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5권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 제3장 유교식 상례
  • 2. 사자를 보내는 장송 의례, 성복에서 안장까지
  • 사자를 보내는 장송 의례, 성복에서 안장까지
  • 영구의 장지 도착과 안장
정종수
확대보기
조문(경북 청도)
조문(경북 청도)
팝업창 닫기

영구가 묘지에 도착하는 것을 급묘(及墓)라 이른다. 상여가 무덤에 이르기 전에 집사자가 먼저 묘지 앞 서쪽에 교의와 제상, 향상을 놓고 영좌를 모실 영악(靈幄)을 설치한다. 영구가 산에 도착하면 방상이 먼저 묘지 광중에 들어가 사방 네 귀퉁이를 창으로 치고 잡귀를 몰아낸다. 그런 다음 혼백을 영좌에 모시고 관을 영좌의 동쪽에 머리가 북쪽으로 가게 안치한다. 그리고 명정을 막대에서 풀어 관 위에 덮어 놓고 영좌 앞에 음식을 진열한다.

확대보기
하관(경기 일산)
하관(경기 일산)
팝업창 닫기

그리고 상주는 묘지에 온 손님들의 조상과 문상을 받는다. 하관은 시신을 내광에 모시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폄(窆)이라 한다. 시속에서는 하관 시간이 맞지 않으면 시신을 버리는 것과 같다 하여 장사일과 함께 하관 시간을 아주 중요시하였다.

하관은 관째로 묻기도 하지만 경기 이북 지방에서는 시신만 묻기도 한다. 시신만 묻을 때는 관을 열고 시신만을 들끈으로 잡고 조심스럽게 들어서 머리가 북쪽으로 가도록 내광에 반듯하게 모신다. 머리를 북쪽으로 두는 까닭은 죽은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관하고 나면 지관이 관이 제대로 안치되었는지 패철(佩鐵)을 가지고 좌향(坐向)을 본다. 그러고 나서 시체나 관 위에 명정을 덮는다. 내광의 사방에 빈틈이 없도록 흙으로 채우고 맞상주가 폐백(幣帛)을 드린다. 폐백이란 고인에게 예물로 바치는 비단이란 뜻이다. 폐백은 관 위에 명정을 덮고 주상에게서 현훈(玄纁)의 폐백을 받아 시체의 가슴에 청색 폐백을 얹고, 다리 쪽에 붉은 비단을 얹는다. 이어 주상은 두 번 절하고 모든 복인은 극진히 곡을 한다. 현은 검은 비단을 접은 것을 말하고, 훈은 붉은 비단으로 접은 것을 말한다. 폐백을 드리고 나서 횡대로 내광을 덮은 다음 맞상주가 취토(取土)를 한다.

맞상주가 상복 자락이나 삽으로 흙을 세 번 받아 광중 맨 위에 한 번, 가운데 한 번, 아래쪽에 한 번씩 차례로 놓는데 이를 상주의 취토라 한다. 취토가 끝나면 지석과 명기를 묻고 광중을 메운다.

확대보기
패철로 좌향 보기(전남 여수)
패철로 좌향 보기(전남 여수)
팝업창 닫기

지석(誌石)은 망자의 성명과 가계, 행적, 생몰 연대, 장일, 묘의 위치 등의 기록을 돌이나 사기, 호(壺)나 석관 등에 직접 새겨 묘에 묻는 것을 말한다. 묘에 망자의 이력과 묘의 위치 등을 기록한 지석을 묻는 것은 묘의 실전(失傳)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석은 묘지가 평지에 있으면 광중 남쪽 가까운 곳에 묻고, 가파른 산기슭에 있으면 광중 남쪽에 묻기도 한다. 벽돌처럼 만들어 한 자씩 쓴 토제(土製) 지석은 관의 위치와 같게 하여 그 위에 놓기도 한다.

명기는 무덤 속에 시신과 함께 묻는 그릇, 악기, 무기, 목인(木人), 석인(石人) 등의 기물을 말한다. 제기가 사람의 그릇이라면 명기는 귀신의 그릇으로 사자의 영생을 위해 묻는 것이다.

확대보기
백자 지석
백자 지석
팝업창 닫기

지석과 명기를 묻고 나면 석회(石灰)·황토·모래를 섞은 삼물(三物)로 광중을 메운다. 광중을 3분의 1쯤 메우고 다지는데 이를 회다지, 달구질이라 한다. 회다지는 흙을 한 켜 넣고 다지고, 다시 흙을 넣고 다지는데 보통 3켜, 많게는 5켜까지 하면서 외광을 완전히 다진다. 상두꾼들이 상여를 멜 때 썼던 연춧대나 대나무를 가지고 선소리꾼의 소리에 발을 맞추어 돌면서 다진다. 회다지를 하면서 상주들에게 노잣돈을 걷기도 한다. 회다지를 하는 것은 광중에 나무뿌리나 뱀, 쥐, 여우 같은 동물이 침범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광중을 메우며 봉분을 조성하는 동안 한쪽에서는 제주(題主)라 하여 신주를 쓴다. 제주란 준비된 신주(위패)에 누구의 신위(神位)인가 쓰는 것이다. 제주는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이 영좌 앞에서 미리 준비한 신주에 붓으로 쓴다. 먼저 신주의 뒷부분(陷中)에 누구의 신주인가 쓰고 앞면에 신위를 쓴다.

확대보기
회다지(경기 일산)
회다지(경기 일산)
팝업창 닫기

함중(陷中)은 신주 뒤쪽의 전면을 직사각형으로 우묵하게 깎아 파낸 부분으로, 고인의 성명, 관직 등을 기록하는데 한 번 쓰면 바꿔 쓰지 않는다. 이에 대해 분칠이 되어 있는 앞면은 현고(顯考)와 봉사자(奉祀者)의 이름을 대가 바뀔 때마다 고쳐 쓴다. 앞면에 신위와 봉사가 누구인지 쓰는 것은 만일 ‘현고 누구’라고만 하면 누구의 아버지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봉사자를 쓴다.

확대보기
신주 쓰기(경남 창녕)
신주 쓰기(경남 창녕)
팝업창 닫기

신주 쓰기를 마치면 영좌에 혼백상자의 뚜껑을 덮고 신주를 혼백상자 앞에 받들어 모신 다음 제상(祭床)을 차린다. 주상 이하 복인들이 꿇어앉아 집례가 분향하고 술을 따르고 축관이 축을 하고 나면 신주를 요여(腰輿)에 싣고 집으로 돌아온다. 이를 제주전(題主奠) 또는 성분제(成墳祭)라고 할 수 있다.

하관을 하고 광중을 메울 때 신주를 쓰고 제주전을 드리는 것은 육신이 광중으로 들어가 묻혀 버리면 정신은 갑자기 떠돌아 의지할 곳이 없기 때문에 속히 신주를 써서 의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요사이는 신주도 없고 혼백도 없이 사진만 모시니 남이 보면 누구의 사진인지 알 수 없다. 격식대로 신주를 만들지 못하더라도 종이에 써서 위패함에 붙이기라도 해야만 그 영좌가 누구의 것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