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12권 역사 속 외교 선물과 명품의 세계
  • 제6장 동아시아의 명품, 우리 모피와 말
  • 5. 우리 문화 속의 말
  • 신분 상징으로서의 말
윤재운

말이 가지고 있던 현저한 특징은 마주(馬主)의 신분에 조응하는 신분적 장식을 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인간이 기르는 가축 가운데 유일한 사례이다. 말은 주인의 신분에 따라 예우를 받거나 천시되기도 하였으니, 이는 말에게도 일종의 신분제가 적용되고 있었다는 말이 된다. 이러한 사례로는 안승(安勝)의 경우를 통해 알 수 있다.

신라의 문무왕은 670년 고구려 부흥 운동을 전개하던 안승을 고구려 왕으로 봉하여 당나라의 세력을 막아보고자 하였다. 이때 문무왕은 책명문(冊命文) 및 각종 물화(物貨)와 함께 ‘갑옷 갖춘 말 한 필’을 보냈다.296)『삼국사기』 권6, 신라본기6, 문무왕 10년. 문무왕이 보낸 말 한 필은 경제적 견지에서 평가되기보다는 안승에 대한 예우라는 측면에서 이해하여야 한다. 만약 이때 문무왕이 말을 재산의 의미에서 보냈다면 한 필이 아니라 여러 필을 보냈을 것이다.

한편, 신라는 말과 관련하여 신분적 상징을 제도로 정해 놓고 운영하고 있었다. 신라는 골품제 사회였다. 골품제란 혈통의 존비에 따라 정치적인 진출의 한계, 혼인 등이 제한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6세기 초에 이미 법제화되었으며, 신라 멸망에 이를 때까지 약 400년 동안 거의 변함없이 신라 사회를 규제하는 중심 틀이었다. 따라서 이 제도는 생활 전반에 걸쳐 고루 영향을 미쳤다. 골품에 따라 가옥의 규모, 의복의 색깔, 우마차의 장식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특권과 제약을 가하였다. 이 중 말 장식에 대해 살펴보면, 진골은 굴레와 멍에끈은 거친 비단을 쓰며 고리는 금, 은, 금동 등을 금하며 말방울도 금, 은, 금동을 금하였다. 그런데 6두품은 소굴레와 멍에끈은 베를 쓰며 고리는 놋쇠와 구리와 철을 쓴다. 5두품은 굴레는 없으며 멍에끈은 삼을 쓰며 고리는 나무와 철을 쓴다. 따라서 신분의 차이가 명확히 드러남을 알 수가 있다.

확대보기
각종 마구의 명칭
각종 마구의 명칭
팝업창 닫기

승마의 경우는 주인의 격에 맞추어 말안장부터 장식을 달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진골은 안장 길마에 자단과 침향을 금하며, 안장 언치는 모직과 수놓은 비단을 금하며, 안장 방석은 모직과 수놓은 비단을 금하고, 말다래는 다만 기름에 절은 베를 쓰며, 재갈과 등자는 금과 금동을 쓰거나 도금을 하거나 구슬 다는 것을 금하고, 가슴걸이는 땋은 줄과 자색 줄을 금하였다.297)『삼국사기』 권33, 지2, 거복.

확대보기
고대의 각종 마구
고대의 각종 마구
팝업창 닫기

한편, 여기서 수레는 5두품 이상이 타고 승마는 일반인까지 할 수 있었던 고대인의 관습을 볼 수 있다. 사료에는 수레에 대한 규정을 설명할 때 색복이나 다른 부분과는 달리 4두품에 대한 언급이 없다. 이와 달리 승마의 경우는 일반 백성까지 그 규정을 언급하고 있다. 이 규정을 분석해 보면 신라는 수레를 탈 수 있는 계층이 정해져 있고, 그것은 5두품 이상에 한하여 허락되었던 권한이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승마는 일반 백성도 다 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