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5권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 제3장 유교식 상례
  • 3. 상제의 의식, 우제에서 길제까지
  • 상제의 의식, 우제에서 길제까지
  • 혼령을 평안하게 하기 위한 제사, 우제
정종수

우(虞)란 위안한다는 뜻으로, 사자의 신령을 평안하게 하는 동시에 생자의 마음을 위로해 주는 안위의 제사이다. 즉 우제란 시신이 지하에 매장되었으므로 그 영혼이 방황할 것을 염려하여 영혼을 달래고 평안하게 하기 위해 지내는 제사이다. 따라서 우제를 하루라도 지체하면 안 되기 때문에 묘소가 멀어 당일 귀가하지 못하면 노중의 숙소에서 지내더라도 날을 넘기지 않아야 한다. 장삿날에 우제를 지내는 것은 차마 하루라도 떠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편 부모의 유해가 땅속에 묻혀 있는 것을 생각하면 가슴이 아파 차마 좋은 음식을 먹고, 좋은 옷을 걸치고, 편한 곳에서 지낼 수 없기에 상복을 입고 죽이나 채소만 먹으며 거적을 깔고 짚 베개를 베고 지낸다.

고례(古禮)에 우제는 선비는 삼우(三虞), 대부는 오우, 제후는 칠우, 천자는 구우를 지낸다고 하였다. 조선시대에서는 『주자가례』에 의거하여 사대부는 삼우를 지내도록 하였다. 하지만 사대부나 서인은 초우·재우·삼우를 지냈다.

재우는 초우제 뒤에 오는, 일진(日辰)의 천간(天干)이 을(乙)·정(丁)·기(己)·신(辛)·계(癸)인 날인 유일(柔日) 중에 선택하여 거행한다. 삼우는 재우를 거행한 뒤에 오는, 일진의 천간이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인 날인 강일(剛日) 중에 선택하여 거행한다. 재우에 유일을 택하는 것은 안정의 뜻이 있는 것이고, 마지막 우제를 강일에 지내는 것은 양기가 움직이는 것을 형상화한 것으로 장차 신주를 사당에 모시기 위함이다.

삼우제를 마치면 성묘를 한다. 신주가 있는 집안은 혼백을 묘소 측면에 묻는다. 기년과 9개월 복을 입은 자는 고기와 술을 마시되, 잔치에는 참여하지 않고, 소공 이하와 대공으로 따로 사는 자는 돌아간다. 그리고 호상에게서 모든 상례 결과에 대한 인계를 받는다.

확대보기
혼백 묻기
혼백 묻기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