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10권 자연과 정성의 산물, 우리 음식
  • 제3장 특별한 날, 특별한 음식
  • 3. 국수는 언제 먹여 주나
  • 목기러기가 올라가는 초례상
윤성재

혼례를 올리는 초례청(醮禮廳)에는 초례상(醮禮床)을 차린다. 초례상은 교배상(交拜床), 동뢰상(同牢床), 독좌상(獨坐床)이라고도 부른다. 초례청에는 병풍 앞으로 상을 놓고, 그 양편에 신랑과 신부가 마주서게 된다. 상 위에는 대나무와 소나무를 화병에 꽂고, 청홍의 초를 꽂은 촛대를 올린다. 상 위의 가운데에는 나무로 만든 기러기(木雁)와 술병, 술잔, 대추와 밤, 산자(饊子), 떡과 국수를 각각 한 그릇씩 올린다. 초례상에 올라가는 기러기는 원래 살아 있는 기러기를 써야 하지만, 점차 구하기 어려워지자 붉은색 보자기에 싼 삶은 닭을 쓰기도 하였고, 떡으로 기러기 모양을 만들어 쓰기도 하였다. 서울에서는 흰 떡으로 쌍봉(雙鳳)을 만들어 쓰는데, 용병(龍餠)이라고 부른다. 기러기는 일생 동안 한 배우자만을 맞이하므로 기러기처럼 부부가 한평생 해로(偕老)하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소나무와 대나무는 굳은 절개를, 대추와 밤은 장수와 다남(多男)을 상징하므로 반드시 놓는다. 또 떡과 국수는 예서에는 서직(黍稷)을 쓴다고 하였으나,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떡과 국수로 바꾸어 올렸다. 이처럼 초례상에는 장수, 건강, 다산, 부부 금슬 등을 상징하는 음식과 물품을 올린다.

확대보기
초례상
초례상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초례상
초례상
팝업창 닫기

이 초례상을 앞에 두고 신랑과 신부는 합근례(合巹禮)를 올린다. 신랑과 신부는 초례상 앞에 놓은 소반 앞에 각각 앉는다. 신부의 도우미인 대반(對盤)이 따라 준 첫 잔을 안주와 같이 소반 위에 놓으니, 이는 백년가약(百年佳約)을 조상과 천지신명께 고한다는 의미이다. 두 번째 잔은 각자 마신다. 세 번째 잔은 신랑이 청실을 감아서 신부에게, 신부는 홍실을 감아서 신랑에게 건네어 각각 마신다. 이 합근으로써 백년부부의 맹세가 이뤄지는 것이다. 차려진 음식과 첫 술잔으로 먼저 신(조상신)에게 제사 드리고, 이후 신이 내려 주신 음식을 음복(飮福)하는 절차를 통하여 아내와 남편이 되는, 새로운 인간으로서 재생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161)김상보,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를 통해서 본 조선 왕조 혼례 연향 음식 문화』, 신광 출판사, 2003, 100쪽.

확대보기
교배례
교배례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합근례
합근례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