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14권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 제5장 국권 수호에 나선 무기와 무예
  • 2. 병서의 재발견
  • 전통 무기 운용 방식의 계승
  • 진류
강신엽

진(陣)은 전투할 때 취하는 군대의 전투 대형을 말한다. 여기서 설명하고자 하는 화거루진(火車疊陣)과 화거방진(火車方陣)은 조선 후기에 실전에서 사용하던 화거 작전이다. 화거루진은 적과의 정면 대결에서 아군이 우세를 점하고 공격할 때 주로 쓰는 전법이고, 화거방진은 적군에게 포위당하여 아군이 불리할 때 이것을 헤쳐 나가기 위한 전법이라고 할 수 있다.

화거루진법은 제일선에 화거 100량과 목화수거 20대를 일(一) 자로 배치하여 적과의 정면 대결에서 우세한 화력으로 적을 제압한 후에 주 병력을 투입하는 작전이다. 화거방진법은 네모 모양으로 진을 이루고 각 방면에 화거 25량과 목화수거 4대를 배치하여 방어 작전에 활용하는 진법이다. 사방을 포위한 적군이 공격해 올 때 각 방면의 대적 상황에 따라 대응해서 발사하는 작전을 사용하였다. 즉 전세가 불리할 경우에 본진에 대한 장벽 기능을 하였다.

확대보기
『융원필비』
『융원필비』
팝업창 닫기

박종경이 『융원필비』를 서술하면서 여러 종류의 책을 섭렵하고 참고하였지만, 가장 많이 참고한 책은 우리나라의 『화포식(火砲式)』·『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중국의 『무비지』 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기존의 무기 관련 서적을 참고하는 과정에서 과거의 제도를 현실에 맞추어 가감하기도 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내용을 그대로 전재(轉載)하기도 하였다. 그 내용을 비교하여 정리한 것이 표 ‘『융원필비』와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무예도보통지』·『무비지』의 내용 비교’ 이다.

『융원필비』는 무기를 설명하고 제작법 등을 기술한 서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예는 흔치 않다. 우리나라에서 무기 관련 서적으로서 꼽을 수 있는 것은 『융원필비』를 비롯해서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신기비결(神器秘訣)』, 『화포식』, 『무예도보통지』, 『훈국신조군기도설(訓局新造軍器圖說)』, 『훈국신조기계도설(訓局新造機械圖說)』 등이 있다. 기타 개인적인 문집이나 저술에 있어서도 부분적으로 특정 무기를 설명하고 있거나 또는 여러 종류의 무기를 개략적으로 소개한 내용이 있는데, 그 가운데에는 참신한 경우도 있지만 그 대부분이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위에서 서술한 책과는 비교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면에서 살펴볼 때, 『융원필비』가 한국 무기 발달사에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표> 『융원필비』와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무예도보통지』·『무비지』의 내용 비교
구분 융원필비 화포식언해 무비지 무예도보통지
서문류 서문      
기계총론      
화기류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      
대완구    
중완구      
대장군전      
장군전      
차대전      
피령전      
동거      
비진천뢰    
단석      
수철연의환(부 연환)      
조총      
비몽포    
찬혈비사신무통    
매화(부 주화)      
목통      
화룡권지비거    
화거    
봉인류 이화창    
화창    
소일와봉    
신기만승화룡도    
환도      
환자창    
도도    
삼릉창    
무차    
용도창    
사모    
아항창    
마병창    
편곤    
간각칠궁      
장전(부 통아·편전)    
갑주      
장패      
진류 화거첩진도      
화거방진도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