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6권 연희, 신명과 축원의 한마당
  • 제1장 전통 연희의 전반적 성격
  • 2. 전통 연희의 종류와 외국과의 교류 양상
  • 환술
전경욱

환술에 해당하는 산악·백희의 종목에는 연희자가 입에서 불을 토해 내는 토화(吐火), 입으로 칼을 삼키는 탄도(呑刀), 사람의 가슴과 배에 예리한 칼을 찔러 넣지만 칼이 들어가지 않는 흉돌섬봉(胸突銛鋒), 칼로 배를 갈라 창자를 꺼내 끊었다가 다시 잇는 추장속단(抽腸續斷), 칼로 혀를 잘랐다가 다시 잇는 절설(截舌), 칼로 창자를 찌르는 자장위(刺腸胃), 오이씨를 심어 곧바로 열매를 맺게 하는 식과(植瓜), 나무를 심어 쑥쑥 자라게 하는 종수(種樹), 바리때 안에 맑은 물을 부으면 연꽃이 무럭무럭 성장하는 발내생연(鉢內生蓮), 땅을 긋기만 하면 냇물이 되어 물이 흐르는 획지성천(畵地成川), 사람이나 말을 칼로 자른 후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여 살아나게 하는 도인(屠人)과 절마(截馬), 스스로 팔과 다리를 자르는 자지해(自支解), 스스로 몸을 끈으로 묶은 후 푸는 자박자해(自縛自解), 소와 말의 머리를 바꾸는 역우마두(易牛馬頭), 칼 감추기, 끓는 기름에 집어넣은 물고기 헤엄치게 하기, 말의 항문으로 들어갔다가 입으로 나오는 입마복무(入馬腹舞), 연희자가 이쪽 항아리로 들어갔다가 저쪽 항아리로 나오는 입호무(入壺舞) 등이 있다.

확대보기
일본의 탄도와 이화
일본의 탄도와 이화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입마복무
입마복무
팝업창 닫기

당나라로부터 일본에 전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신서고악도에 신라의 입호무와 신라박이 그려져 있다. 입호무는 조금 떨어진 두 개의 탁자 위에 각각 항아리를 놓고 한 항아리에서 다른 항아리로 빠져나오는 환술 그림이다. 우리나라의 산악·백희가 일방적으로 서역과 중국에서 유입된 것이 아니라 입호무나 신라박처럼 오히려 중국에 영향을 끼친 종목도 있다는 점은 산악·백희의 상호 교류를 입증하는 중요한 사실이다.

고려와 조선시대에도 환술이 있었을 터인데, 이에 대한 자료가 별로 없다. 다만 고려 말에 이색(李穡, 1328∼1396)이 나례에서 연행된 연희를 보고 지은 한시 「구나행(驅儺行)」에서 “불을 뿜어내기도 하고 칼을 삼키기도 하네”라고2)이색, 『목은집(牧隱集)』 권21, 구나행(驅儺行). 묘사한 점으로 볼 때, 고려 말에 불 토해 내기와 칼 삼키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