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13권 20세기 여성, 전통과 근대의 교차로에 서다
  • 제1장 여자여 외출하라
  • 5. 의무로서의 소비, 쾌락으로서의 소비
  • 대중 소비 사회로의 변화
허영란

산업 사회에서는 소득과 생산은 ‘남성의 법칙’이요, 지출은 ‘여성의 법칙’이다.81)이양교, 「과소비, 이대로 좋은가」, 한국 여성 연맹 주최 토론회, 1990년 7월 19일(이 자료는 한국 여성사 지식 정보 시스템에서 참조하였음). 1980년대에 접어든 뒤로 본격적인 소비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에서 그것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기아선상의 경제 상태’에서는 소비 행위가 생존을 위해 긴급하고 필수적인 물자의 확보일 뿐이었다면, 자본주의의 대중 소비 사회에서는 소비 행위가 자아의 실현과 쾌락의 추구를 위한 수단이자 목적이기 때문이다. 1981년 4월 1일부터 시작된 컬러텔레비전 방송은 그러한 사회적 변화를 상징하는 사건이었다. 방송 광고의 컬러화는 소비문화를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였다. 그러한 계기를 통해 물질문명에 대한 소비자, 곧 여성의 욕망은 새로운 차원으로 고양되었다.

산업화와 도시화는 농촌에도 영향을 주었다. 비교적 폐쇄적이고 전통적인 질서가 강하게 남아 있던 농촌 지역에서도 1970년대부터 조금씩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198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피할 수 없는 추세가 되었다. 1970년대에는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나간 사람들을 통해 도시 문화가 조금씩 농촌으로 소개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텔레비전 보급 률이 높아지고 교통수단의 이용이 훨씬 쉬워지면서 소비문화가 곧장 농촌으로 들어왔다. 바깥 세계와 직간접 접촉이 늘어났으며 그것은 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교통이 편리해지면서 소규모 오일장이 사라져 갔고 그 역할이 교통 중심지에 위치한 읍내장(邑內場)으로 집중되었다. 안동을 예로 들어보면 과거에는 문 밖 출입도 못하던 여인네가 1980년대에는 자신이 손수 짠 삼베를 직접 시장에 내다팔았다. 거기서 얻은 현금 수입을 이용하는 문제에 대해 남편이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지만, 현금을 직접 손에 쥐는 경험은 당사자에게 특별한 의미를 가졌다. 형식상으로는 남편의 결정을 따르더라도 그들은 자신의 노력으로 가정 경제와 자녀 교육에 공헌할 수 있다는 자부심을 가지게 되었다. 과거 자가 소비용으로 삼베를 짜던 시기와 비교할 때, 그러한 경험은 여성의 정체성 확립과 스스로의 주체적인 이미지 형성에 크게 기여하였다.82)김진명, 「가부장적 담론을 통해 본 전통적 여성의 세계」, 『성, 가족, 그리고 문화─인류학적 접근─』, 집문당, 1997, 79∼80쪽.

1980년대에는 농촌에서도 가족이 급속히 해체되었다. 계층을 불문하고 학업과 취업 등 다양한 이유로 어린 자녀 대부분이 농촌을 떠났다. 농촌을 떠나면 계속 도시에 머물면서 상급 학교 진학과 취업으로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어떤 이유로든 일단 고향을 떠나면 결과적으로 이농(移農)으로 연결되었다. 농촌에서 청년이 줄어들기 시작하였고 늙은 부부만이 고향에 남아 농사를 지었다. 1960년대 말부터 절대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한 농촌 인구는 1980년에는 전체 인구의 28.9%, 1990년에는 15.3% 수준으로 신속하게 줄었다.83)김주숙, 앞의 책, 405∼406쪽. 2000년대에 접어들어서도 농촌 인구는 계속 감소하여 2004년도 현재 농가 인구는 약 340만 명, 곧 전체 인구의 7.1%에 지나지 않는다.84)통계청 홈페이지(http://www.nso.go.kr) 통계 정보 시스템(KOSIS).

1980년대 이후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력을 가진 중산층이 확대되었다. 생산 활동에 종사하지 않고 가사에만 전념하는 소위 전업 주부의 숫자도 늘었다. 농촌 여성과 도시 저소득층 여성 대부분이 가족의 생계를 위해 과중한 노동에 종사하지 않을 수 없는 집단이라면, 이들 중산층의 아내는 남편 의 수입에 의존하여 가사에만 전념할 수 있는 정도의 경제적 혜택을 누리고 있는 집단이었다.85)문옥표, 「도시 중산층의 가족 생활과 주부의 역할」, 『성, 가족, 그리고 문화─인류학적 접근─』, 집문당, 1997, 189쪽. 이러한 중산층을 주요 기반으로 삼아 대중 소비 사회가 현실로 나타났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