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5권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 제3장 유교식 상례
  • 2. 사자를 보내는 장송 의례, 성복에서 안장까지
  • 사자를 보내는 장송 의례, 성복에서 안장까지
  • 상복으로 갈아입는 성복례와 상주의 지팡이
정종수

시신을 싸서 관에 넣으면 상주는 죽음을 인정하고 죽은 자를 위한 특별한 옷인 상복으로 갈아입는다. 성복(成服)이란 입관을 하고 상복으로 갈아입는 절차를 말한다. 옛날에는 입관한 다음 날 성복을 했으나 오늘날에는 삼일장을 치르기 때문에 죽은 다음 날 입관을 하고 상복으로 갈아입고 성복례를 치른다. 근래 성복례를 성복제라고 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성복은 아직 죽은 것으로 인정하지 않고 산 사람으로 보기 때문에 제사라 할 수 없고 성복전, 성복례라고 하는 것이 옳다.

확대보기
참최복과 죽장(경남 창원)
참최복과 죽장(경남 창원)
팝업창 닫기

상복은 상주가 입는 의관으로 머리에는 굴건을 하고 허리에는 동아줄을 매고 지팡이를 짚는다. 머리에 매는 것을 수질(首絰), 허리에 매는 것을 요질(腰紩)이라 한다. 이처럼 상주의 머리와 허리에 끈을 매는 것은 효자의 애절한 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인간의 심정은 자연히 외모로 표현되며 그 감정이 강할 때는 입는 옷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때문에 의복으로 마음의 애정을 표현하기 위해 부모가 돌아가시면 상복을 입는다. 성복례를 마치면 상주는 빈소 앞에서 정식으로 조문객을 맞이하며, 이때부터 비로소 죽을 먹는다. 상복으로 갈아입은 뒤부터는 상을 마칠 때까지 조석으로 곡하면서 상식을 올려야 하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을 삭망일(朔望日)이라 하여 한 달에 두 번씩 아침에 전을 올린다.

상복을 입는 기간이 1년 이상인 상주는 지팡이를 짚는다. 아버지가 돌아가시면 대나무 지팡이(竹杖)를 짚고, 어머니가 돌아가시면 오동나무 지팡이를 쓴다. 부상(父喪)에 죽장을 짚는 것은 대나무 가 둥근 것은 하늘을 상징하여 아버지를 가리킨 것이고, 오동나무 지팡이가 모가 난 것은 땅을 상징하여 어머니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천원지방(天圓地方) 천지부모(天地父母)의 사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세종실록』 「오례」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확대보기
오동나무 상장(충남 천안)
오동나무 상장(충남 천안)
팝업창 닫기

아버지를 위하여 지팡이로 대를 사용하는 것은 아버지는 아들에게 하늘과 같은 존재이니 대가 둥근 것도 또한 하늘을 본뜬 것이다. 안팎에 마디가 있는 것은 아들이 아버지를 위하여 안팎의 슬픔이 있음을 본뜬 것이다. 또 대가 사시사철을 통하여 변하지 않는 것은 자식이 아버지를 위하여 또한 겨울과 봄, 여름을 지나도 변하지 않음을 본뜬 것이다.81)『세종실록』 권134, 오례, 흉례 서례 저장조.

다시 말해 아버지 상에 대나무 지팡이를 짚는 것은 아버지는 아들에게 하늘과 같은 존재로, 대나무가 둥근 것이 하늘을 상징하고, 대나무 안팎에 마디가 있는 것은 아들이 아버지를 위하여 안팎의 슬픔이 있음을 나타낸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또 대나무가 사시사철 변하지 않는 것처럼 아버지를 위한 마음도 변함없이 다하는 뜻이다.

어머니 상에 오동나무 지팡이를 짚는 것은 오동나무 ‘동(桐)’ 자의 음이 같을 ‘동(同)’ 자와 같은 것을 취해 슬퍼함을 아버지와 같게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그리고 오동나무가 대나무처럼 밖에 마디가 없는 것은 집안에서 두 분을 모두 높일 수 없고, 밖에서는 지아비에게 복종함을 상징한다. 또 오동나무 지팡이 밑부분을 깎아 모가 나게 한 것은 땅을 상징하여 어머니는 아들에게 땅과 같은 존재임을 나타낸다.

이처럼 상주가 짚고 있는 지팡이만 보아도 누가 돌아가셨는지 알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은 단순한 지팡이 하나에도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분했을 뿐만 아니라 유교의 근본 사상인 인효(仁孝) 사상과 성경(誠敬)의 정신을 나타내는 상징성을 담았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