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4권 근현대 과학 기술과 삶의 변화
  • 제3장 한국인이 배우고 개발한 과학 기술
  • 1. 녹색 혁명, 그 빛과 그림자
  • ‘통일벼로 통일, 유신벼로 유신’
김태호

1975년에는 통일벼 경작 면적이 27만 4000㏊로 더욱 확대되는 가운데, 통일 계열의 신품종들이 일반 농가에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이 가운데 가장 널리 보급된 것은 1969년에 교배를 시작한 ‘유신(維新)’이었다. 유신(이리317)은 통일벼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온 밥맛을 개선하고, 우리나라의 이모작 주기에 맞추어 늦게 심고 거둘 수 있도록 개량된 품종이었다.

확대보기
통일벼 시식회
통일벼 시식회
팝업창 닫기

일선 농업 지도 관서에서는 유신벼를 많이 심기 위한 충성 경쟁이 벌어졌다. 전북 완주군 농촌지도소에서는 건물 앞에 ‘통일벼로 통일, 유신벼로 유신’이라는 현수막을 크게 내걸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해의 수확량은 1974년보다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 유신과 조생통일(早生統一) 등 신품종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신품종들은 너무 일찍 이삭이 패는가 하면 병충해에 약했다. 더욱이 추수 직전에는 대규모의 벼멸구 피해가 일어났다.

1976년에도 사정은 크게 나아지지 않아, 수확량은 3621 만 5000석으로 늘어났지만 신품종의 문제점은 계속해서 드러났다. 그러나 정부의 해결책은 여전히 품종을 보완하는 것이 아니라 농민을 교육하는 것이었다. 매년 겨울마다 통일벼·유신벼의 특성과 재배할 때 주의 사항을 설명하는 교육 사업이 전국 농촌에서 벌어졌다.

농업 유관 공무원들은 겨우내 전국의 농촌을 돌며 농민들에게 “통일벼·유신벼는 추위에 약하니 모판에는 꼭 비닐을 씌워 보온해야 한다.”거나 “질소 비료를 많이 주면 뿌리가 썩을 수 있으니 반드시 정량 시비해야 한다.”는 등의 주의 사항을 가르쳤다. 소출이 늘어나기는 했으나, 농민들이 해야 할 일도 그만큼 늘어만 갔다. 끈질긴 교육 사업 덕분이었는지 1977년에는 큰 병충해를 입지 않고 무사히 한 해 농사를 마칠 수 있었다. 통일 계열 신품종의 재배 면적은 66만㏊까지 늘어났으며, 수확량은 4170만 석에 달했다. 3000만 석을 돌파한 지 3년 만에 4000만 석을 돌파한 것이다.

확대보기
녹색 혁명 성취 기념비
녹색 혁명 성취 기념비
팝업창 닫기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10a당 494㎏으로, 1975년 일본이 세운 세계 기록인 10a당 447㎏을 넘어서는 것이었다. 쌀의 생산량이 수요량을 앞지르게 되자 박정희는 이를 ‘녹색 혁명 성취’로 선언하고, 관련자들에게 훈장과 포상금을 수여하였다. 정부 관련 부처에서도 앞을 다퉈 4000만 석 돌파를 기념하는 행사를 벌이고 기념물을 제작하였다. 통일벼는 그 영광의 정점에 서 있는 듯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