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9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 제4장 상징과 의미가 가득한 의례복
  • 3. 남녀의 가약을 맺어 주는 혼례복
  • 폐백 드릴 때의 신부복
이은주

일반적으로 신부는 친정에 머물다가 시집으로 가게 되는데 시집의 형편에 따라 친정에서 달을 묵히거나 해를 묵히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신랑이 신부와 함께 시집에 가는 것을 ‘우귀(于歸)’라 한다. 시집에 온 신부는 사위가 처가에서 받은 큰상에 해당하는 신부의 ‘큰상’을 받게 된다. 이 과정은 시집에서 신부를 정식으로 인정하는 공식적인 절차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신부가 시집의 며느리가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신부는 시부모에게 ‘현구고례(見舅姑禮)’를 올린다. 이것은 오늘날의 폐백에 해당된다.

예서에서 신부가 화관(花冠)에 염의를 입되 현구고례에는 선 장식(緣)을 제거하여 사용한다고 하니 곧 ‘소의’를 말하는 것이다. 소의가 없으면 대의·장군을 입어도 무방하다고 한 것은 곧 결혼한 여성의 예복을 입으라는 것이므로 세속의 녹원삼을 말한다.

현구고례를 할 때 신부는 관례를 치르는 것이 관행이었다. 시아버지는 사모에 단령을 입고 시어머니는 화관에 원삼을 입는데 신부 역시 화관에 낭자머리를 하고 원삼을 입었다. 여러 층으로 만든 통군(桶裙)이라고 하는 무기지 속치마를 입고 그 위에 홍치마, 그리고 다시 그 위에 자주색에 남색 안감을 댄 슬안호(膝按帍)라고 하는 겹치마를 입었다.232)문옥표 외, 『조선시대 관혼상제』 1: 관례·혼례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181∼182쪽. 『거가잡복고』에는 시 집에서 체(髢)를 준비하여 신부 머리에 얹어 주는데 세속의 ‘신부 관례’라고 하는 것으로 이때 홍장삼을 입는다고 하였다.233)박규수, 조효순 옮김, 앞의 책, 150쪽.

확대보기
폐백 드리는 신부
폐백 드리는 신부
팝업창 닫기

개화기에도 시집에 가서 폐백을 드릴 때 관례를 함께 하였다. 폐백을 드릴 때는 원삼을 입었는데 관례를 치를 때는 어여머리에 연두저고리와 다홍 치마를 입고 원삼 위에 다시 활옷을 입었다.234)한상숙, 앞의 책, 58∼59쪽. 현구고례를 올릴 때는 결혼한 부인의 성장인 녹원삼을 입고 어른들께 인사드리는 것이 예서의 원칙이지만 혼례 전에 치러야 할 관례를 이때 치르기 때문에 다시 혼인 때의 예복인 홍장삼, 즉 활옷을 입기도 하였다.

20세기 초, 시부모께 폐백을 드리는 모습을 담은 사진 한 장에서도 그러한 모습을 볼 수 있다.235)경운 박물관, 『근세 복식과 우리 문화』, 2003, 64쪽. 시어머니는 족두리에 원삼을, 그리고 며느리는 족두리와 도투락댕기에 활옷을 입고 있다. 시어머니 옆에 앉은 시아버지는 조복을 입고 있는데 개화기에는 폐백을 드릴 때 시아버지는 조복을 입는 것이 유행이었다. 조복이 없는 집안에서는 종로에 있던 주단 집에서 빌려 입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