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6권 연희, 신명과 축원의 한마당
  • 제2장 궁정 연회의 전통과 정재의 역사적 전개
  • 4. 정재의 역사적 전개 양상
  • 고려시대 정재의 전개 양상
  • 송나라 교방악의 유입과 교방의 설치
사진실

고려시대에는 궁중 내에 교방(敎坊)을 설치하여 각 지방에서 미모와 재예를 겸비한 관청의 기녀, 관비, 무당을 선출하여 가무를 전문적으로 습득하게 하여 정재를 연출하였다. 고려시대에 교방이 설치된 시기는 현종 이전으로 보인다. 교방은 원래 중국 당나라 때 궁정 내에 설치된 것으로, 장관사(長官使)의 감독 아래 박사가 기녀와 악공에게 춤과 음악을 가르쳐서 무악(舞樂)을 상연하는 일을 담당했다.

『송사(宋史)』에 “송나라 초기에 옛 제도를 따라 4부의 교방을 설치하였다.”는81)『송사』 권142, 지95, 악17, 교방(敎坊). 구절이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 교방은 당나라 때부터 있었던 기관임을 알 수 있다. 당나라는 궁정에 교방·이원(梨園)·태상(太常) 등 예인 집단을 양성하는 여러 기구를 설치하였다. 교방은 배우 집단의 근거지로 당 고조 무덕(武德, 618∼626) 연간에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송나라 때는 960년에 교방이 설립되었는데 각지의 정벌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우수한 악공들을 얻었고, 말기에는 교방이라는 이름 대신 ‘교악소(敎樂所)’라고 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악공을 모집하여 교육시켰다.82)최숙경, 「한국 여성사」, 『특수직 여성』, 평범사, 1972, 4∼5쪽. 1127년에 금나라가 변량(卞梁)을 함락하자 서적과 악기가 흩어져 교방은 그 정권과 함께 막을 내렸다.83)양인리우, 이창숙 옮김, 『중국 고대 음악사』, 솔, 1999, 617∼618쪽. 송나라의 황제 가운데 태종과 인종은 교방 악곡의 창작에 관심이 많아 이때 많은 악곡이 창작되거나 개편되었다.

『고려사』에는 현종 원년에 “교방을 혁파하고 궁녀 100여 명을 해방시켰으며 앙원정을 헐고 진기한 각종 조류와 짐승과 어류를 산과 늪으로 놓아 보냈다.”84)『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즉위년 2월.는 기록이 있다. 현종이 즉위한 해가 1009년이므로, 교방은 이미 그 이전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사』 「악지」에 다음과 같은 궁중 정재에 관한 기록이 보인다.

문종 27년(1073) 2월 을해일에 교방에서 아뢰기를 “여제자(女弟子) 진경(眞卿) 등 13명에게 전습시킨 답사행(踏沙行) 가무를 연등회에 사용하기를 바랍니다.”라고 하니, 왕이 그 의견대로 시행할 것을 명령하였다. 11월 신해일에 팔관회를 베풀고 왕이 신봉루로 거둥하여 교방악을 감상하였는데, 여제자 초영(楚英)이 아뢰기를 “새로 전습한 가무는 포구락(抛毬樂)과 구장기별기(九張機別伎)인바 포구락에는 제자가 13명이요, 구장기에는 제자가 10명입니다.”라고 하였다.85)『고려사』 권71, 지25, 악2, 용속악절도(用俗樂節度).

이를 통하여 연등회에서도 궁중 정재가 연희되었다는 것과 포구락과 구장기별기가 1073년에 처음 유입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078년(문종 32)에 송나라로부터 박판(拍板), 피리 등을 선물로 받았다는 『고려사』의 기록과 1114년(예종 9)에 송나라에서 신악(新樂)과 대성악이 유입된 사실,86)예종 때 송나라에서 신악(新樂)과 대성악(大晟樂)을 선물로 보내 왔다(『고려사』 권70, 지24, 악1). 중국에서도 서왕모(西王母)와 반도(蟠桃)에 관한 가무희가 대체로 경수(慶壽)를 위한 것으로 사용되었다는 점 등을 보면 교방악이 고려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송나라의 당악 정재가87)송나라의 교방악이 음률(音律)을 당(唐)의 것을 습용(襲用)했고, 교방의 소속 역시 당제(唐制)대로 하여 아악(雅樂)과는 달리하였으니, 시대는 송대(宋代)일지라도 교방의 면모가 당대(唐代)의 것 그대로였으므로, 송나라 때에도 ‘당악(唐樂)’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차주환, 「고려사 악지 당악고」, 『진단학보』 23, 진단학회, 1962, 64쪽). 고려에 유입된 시기는 중국 교방악의 전성기였던 태종에서 인종대로 고려 문종부터 예종 연간으로 추정된다. 송나라에서 교방악을 수입한 이유는 연등회와 팔관회 등 대연(大宴)을 축하하는 절차를 갖추기 위해서였다.88)차주환, 앞의 글, 92쪽.

그리고 송나라의 교방 악사가 일정 기간 동안 고려에 머물면서 송나라의 교방악을 전함으로써 ‘당악(唐樂)’의 개념이 통일신라에 비하여 더욱 확대되었고, 고려에 교방이 설치된 이후에는 송나라와는 다른 방향으로 궁중 정재와 음악 문화가 변화 발전하게 되었다. 다음과 같은 『고려사』의 교방 관련 기록은 송나라에서 전래한 당악 이외에 고려만의 교방악이 새롭게 만들어졌음을 전해 준다.

병오일에 왕이 공주 혼전(魂殿)에 가서 이번에 원나라에서 공주를 추봉해 준 것을 고하고 이어 잔치를 베풀었다. 교방에서는 새로 지은 악장을 연주하였으며, 왕은 공주의 초상과 마주 앉아서 음식 드는 절차를 평상시와 같이 하였다.89)『고려사』 권41, 세가41, 공민왕 16년 정월.

앞의 인용문을 통해서, 비록 중국의 당악과 당악기를 수입하고 송나라의 영향으로 교방이 설치되었지만, 고려의 궁중 정재가 중국과는 별개로 독자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후대로 올수록 수많은 향악 정재가 창작되어 당악 정재보다 향악 정재의 수가 점차 증가하였기 때문에 조선 후기에는 향악 정재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