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18권 불교 미술, 상징과 영원의 세계
  • 제1장 사찰의 공간 구성과 석조물의 상징
  • 3. 석조물에 등장하는 각종 조식
  • 가릉빈가
박경식

가릉빈가(迦陵頻伽)는 머리는 사람의 형상이지만, 몸은 새의 모습을 지닌 조식으로 대부분 악기를 불고 있는 형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아미타경 (阿彌陀經)』 등에 의하면 극락의 설산(雪山)에 산다고 하는데, 아름다운 목소리와 함께 춤을 잘 추어 호성조(呼聲鳥), 묘음조(妙音鳥), 미음조(美音鳥), 선조(仙鳥) 등의 명칭으로도 부른다. 이 조식은 황룡사지를 비롯하여 분황사지, 삼랑사지, 임해전지, 천은사지, 보문사지, 남윤사지 등에서 출토된 막새기와에서32)임영주, 『한국 문양사』, 미진사, 1983, 236쪽. 가장 먼저 조성된 예를 볼 수 있다. 따라서 가릉빈가는 목조 건축의 지붕을 장식하였던 막새기와에서 시작되어 통일신라 하대에 이르러서는 석조물에까지 파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조식은 주로 불상의 대좌와 부도에서 볼 수 있는데, 대좌보다는 부도에서 더 많은 예를 남기고 있다.

확대보기
가릉빈가
가릉빈가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가릉빈가
가릉빈가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가릉빈가
가릉빈가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가릉빈가
가릉빈가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가릉빈가
가릉빈가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가릉빈가
가릉빈가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가릉빈가
가릉빈가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가릉빈가
가릉빈가
팝업창 닫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릉빈가의 형상은 지상의 어느 물상(物像)에서도 볼 수 없는 조형으로, 이는 다분히 극락의 세계를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팔각 원당형 석조 부도에서 가장 많은 예를 볼 수 있고, 주로 탑신 하단의 받침대에 조성된 공통점이 있다. 나아가 여덟 면으로 구성된 각 부재의 각 면에 한 구씩 배치되고 있어 화려함을 더해 줄 뿐만 아니라 주인공인 선사가 천상에 존재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를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에서 볼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