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23권 다양한 문화로 본 국가와 국왕
  • 제4장 왕실의 권위와 상징물
  • 5. 어가 행렬을 통해서 본 왕실의 권위
  • 어가 행렬과 왕실의 권위 상징
  • 왕비 가마 행렬과 권위
신병주
확대보기
왕비 가마 행렬
왕비 가마 행렬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왕비 가마 행렬
왕비 가마 행렬
팝업창 닫기

왕비 가마의 행렬은 전사대 깃발을 앞세운 전사대장의 등장과 함께 시작된다. 전사대장 뒤로는 전사대기를 든 병사들의 모습이 나타나며, 이들의 좌측과 우측에는 전사대 병력이 화면을 채운다. 왕비의 가마가 나타나기 전에 왕비의 책봉과 관련된 교명, 옥책, 금보, 명복을 담은 4개의 가마가 먼저 모습을 드러낸다. 왕비로 공인받은 각종 서류와 물품이 등장함으로써 왕비로 인정받은 상황을 대내외에 공포한 것이다.

확대보기
교명 요여
교명 요여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옥책 요여
옥책 요여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금보 채여
금보 채여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명복 채여
명복 채여
팝업창 닫기

먼저 왕의 혼인 명령에 해당하는 교명을 담은 교명 요여(敎命腰輿)가 나타난다. 교명 요여 다음으로는 왕비의 존호를 올릴 때 송덕문(頌德文)을 옥에 새겨 놓은 간책(簡冊)인 옥책을 담은 옥책 요여(玉冊腰輿)가 나타난다. 이어서 금보 채여(金寶彩輿)와 명복 채여(明服彩輿)가 등장한다. 채여는 채색 무늬가 있는 가마로 요여보다는 훨씬 화려한 맛이 있다. 금보 같은 귀한 도장이나 명복 같은 의복은 화려한 채여에 실어 운반하였다. 왕비의 가마에 앞서 지나가는 4개의 가마에는 왕비의 책봉을 상징적으로 알리는 문서, 도 장, 의복이 실려 있다. 왕비의 책봉을 신성시하는 의미에서 관련된 문서나 도장을 모두 가마에 담았던 것이다.

이들 가마가 먼저 지나가면 좌측과 우측에는 호위 병력인 금군, 오위장, 선전관 등이 무장한 상태로 모습을 드러낸다. 이어 중앙의 행렬에는 은관자(銀灌子), 은우자(銀盂子), 은교의(銀交倚), 은각답(銀脚踏) 등 행사에 필요한 물품을 직접 든 사람들의 모습이 나타나며, 이들의 옆에는 장마(仗馬) 2필과 청개(靑蓋)·홍개(紅蓋)를 든 사람들이 행렬을 따른다.

왕비 가마 행렬의 좌측과 우측에는 국왕의 가마 행렬과 마찬가지로 각종 의장기를 든 사람들이 긴 행렬을 이룬다. 백택기, 은등자, 금등자, 금장도, 은립과, 금립과, 은황과, 금횡과, 모절, 은월부, 금월부, 작선, 봉선을 높이 쳐든 사람들은 모두 붉은색 옷을 입고 있다. 의장 행렬의 뒤 중앙에는 봉거(捧炬)를 밝힌 4명의 인물과 양산을 받쳐 든 사람이 따른다. 양산을 받쳐 든 사람 뒤로는 악공 고취(樂工鼓吹)라고 하여 피리, 가야금, 나팔 등 각종의 악기를 든 사람들의 모습이 나타난다.

왕비 행렬에는 궁중의 어린 내관인 귀유치 내관(歸遊赤內官)과 보행 내관(步行內官)을 비롯하여, 너울을 쓴 기행 나인(騎行內人) 4명, 수줍게 걷고 있는 보행 나인 8명, 너울을 쓴 기행 상궁 2명 등 내관과 여성의 모습이 자주 등장한다. 남녀를 엄격히 구분한 신분 사회의 면모가 잘 드러나는 부분이다.

확대보기
왕비 가마 후미 행렬
왕비 가마 후미 행렬
팝업창 닫기

왕비 행렬의 뒷부분에는 이 행사를 총괄적으로 준비한 가례도감 도청(都廳) 소속 관리들의 모습이 선을 보인다. 도감 사령 5명과 서리 5명이 선두에 서고, 사령 2명을 앞세운 도제조가 나타난다. 이들 행사의 준비자들 뒤로는 동반(東班) 9명과 감찰(監察) 1명이 행렬의 좌측에서 말을 타고 가는 모습과 서반(西班) 9명과 감찰 1명이 행렬의 우측에서 말을 타고 가는 모습이 화면에 나타난다. 이어 화면의 중앙에 후사대기가 모습을 드러내고 말을 탄 후사대장, 깃발을 들고 총으로 무장한 후사대 병력이 뒤를 따른다. 왕비 행렬을 후방에서 경호하는 후사대 병력은 반차도의 대미를 장엄하게 장식하고 있다. 총 50면에 걸쳐 그려진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반차도에는 모든 계층의 호위를 받으면서 당당하게 행차하는 조선 왕실의 권위가 압축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