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8권 화폐와 경제 활동의 이중주
  • 제5장 대한민국의 화폐
  • 2. 세 차례의 화폐 개혁
  • 화폐 개혁 때 사용한 돈
배영목

6·25 전쟁 발발 후인 1950년 9월의 제1차 화폐 개혁에서 한국은행이 적성 통화 추방을 위한 화폐 교환을 추진하려면 상당량의 은행권을 준비해야 하였다. 그래서 정부는 1,000원권 100원권 두 종류의 한국은행권을 일본 내각 인쇄국에 의뢰하여 인쇄한 것을 제1차 긴급 통화 조치에서 신화폐로 사용하였다.

확대보기
제1차 화폐 개혁 때의 한국은행권 1,000원권(앞면)
제1차 화폐 개혁 때의 한국은행권 1,000원권(앞면)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제1차 화폐 개혁 때의 한국은행권 1,000원권(뒷면)
제1차 화폐 개혁 때의 한국은행권 1,000원권(뒷면)
팝업창 닫기

이 은행권은 처음으로 한국은행권임을 명시하였고, 발행자로 한국은행 총재인이 나타나고, 뒷면에는 영문으로 발행자로 THE BANK OF KOREA와 우리나라 화폐 단위의 영문명 WON이 처음으로 인쇄되었다. 이 은행권은 불행히도 일본의 조폐 기관이 제조하였지만 은행권에서 일제의 문양은 모두 사라지게 되었다. 이어 화폐 수요의 팽창에 따라 한국 조폐 공사가 제조한 이승만 대통령의 초상이 있는 1,000원권과 500원권을 새로이 제조하여 공급하였다. 이 이후로 고액권으로는 새로 발행된 한국은행권이 사용되었지만 소액권으로는 여전히 조선은행권이 계속 사용되었다.

확대보기
제2차 화폐 개혁 때의 한국은행권 1,000환권(앞면)
제2차 화폐 개혁 때의 한국은행권 1,000환권(앞면)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제2차 화폐 개혁 때의 한국은행권 1,000환권(뒷면)
제2차 화폐 개혁 때의 한국은행권 1,000환권(뒷면)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제3차 화폐 개혁 때의 한국은행권 500원권(앞면)
제3차 화폐 개혁 때의 한국은행권 500원권(앞면)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제3차 화폐 개혁 때의 한국은행권 500원권(뒷면)
제3차 화폐 개혁 때의 한국은행권 500원권(뒷면)
팝업창 닫기

미군정기 정부는 일본과 북한의 화폐 개혁으로 이 지역의 조선은행권이 대한민국 지역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화폐 교환에 대비하여 조선은행 최순주(崔淳周) 이사를 보내어 미국 재무성 인쇄국이 신은행권을 제조하도록 하였다. 한국과 미국이 이 은행권을 국내로 반입한 뒤 봉인하여 한국은행에 보관하였는데 다행히 북한군이 손대지 않아 다시 부산으로 이송하여 조선 방직 회사에 보관하였다. 한국은행은 1953년 2월 제2차 화폐 개혁에서 이 은행권을 신은행권으로 사용하였다.

이 은행권은 1,000환, 100환, 10환, 5환, 1환 다섯 종류로 광복 후 사용된 어떤 은행권보다 질이 좋았다. 이 은행권은 환단위를 사용하였지만 원단위가 사용될 때 제조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금액은 한자로만 환(圜)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영어로도 원(WON)으로 표시되어 있고 한글로도 원으로 표시되었다.173) 이러한 기이한 표시는 미군정기, 즉 원화시대에 주문되어 제조된 은행권이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다. 그런데 이것을 원을 환으로 화폐 단위 명칭을 바꾼 상황에서 환 단위로 사용되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환(圜)은 둥글다는 의미로는 원, 돈다는 의미로는 환으로 발음한다는 설명이 있으나 한글로 원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도 궁색한 설명에 지나지 않는다. 이 돈은 비록 미국에서 제조되었지만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것으로 거북선과 무궁화 문양이 사용되었다.

군사 정부가 1962년 6월 제3차 화폐 개혁에서 은행권과 교환할 여섯 종의 신은행권은 한국 조폐 공사가 제조한 것이 아니라 모두 영국의 토마스 드 라루(Thomas De La Rue)사에 제조하게 하여 국내로 들여온 것이었다. 군사 정부가 이 화폐를 한국 조폐 공사에서 제조하지 않고 영국 회사에 맡긴 이유는 확실하지 않으나 외국 회사에 의뢰하여 보안을 유지하고 고품질 은행권 제조를 통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174) 조명수, 『재미있는 돈 이야기』, 도서출판 이가책, 1993, pp.286∼288. 앞면 도안의 주소재는 500원권은 남대문, 100원권은 독립문, 50원권은 해금강과 총석정, 10원권 이하는 한국은행 휘장이 사용되었다. 이 은행권은 더욱 정교한 인쇄 방법인 요철판(凹凸版)으로 인쇄되었으며, 물론 이전의 은행권에 비해 종이의 질도 좋았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