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14권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 제5장 국권 수호에 나선 무기와 무예
  • 4. 체육 활동
  • 무예로서의 체육
강신엽

조선 왕조는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채택함으로써 문치(文治)를 숭상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무(武)를 도외시하지 않았다. 고려 말 잦은 외적의 침입으로 무예를 중시하는 풍조는 조선 초에도 여전하였다. 특히 무과(武科)를 실시하여 무관(武官) 선발을 제도화하였고, 병농일치제(兵農一致制)를 채택하여 국민 모두에게 군역(軍役)의 의무를 부과하였다. 조정에서는 일반 백성들도 각종 무예를 익히도록 권장하였으며, 심지어 병장기 휴대를 의무화하기도 하였다. 특히 3년마다 정기적으로 시행되던 무과 식년(武科式年), 비정기적으로 보이던 별시(別試), 매년 봄가을에 실시되던 도시(都試) 등의 각종 무과 시취(試取) 제도가 마련됨에 따라 무예 체육은 체계화되고 제도화될 수 있었다. 군사 선발과 훈련에도 체계적인 방식을 도입하여 달리기, 던지기, 힘쓰기 등 기본적인 신체 능력을 측정하였다. 활쏘기와 기마술도 세분화된 시험 방식에 따라 체계화되었다. 격구 역시 고려 때처럼 지배층의 유희로 이루어지기도 하였으나, 무과의 시험 과목으로 채택되는 등 주로 군사 훈련의 하나로 행해졌다.

조선시대 무예 체육의 발달은 연재(練才)를 통해서도 이루어졌다. 연재는 군사 훈련을 강화하기 위하여 실시된 것으로, 성적에 따라 무사들의 출근 일수를 조정하기도 하였으며, 승급시키거나 강등시킬 뿐만 아니라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파면시키기도 하였다. 그리고 무예 훈련 과목은 강무재(講武才)라는 종합 군사 훈련을 통해서 평가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군사들은 무예 훈련에 전념하였으므로 무예 체육도 발전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군사 훈련의 강화와 더불어 전통적인 무예인 궁술과 창술이 기마술과 연계된 다양한 경기 방식으로 실시되었고, 격구와 마상재(馬上才)도 무예 훈련으로서 중시되었다. 이는 균형 감각을 비롯한 신체 기능의 발달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전통시대 무예가 오늘날과 같은 체육 목표를 달 성할 수 있는 것임을 보여 주는 적절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확대보기
격구보
격구보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마상재
마상재
팝업창 닫기

무기를 다루는 무예만이 아니라 신체를 이용한 무예도 성행하였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수박이다. 수박이 갑사(甲士)와 방패군(防牌軍)의 선발 기준이 되자 민간에서는 다투어 수박을 연마하는 풍조까지 생겨날 정도였다. 씨름도 군사 훈련의 일환으로 실시되기도 하였지만, 무사 선발 과목이 아니었기 때문에 민간의 풍속 놀이로 저변을 넓혀 갔다.

그러나 조선 후기로 내려오면서 무예 체육이 전반적으로 쇠퇴하였다. 16세기 이래 조선의 군제와 군역 제도는 붕괴되었고, 이런 사정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확립된 중앙의 5군영과 지방의 속오군 체제에도 불구하고 마찬가지였다. 때문에 무사 선발과 군사 훈련에서도 폐단이 나타나 한두 개의 시험 과목만으로 실시되거나 합격 기준이 점차 낮아지기도 하였다. 물론 지방군의 훈련도 제대로 시행되지 않았다. 그 결과는 무예 체육은 제도적 측면만 아니라 실제 운영에서도 쇠퇴하였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론적인 면에서는 발전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대의 평양 공격이 성공하자 전법의 기본이 된 척계광의 『기효신서(紀效新書)』를 번역·출간한 것을 시작으로 『무예제보(武藝諸譜)』, 『무예신보(武藝新譜)』, 『무예통지(武藝通志)』, 『무예도보통지』등의 무예서와 『병장도설(兵將圖說)』, 『속병장도설(續兵將圖說)』, 『병학지남(兵學指 南)』 같은 병서들이 편찬된 것이다. 이들 무예서의 편찬은 각종 무예 이론의 발달을 가져왔다. 예를 들어 서유구(徐有榘, 1764∼1845)는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에서 활쏘기의 과학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전통 사회의 무예 체육은 무예 연마 과정을 통해서 신체 기능의 발달이라는 체육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무사 선발이나 훈련에서 기본적 신체 기능을 요구하고 측정하는 등 일정한 발전도 있었다. 물론 무예 체육은 전쟁 수행이라는 군사적 목적에 치우친 한계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의 체육과 상이한 면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경기적 요소를 갖춘 무예가 실시되는 등 전통 사회의 무예 체육도 근대 체육으로 발전할 수 있는 요소와 성격을 내포하고 있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