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9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 제2장 옷감과 바느질
  • 4. 점점 단순해지는 조선시대의 옷감
  • 옷감 무늬와 그 속에 담긴 의미
  • 구름무늬
조효숙

높은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은 조선시대 남자 복식에서 신분 상징의 의미로 많이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의 구름무늬 형태는 머리 부분과 꼬리로 구성되었는데, 머리 부분은 여의형이 네 덩어리로 뭉쳐진 ‘사합여의형(四合如意形)’으로 정형화되었다. 구름을 도안함에 있어 구름만 단순하게 배열한 것도 있으나 구름과 구름 사이에 방승, 전보, 서각, 금정, 서책, 여의, 산호, 보주와 같은 보배무늬가 들어 있는 형태도 있다. 구름만으로 구성된 무늬는 단순하지만 사선으로 연결된 꼬리가 강조되어 역동적으로 느껴진다. 반면, 구름 사이에 보배무늬가 가득 찬 운보문(雲寶紋)은 여백 없이 충전된 느낌이 복잡하면서도 화려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러한 구름무늬가 도안된 옷감을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제직법에 따라 운문단, 운문사, 운문라로 기록하였으며 『역어유해』, 『노걸대』에는 골타운(骨朶雲)이라 쓰고, ‘떼구름문’, ‘굴근떼구름문’이라 언해하였다. 또한, 『박통사(朴通事)』에는 구름무늬 사이에 보배무늬가 있는 것을 감팔보골타운(嵌八寶骨朶雲)이라 하고 ‘팔보끼고굴근운문’이라고 언해하였다.

얼핏 보면 구름무늬는 모두 비슷해 보이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시대에 따라 형태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초기에는 구름의 꼬리를 ㄷ자 형태로 연결하였거나 사선으로 연결하더라도 한쪽에만 작은 꼬리가 달려 있는 무늬가 많다. 그러나 후기가 되면 이러한 형태는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고 모두 양쪽에 작은 꼬리가 달린 사선형 꼬리가 나타난다. 시대가 흐를수록 구름 꼬리의 표현이 점차 풍부해지며 상대적으로 머리 부분이 작아진다. 그러다가 조선 말기가 되면 이제까지의 ‘사합여의형’ 구름 형태에서 벗어나 머리 형태가 단순해지고 꼬리가 떨어져 흩어지게 표현된 것이 많다. 또한, 구름이 실과 같이 가늘게 표현된 ‘사운(絲雲)’이라고 부르는 구름도 나타난다.

조선시대의 구름무늬는 신분 상승을 상징하여 각종 의궤나 『조선왕 조실록』에도 관복용 단령에 운문단을 썼다는 기록이 자주 보이고, 『추관지』에도 “조신의 장복(章服)과 융복(戎服)은 모두 구름무늬를 사용한다.”126)『추관지』(1746) 제4편 장금부 신장 사치.고 기록되어 있다. 출토 유물에서도 구름무늬 옷감은 단령이나 철릭과 같이 관복용 겉옷에 많이 사용되어 문헌 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역대 관복 차림의 초상화에도 대부분 구름무늬 단령을 입고 있어 이를 뒷받침한다. 한편, 조선 중기 여자의 단령에도 구름무늬가 있으며, 치마저고리에도 드물지 않게 구름무늬가 나타나 남녀 성별에 따라 특별한 무늬를 규제하지는 않았던 듯하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