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10권 자연과 정성의 산물, 우리 음식
  • 제3장 특별한 날, 특별한 음식
  • 4. 돌아가신 분도 산 사람처럼
  • 상제 의식의 제사
윤성재

상제 의식의 제사는 반혼제(返魂祭)부터 우제, 졸곡제, 부제, 소상, 대상, 담제, 길제까지를 말한다. 우제는 위령제(慰靈祭)의 하나로 세 번 지낸다. 초우제(初虞祭)는 반혼제에 이어 장사 당일에 지낸다. 재우제(再虞祭)는 초우 다음날이나 그 다음날이 된다. 삼우제(三虞祭)는 재우 다음날 강일(剛日=甲·丙·戌·庚·壬日) 아침에 지낸다. 삼우제를 모신 후부터는 묘소에 갈 수 있으므로 묘소의 여러 가지를 돌본다. 초하루와 보름날 아침에는 기제사 방식의 삭망제(朔望祭)를 지낸다. 졸곡제는 돌아가신 지 석 달 만에 오는 첫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에 지내고, 졸곡제 다음날 부제를 지낸다. 소상은 돌아가신 후 만 1년에 지낸다. 소상 후 만 1년 뒤에 대상을 맞는다. 또 대상 2개월 후에는 담제를 지낸다. 대상 100일 후에 해일(亥日)에 길제를 모셔 조상의 신주(神主)를 고쳐 쓴다. 윤행임의 경우에는 각 제사의 상차림에 국수와 떡, 적, 포, 해는 빠트리지 않았고, 다섯 가지 탕과 실과에 어육을 곁들여 올렸다.

확대보기
소·대상 제사하는 모양
소·대상 제사하는 모양
팝업창 닫기

그리고 소상과 대상 때에 올리는 상은 상례 상차림 가운데에도 가장 풍성하게 하여 보통 제사보다 많은 제물을 차린다. 이때 차리는 찬품은 오탕(五湯)으로 육탕(肉湯)·봉탕(鳳湯)·어탕(魚湯)·소탕(素湯)·잡탕(雜湯)을 차리고, 오적(五炙)으로 육적·봉적·어적·소적(素炙)·채소적을 차렸다. 소적은 두부 간 것을 통째로 구운 것이고, 채소적은 도라지·고사리·과(瓜) 등을 부친 것이다. 어포류는 명태·대구·상어·오징어·문어·전복·민어 등의 포를, 당속류는 원당(原糖)·오화당(五花糖)·매화당(梅花糖)·옥춘(玉春)·빙당(氷糖)·각 당(各糖) 등을 올렸다. 과실류로 각종 생과(生果)·건과(乾果) 등을, 과정류로 유과·진과·다식·강정 등이다.184)손정규, 『우리 음식』, 삼중당, 1948. 『읍혈록』은 1800년(경신년) 윤4월 16일까지만 기록되어 있어 대상이 되는 기록이 없다. 조씨가 1798년(무오년) 5월 6일에 세상을 떠났으니, 만 1년이 되는 1799년(기미년) 5월 6일에 소상을 지냈다. 이날 차린 제물은 생신차례와 같고, 유밀과 12그릇을 더 차렸다.

<표> 윤행임의 어머니 조씨의 제사 상차림
날짜/제사 제 품 비 고
7월 11일 미시
초우제
국수, 각색 떡
약과, 만두과, 각색 다식, 각색 당, 각색 차수, 각색 산자
사과, 능금, 자두, 포도, 대추, 황률, 호도, 잣
절육(截肉), 각색 전유어, 해삼찜, 전복숙, 육회, 편육
양탕, 어탕, 계탕, 골탕(骨湯), 족탕
각색 적, 포, 해
30가지
7월 13일 새벽
재우제
국수, 각색 떡
약과, 중계, 각색 다식
사과, 능금, 포도, 적리, 대추, 수박
어전, 양전(간전을 곁들임), 삼복찜, 편육
양탕, 어탕, 계탕, 족탕, 소탕
육적, 어적, 족적, 포, 해
 
7월 14일 새벽
삼우제
국수, 각색 떡
약과, 중계, 각색 다식
사과, 능금, 포도, 적리, 대추, 수박
어전, 양전-간전을 곁들임, 삼복찜, 편육
계탕, 어탕, 양탕, 족탕, 소탕
육적, 어적, 족적, 포
재우 제품과 같다
7월 16일
졸곡제
국수, 각색 떡
약과, 중계, 각색 산자, 각색 차수, 각색 다식
사과, 적리, 포도, 능금, 대추, 황률,
어전, 양전(간전을 곁들임) 삼복찜, 편육, 어회
계탕, 육탕, 어탕, 족탕, 소탕, 양탕
육적, 어적, 족적, 포, 해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