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5권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 제3장 유교식 상례
  • 3. 상제의 의식, 우제에서 길제까지
  • 상제의 의식, 우제에서 길제까지
  • 사망 1주기를 새기는 제사, 소상
정종수

소상(小祥)은 죽은 지 만 1년이 되는 날 아침 해뜰 무렵에 지내는 제사이다. 그러나 아버지가 살아 계시면 죽은 어머니는 1년 만에 탈상해야 하므로 11개월 만에 날을 받아 소상을 지내고, 13개월 만에 대상을 지내며, 15개월에 담제를 지낸다. 소·대상의 월수 계산에는 윤달은 포함하지 않는다.

사계절이 지나 일기(一期)가 되어 천도(天道)도 일변하였기에 마음도 안정되고 슬퍼하는 마음도 많이 줄어들어 ‘상(喪)’ 자 대신 ‘길(吉)’의 의미가 담긴 ‘상(祥)’ 자를 써서 제사 이름도 소상(小祥)이라 한 것이다. 상주·주부는 상복을 벗고 연복(練服)으로 갈아입는다. 연복은 빨아서 다듬는 옷을 말한다. 연복을 입고 지낸다고 해 소상을 연제(練祭)라고도 한다.

남성은 수질(首絰)·부판·벽령이 붙은 상복을 벗고 연포로 된 관을 쓰며, 여성은 요질(腰絰)을 벗고 긴 치마를 접어서 땅에 끌리지 않도록 한다. 소상을 마치면 매일 아침저녁으로 하는 곡을 그치고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만 곡을 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