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16권 장시에서 마트까지 근현대 시장 경제의 변천
  • 제2장 경제를 살린 상품 생산과 유통
  • 3. 도로와 수로를 이용한 상품 유통
  • 나루에 신흥 도시가 생겨나다
이상배

조선시대 한강에는 오늘날과 같은 다리가 없었다. 따라서 강을 건너려면 반드시 배를 이용해야만 하였고, 강가 마을이 밀집한 곳에는 배를 정박시킬 수 있는 나루를 설치하였다. 그리하여 나루 인근에는 늘 많은 사람이 붐볐고, 교통의 요지로 정착되면서 작은 도시가 형성되어 갔다. 한양의 송파나루가 대표적이다. 충청도와 경상도에서 한양으로 올라오는 사람들은 한강을 건너기 위해 자연히 송파나루 인근에 몰려들었고, 인구가 몰리다 보니 사람이 묵을 수 있는 주막(酒幕)이 필요하였으며, 자연스럽게 물건을 팔고 사는 장시가 형성되었다. 그리하여 조선 후기 송파장은 한양 근교의 장시 가운데 가장 번성하였으며, 영향력이 막강하였다. 그만큼 나루의 사회적·경제적 가치는 매우 다양하였다. 인구가 많이 모이는 나루는 신흥 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확대보기
송파진
송파진
팝업창 닫기

나루는 일반적으로 강폭의 넓고 좁음에 따라 도(渡)·진(津)·제(濟)·섭(涉) 등의 용어로 불렀고, 도와 진이 가장 많이 쓰였다. 이러한 도와 진은 고려시대에 이미 제도적으로 정착되었다. 예를 들면 한강의 사평도(沙平渡)·양화도(楊花渡), 예성강의 벽란도(碧瀾渡), 임진강의 하원도(河源渡), 한강의 노량진(露梁津)·광진(廣津), 대동강의 관선진(觀仙津) 등이 그것이다.

조선 초에는 도를 관할하는 책임자로 도승(渡丞)이 있었고, 그들에게는 복무의 대가로 토지를 지급하였다.107) 『세종실록』 권109, 세종 27년 7월 을유. 또한 나루의 규모에 따라 근무하는 진부(津夫)와 소속된 배의 크기 및 수량에 차이를 두었다. 즉 큰 도로와 연결되는 나루에는 10∼20결(結)의 토지와 10∼15명의 진부, 15척의 배를 주었고,108) 『대전통편』 권6, 공전 주거(舟車)에는 한강도와 노량도의 큰 나루에 15척의 배를 배정하고 있다. 중간 도로와 연결되는 나루에는 3결의 토지와 3명 내외의 진부가 있었다. 국가에서는 주로 큰 도로와 연결되는 나루를 집중적으로 관리하였으며, 중간 도로 이하의 나루에는 관리 책임자를 파견하지 않았다. 국가에서 나루를 관리한 것은 교통로의 안전한 확보와 함께 국가 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범죄자들의 이동을 막는 검문검색이 용이하였고, 은밀한 상품의 밀거래 등을 막을 수 있는 장소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곳의 기찰(譏察)은 매우 엄하여 일반 서민은 주로 중간 도로 이하와 연결된 나루를 이용하여 기찰의 피해를 덜 입었다.

그러면 조선시대 한강에 있었던 나루는 어느 정도였을까? 『세종실록지리지』·『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여지도서(輿地圖書)』·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에 의거하여 조선시대 남한강변의 나루 분포를 살펴보면 표 ‘남한강변 나루 분포’와 같다.

남한강변에 있던 나루는 사료에 따라서 명칭이 일치되는 것도 있지만 시대에 따라 없어지고 새로 생긴 것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체적으로 여러 자료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나루는 쓰임새나 규모가 다른 곳보다 컸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들 나루가 있었기 때문에 세곡 운송이나 상품 거래 및 인구의 이동이 편리하였던 것이다. 나루의 존재는 지역과 지역 간의 교통로로 인구 이동에 의한 정보의 전달, 상품 왕래로 인한 생활환경의 개선 등에 일조하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표> 남한강변 나루 분포
지명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대동여지도
정선     광탄진(廣灘津)  
영월 가근동진(加斤同津) 후진(後津),
밀적포(密積浦)
청령포(淸泠浦) 청령포
평창 연화진(淵火津),
용연진(龍淵津)
연화진, 용연진,
남진(南津),
마지진(麻池津)
연화진, 용연진,
남진, 마지진
주진(周津), 남진(南津),
마지진(麻之津),
사천진(沙川津),
진천진(津川津)
단양 상진(上津) 상진, 하진(下津)   상진, 하진
제천   북진(北津)    
충주 덕천진(德川津) 북진(北津), 진포(辰浦)   청룡진(靑龍津),
하진(荷津),
달천진(達川津), 진포
괴산   괴진(槐津) 괴진  
영춘   남진(南津) 남진, 북진(北津) 북진
영동   고당진(高唐津) 심천진(深川津)  
청풍 북진(北津) 북진 황강진(黃江津)  
원주     주천진(酒泉津), 안창진(安昌津),
사천진(沙川津), 이호진(梨湖津),
묘연진(猫淵津)
 
여주   이포진(梨浦津),
우만포(禹萬浦),
진강도(鎭江渡)
흔암진(欣巖津), 단암진(丹巖津),
관진(官津), 어양진(漁楊津),
양화진(楊花津), 이포진,
구미포진(龜尾浦津),
앙덕진(仰德津)
이포, 신진(新津),
앙암진(仰巖津)
양평 사포진(蛇浦津),
용진도(龍津渡)
용진도 용진도 갈산진(葛山津),
수청진(水靑津)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