 상품화될 정도로 상업화된 도시였다. 이처럼 한양이 상업 도시로 성장하면서, 한양은 화폐 경제가 모든 경제 활동을 지배하게 되었다.

인구 구성이 다양해지고 상업 인구가 한양 인구의 중심을 차지하게 되면서, 상업 인구 가운데 경제 기반이 가장 알찬 공인과 시전 상인은 ‘도민의 근본’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심지어 17세기 후반 윤휴(尹鑴)는 시전 상인을 ‘나라의 근본’이라고까지 말할 정도였다.44)『숙종실록』 권7, 숙종 4년 1월 정유.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 之大本)’이라 하여 농민을 천하의 근본이라고 공언한 사회에서 상인을 나라의 근본이라고 공공연히 얘기한 것으로 보아 상업 인구의 중요성이 그만큼 커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양이 상업 도시로 변모하면서 화폐 경제가 한양의 모든 것을 지배하게 되었다. 남공철(南公徹, 1760∼1840)은 이러한 사정을 “사람들이 살아가는 수단은 한양은 돈, 시골은 곡식이다(生民之業 京師以錢 八路以穀).”라고 표현하였으며,45)남공철(南公徹), 『금릉집(金陵集)』 권10, 의상재상서(擬上宰相書). 1842년(헌종 8) 가짜 암행어사 행세를 하다가 붙잡혀 포도청에 끌려 온 한 죄수도 “서울은 시골과 달라 돈이면 안 되는 일이 없다(京中異於鄕中 有錢則無事不成).”고 하여,46)『우포청등록(右捕廳謄錄)』 권2, 임인(1842) 3월 29일 죄인 최동욱(罪人崔東旭) 연삼십삼(年三十三) 공초(供草). 화폐에 의해 지배되는 상업 도시 한양의 분위기를 표현하고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