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22권 여행과 관광으로 본 근대
  • 여행과 관광으로 본 근대를 내면서
  • 남은 과제
조성운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우리나라 근대 관광의 모습에 대해 대강이나마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집필 과정에서 집필자들은 몇 가지 난관에 부딪치지 않을 수 없었다. 하나는 우리나라 근대 관광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기인하는 것이었다. 이 책이 역사서이기 때문에 역사학적 관점에서 서술되어야 한다는 것은 명확하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학계에서 근대 관광에 대한 논저를 찾기가 어려웠다. 다른 하나는 문학계의 연구는 당연히 문학 작품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므로 근대 관광의 여러 요소들, 즉 철도·선박·자동차 등의 교통수단, 호텔·여관 등의 숙박 시설 등 관광의 기본적인 요소에 대한 연구가 소략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책은 구상 단계부터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였으나 집필진의 능력과 자료의 부족으로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한 측면도 있음을 먼저 밝혀둔다.

다음으로는 향후 근대 관광사 연구의 방향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고자 한다. 이는 본서에서 미처 밝히지 못한 부분들에 대한 반성에 근거하는 것이다. 첫째, 우리나라 근대 관광의 탄생 배경과 발전 과정에 대한 역사적인 서술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물론 이는 개별 논문 속에서 이루어지기 어려울 정도의 방대한 주제이지만 그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만족하지 못하였다. 둘째는 우리나라의 근대 관광이 일제의 식민지라는 상황 속에서 탄생한 것이므로 조선 총독부의 관광 정책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절실히 느꼈다. 조선 총독부 철도국을 비롯하여 일제 강점기에 여러 기관에서 발행한 간행물, 일본 여행 협회, 국제 관광국 등 일본의 관광 정책을 담당하던 기관 등에 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이다. 셋째 숙박 시설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조차 찾을 수 없는 상황에서 호텔, 여관 등 숙박 시설에 대한 연구는 사실상 어려운 일이었다. 여행 안내서, 잡 지의 기사나 광고 등을 통해 찾아낸 숙박 시설에 대한 자료 조사와 연구가 향후 필요하다. 넷째, 식민지 조선의 관광 관련 단체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조선 총독부 철도국만이 근대 관광의 담당자는 아니었을 것이므로 민간에서 이루어진 활동도 살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근대 관광의 연구는 한반도 내에서만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특별히 강조하고 싶다. 이 시기 관광은 조선 내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일본과 만주, 대만을 포괄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근대 관광의 연구는 제국사의 연구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다만 어렵겠지만 이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한국사의 관점에서 제국사를 보아야 한다는 점이다.

2008년 10월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