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23권 다양한 문화로 본 국가와 국왕
  • 제5장 왕실 행사와 전례 음악
  • 2. 왕실 행사의 음악 담당자들
  • 궁중 음악 감독, 전악
송지원
확대보기
선독교서도(宣讀敎書圖)
선독교서도(宣讀敎書圖)
팝업창 닫기

전악(典樂)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음악 전문인으로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지위로, 품계는 정6품이다. 요즘 식으로 표현한다면 ‘음악 감독’에 해당하지만 전악이 실제 담당한 일은 매우 다양하였다. 먼저 가장 중요한 업무는 궁중의 여러 의례에서 음악 감독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각종 제사에 쓰는 음악과 연향의 음악이 제대로 연주될 수 있도록 악공과 악생을 연습시킨 후 행사가 시작되면 각 절차에서 연주되어야 할 음악을 준비하여 각종 전례 음악 연주를 이끌었다. 악기는 물론 노래, 무용을 지도하기도 하였다. 음악을 연주할 무대의 전체 배치도 전악이 주관하였다. 악대가 음악을 연주할 때는 박(拍)으로 시작과 끝을 연주하는 집박 악사(執拍樂師)의 역할을 맡기도 하였다. 조선에서 통신사(通信使)가 일본으로 가게 되면 이들 가운데 전악 한 명은 반드시 동행하여 음악 감독 역할을 수행하였다. 국장(國葬)이 있을 때에는 음악 연주는 하지 않지만 악대를 벌여 놓고(陳而不作) 자리를 지키기도 하였다. 중국에서 들어온 악기의 연주 전승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때면 그 기법을 배우러 떠나기도 하였고, 악기 구입을 위해 중국을 다녀오기도 하였다. 좋은 악기를 만들기 위해 좋은 재료가 있는지 여러 곳을 물색해 다니기도 하였다. 일식(日蝕)이 있을 때면 일식을 구제하는 의례를 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청(靑)·적(赤)·백(白) 3색의 고(鼓)를 각각의 방위에 놓고 특정 순서에서 북을 울리는 역할도 바로 전악이 맡았다. 궁중 행사의 음악 연주와 관련하여 왕이 부르면 언제든 나아가 묻는 내용에 대해 상세히 대답하여야 했다. 전악은 그 밖에 일일이 다 기록하지 못한 여러 업무를 맡았다. 전악이 하는 일은 이처럼 다양하였다. 또 이들이 담당한 일에 따라 명칭을 구분하여 부르기도 했는데, 음악 연주에서 박을 담당할 때에는 집박 전악(執拍典樂), 궁중의 여러 행사 때에 음악의 진행을 맡아 지휘하는 집사 전악(執事典樂), 악기 제작을 감독하는 역할을 맡을 때 감조 전악(監造典樂), 또 대오 전악(隊伍典樂) 등이다.

확대보기
통신사행렬도 중의 전악
통신사행렬도 중의 전악
팝업창 닫기

전악은 장악원 소속 관리였고, 장악원 소속의 직업 음악인은 정직(正職)이 아닌 잡직(雜織)으로 분류되어 있어 제도적으로 정6품 이상으로 품계가 올라갈 수 없었다. 그리고 전악으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은퇴하였다. 간 혹 극히 드물었지만 특별히 승진하는 경우도 있었다. 전악으로 임명되기 전에는 대개 일종의 대우직(待遇職)인 가전악(假典樂)의 시기를 거친다. 가전악에서 전악으로 임명되기까지는 빠르면 2, 3개월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기도 하지만 늦으면 30여 년, 혹은 그 이상이 걸리기도 하였다. 더러는 전악으로 낙점(落點)되지 않은 채 가전악으로 궁중 음악인 생활을 마감하기도 하였다.

수백 명에 달하는 궁중 음악인을 총괄하는 전악이라는 지위는 궁중 소속의 음악인이면서 음악적으로 실력이 뛰어난 사람이라면 누구나 꿈꿀 수 있는 자리였다. 그러나 아무나 전악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극히 숫자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쉽게 오르기도 어려웠고, 또 많은 사람이 인정하는 실력의 소유자만이 맡을 수 있었다. 왜냐하면 전악은 궁중의 음악 담당 관리로서 실제 음악 연주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업무를 담당하기 때문이다.

전악을 지낸 이후 은퇴를 하면 그 실력을 묵히지 않았다. 음악을 배우고자 하는 이들에게 가르치기도 하였고, 민간의 여러 음악 수요에 응하기도 하였다. 어떤 경우에는 궁에서 다시 부르기도 하였다. 사맹삭(四孟朔), 즉 봄·여름·가을·겨울의 첫 번째 달인 음력 1월·4월·7월·10월에 이들을 다시 뽑아 8, 9품 중의 행직(行職, 품계는 높으나 직책은 낮은 벼슬)으로 임명하여, 벼슬을 시키면서 궁중의 여러 행사에 투입하였다. 평생토록 장악원에서 기예를 익혀 뛰어난 실력의 소유자를 그대로 묵히지 않고 활용하기 위한 방책이었다. 그런가 하면 은퇴를 한 후 조용한 곳에 은거하면서 자신이 연주하였던 음악을 악보로 만들거나, 제자를 가르치는 사람도 있었다. 또 그 제자들 가운데에는 스승의 음악을 기록하여 악보집(樂譜集)을 남겨 놓기도 하였다. 장악원의 전악은 어린 시절부터 음악 활동을 시작하여 은퇴 이후까지도 재능을 묵히지 않았고, 궁중에서 베풀어지는 여러 행사에 투입되어 조선의 음악을 이끌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