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5권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 제3장 유교식 상례
  • 2. 사자를 보내는 장송 의례, 성복에서 안장까지
  • 사자를 보내는 장송 의례, 성복에서 안장까지
  • 조상과 문상
정종수

죽음은 가족, 친족뿐만 아니라 이웃, 공동체 전체에 애통함과 충격을 준다. 그래서 옛날에는 동네에 초상이 나면 방아를 찧어도 장단 소리를 내지 않으며 거리에서는 노래를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 슬픔과 애정을 나누고 상주를 위로하기 위해 조상(弔喪)을 가고 장사에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만큼 성의껏 부의(賻儀)를 한다.

하지만 상주는 성복례를 하고 상복을 갈아입기 전에는 누구를 막론하고 조문을 받아서는 안 되며, 절도 하지 않고, 축도 읽지 않으며 술도 한 잔만 올린다. 성복례를 마치고 난 뒤부터 비로소 상주는 빈소 앞에서 정식으로 조문객을 맞이한다.

흔히 초상이 나면 ‘조문 간다’고 한다. 조상과 문상은 어떻게 다른가? 한마디로 조상은 상주와 고인에게 예를 표하고 상주를 위로하는 것이다. 상(喪)은 없어진다, 죽다의 뜻이고, 조(弔)는 슬퍼한다는 뜻이므로, 조상은 슬퍼하며 죽은 이에게 인사하는 것이다. 문상(問喪)은 죽음을 묻는다는 뜻 이어서 상을 당한 상주를 위문하는 것이다.

확대보기
조상과 문상(경북 청도)
조상과 문상(경북 청도)
팝업창 닫기

조문(弔問)은 조상과 문상의 첫 글자를 딴 것으로 상주와 고인에게 예를 표하고 위문의 인사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례(古禮)에는 고인을 생전에 알았으면 고인과 상주에게 문상을 하였다. 반면 고인을 알지 못하고 상주만 알면 고인에게는 조상하지 않고 상주에게만 문상하였다. 또 남녀유별을 엄히 지켜 고인이 남자인 외간상(外艱喪)에는 빈소에 조상하고 상주에게도 문상을 하며, 그때 쓰는 방명록을 조객록이라 한다. 고인이 여자인 내간상(內艱喪)에는 상주에게만 문상하고 그때 쓰는 방명록을 조위록이라 한다.

오늘날에는 조상과 문상의 구별이나 내·외간상의 구별 없이 조상과 문상을 함께 한다. 조문 시기도 성복을 한 후가 아니면 할 수 없는데, 장기가 삼일장으로 짧다 보니 영좌(靈座)만 설치되면 바로 조문과 문상을 한다.

반면에 문상(聞喪)이란 객지에서 부모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는 것이고, 소식을 듣고 부모가 돌아가신 곳(집)으로 달려가는 것을 분상(奔喪)이라 고 한다. 부모의 부음을 듣는 즉시 곡을 하며 현란한 옷을 벗고 하얀 옷 으로 갈아입는다. 집에 돌아오면 상복으로 갈아입고 시신 앞에 나가 슬피 곡을 한다.

또한 상사는 흉사이기 때문에 절할 때 공수(拱手), 즉 남자는 양이기 때문에 오른손, 여자는 음이기 때문에 왼손을 위로 가게 두 손을 앞으로 맞잡는다. 절은 고인이 안치된 빈소를 향해 남자는 2배, 여자는 4배를 한다. 상주에게는 맞절로 1배만 한다.

고례에 부의는 돈과 포 같은 비단으로 하거나 제문을 지어 읽기도 했다. 부의금은 봉투에 넣고 물품은 따로 물목(物目)을 적어 봉투에 넣어 전한다. 호상소에서 모든 조문객의 이름을 조객록이나 조위록에 적는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