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5권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 제3장 유교식 상례
  • 3. 상제의 의식, 우제에서 길제까지
  • 상제의 의식, 우제에서 길제까지
  • 수시로 하던 곡을 멈추게 하는 졸곡
정종수

졸곡(卒哭)은 수시로 하던 곡을 그친다는 뜻으로, 삼우를 지내고 석 달이 지난 뒤에 강일을 택하여 거행한다. 이때부터 수시로 하던 곡을 멈추고 조석에만 한다. 비록 아침과 저녁 사이에 슬퍼도 곡을 하지 않는다. 졸곡을 지낸 후부터는 차례나 기제, 묘제 등을 지낼 수 있다. 또한 상주들은 소식(疏食)과 음료를 들 수 있으며 거처도 자리를 깔고 목침을 베고 잔다. 그리고 조문 온 사람들에게 편지로 감사하다고 회신한다.

졸곡을 성사(成事)라고도 하는데, 이때부터 지내는 제사를 길제(吉祭)라 한다. 이는 상제(喪祭)가 대치되어 점차 길례가 행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졸곡을 ‘길제’라고 하는 것은 우제에 비하여 길제라는 의미로, 담제 이전은 모두 ‘상제’라 일컫는다.

졸곡에서부터 사자의 이름을 함부로 말하지 않는데, 그것은 이때부터 생자를 섬기는 예가 아니라 귀신을 섬기는 예로써 대하여 감히 그 이름을 부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졸곡 전의 제사 축문에는 상주가 자신을 애자(哀子)·고자(孤子)·애손(哀孫)·고손(孤孫)이라고 부르지만, 졸곡 후에 는 효자(孝子)·효손(孝孫)이라고 부른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