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9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 제1장 우리 옷의 기본형과 시대별 변천
  • 2. 고대 복식의 변천
  • 고분 벽화에 표현된 고구려 복식
  • 왕릉 유물로 본 신라 복식
김문자

신라는 523년(법흥왕 10)에 공복 제도를 마련하여 진골 이상, 6두품, 5두품, 4두품에 따라 각각 자색, 비색, 청색, 황색으로 구별하였다. 공복 제도가 중국식으로 바뀐 것은 649년(진덕여왕 3)으로 이후 조선시대 말까지 그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일반인들의 국제(國制)와 관복의 중국제의 이중 구조를 이루었다. 당나라 화가 염립본(閻立本, ?∼673)이 그린 왕회도(王會圖)에는 저고리와 바지 차림의 신라 사신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확대보기
신라 사신도
신라 사신도
팝업창 닫기

변형모, 조우관, 대륜식 입식관(臺輪式立飾冠) 등 다양한 형태의 신라의 관모가 왕릉에서 출토되었다. 먼저 변형모는 재료와 형태에 따라 두 장의 자작나무 껍질로 만들어 둘레를 꿰맨 변형모, 금으로 만든 변형모, 챙이 있는 입형 변형모로 나눌 수 있다. 조우관은 금속제 조우관과 대륜식 조우관으로 나눌 수 있다. 금속제 조우관은 꽂히는 조우식(鳥羽飾)의 양식에 따라 중심판(中心板)에 좌우 양 날개가 부착된 경우(조우식 I)와 좌우 양 날개 없이 중심판만으로 구성된 경우(조우식 II)가 있다.6)고분 출토품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조우식은 보통 모부(帽部)에 꽂을 수 있는 부위(중심판) 좌우에 양 날개를 부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중심판의 맨 윗부분이 ‘W’나 ‘WW’ 모양을 하고 있어 이것이 스키타이 꼬리 양식(Scytha-shaped tail)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다. 대륜식 조우관은 구성 방법에 있어서 대륜식 입식관과 구별되는데, 전자는 중심부가 있고 좌우에 새 깃털 모양의 입식이 비스듬하게 세워져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대륜식 입식관은 일명 금관류라고도 하는데 테(Diadem)에다 여러 형태의 장식들을 세운 것을 말한다.

확대보기
금제 변형모
금제 변형모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