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5권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 제3장 유교식 상례
  • 1. 초종례, 임종에서 관 속에 들어가기까지
  • 초종례, 임종에서 관 속에 들어가기까지
  • 다시 살아나기를 비는 초혼
정종수

임종이 확인되면 먼저 사자를 소생시키기 위해 복을 부른다. 이를 고복(皐復) 또는 초혼(招魂)이라고도 한다. 초혼은 고인의 적삼이나 윗옷을 가지고 지붕에 올라가거나 마당에 나가, 왼손으로는 옷깃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옷 허리를 잡고 북쪽을 향해 옷을 휘두르면서 먼저 고인의 주소와 성명을 왼 다음에 큰 소리로 길게 “복(復)! 복! 복!” 하고 세 번 부른다.

경기 연천 지역에서는 주소와 관직, 성명을 부르고 끝에 “복! 복! 복!” 세 번 외친 후 “○○○씨 옷 가져가시오.”라고 외친다. 또 혼을 부르다 멈추거나 끊기면 죽는다고 하여 서로 부르지 않으려고 하며, 지붕에 올라가 부르는 것이 번잡해 문 밖에서 부르고 대문 기둥 위에 올려놓는다.

경기 구리 지역에서는 시신을 보지 않은 사람이 사잣밥 앞에서 부른다. 먼저 망자의 관등성명, 즉 ○○도 ○○군 ○○면 ○○리 ○○○(성명)을 부르고 끝에 “복, 복, 복” 세 번 외치고 옷을 지붕에 던진다. 또는 관등 성명과 복을 세 번 외친 뒤 “○○○ 씨 적삼 가져가시오. 영원히 가시오.”라고 외치기도 한다. 또한 혼 부르기를 잘못하면 부른 자가 죽거나 흉사를 당한다고 해서 잘 부르는 사람이 한다.

앞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초혼은 죽어서 나간 혼이 다시 돌아와 몸과 합쳐져 살아나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지붕에 올라가 혼을 부르는 것은 혼기(魂氣, 넋)가 위에 있기 때문이며, 북쪽을 향해 부르는 것은 사자를 관장하는 신이 북쪽에 있기 때문이다.

공자도 『예기』에서 초혼(招魂)을 부르는 것은 신에게 다시 살아나기를 비는 것이라 했다. 혼백을 불러 유명(幽冥)에서 돌아오기를 바라는 것은 귀신에게서 구하는 길로, 자식된 도리를 다하는 것이다. 그리고 복을 반드시 세 번 부르는 까닭은 예가 삼(三)에서 오기 때문이다. 한 번은 위를 향해 불러서 혼백이 하늘에서 내려올 것을 축원하고, 한 번은 아래를 향해 불러서 혼이 땅에서 돌아오기를 빌고, 한 번은 북쪽을 향해서 불러서 혼이 천지 사방에서 올 것을 빌기 위한 것이다.64)『예기』 상대기.

초혼을 해도 살아나지 않으면 비로소 죽은 것으로 인정한다. 혼을 부르고 난 뒤 초혼에 사용한 옷은 시신 위에 덮어 두거나 지붕 위에 던져 놓는다. 그리고 나중에 입관할 때 관 속에 넣거나 혼백(魂帛)을 만들 때 쓰기도 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