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24권 유교적 사유와 삶의 변천
  • 제1장 유교적 사유와 삶의 형성
  • 3. 통일 전후, 충도와 신의의 유교적 삶
권오영

신라 청소년의 유교적 사유와 삶을 알 수 있는 자료로는 원광(圓光)의 세속 5계(世俗五戒)와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이 있다. 임신서기석에 보면20)임신년은 552년(진흥왕 13), 612년(진평왕 34), 672년(문무왕 12), 732년(성덕왕 31)으로 어느 해인지 알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612년으로 보고 있다. 두 명의 신라 청소년이 유교 경전인 『시경(詩經)』, 『서경(書經)』, 『예기(禮記)』를 3년 안에 익히기로 맹세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당시 유교 경전에 대한 이해와 벗 사이의 충도(忠道)를 알 수 있다.

확대보기
임신서기석
임신서기석
팝업창 닫기

임신년 6월 16일에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하여 기록한다. 하늘 앞에 맹세한다. 이제부터 3년 이후로 충도를 지녀 허물이 없기를 맹세한다. 만약 국가가 편안하지 않아 크게 어지러운 세상이 되면 모름지기 행할 것을 맹세한다. 또 따로 앞서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하였다. 『시경』, 『상서(尙書)』, 『예전(禮傳)』을 차례로 익히기를 맹세하되 3년으로 하였다.21)「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 한국 고대 사회 연구소 편, 『역주 한국 고대 금석문(譯註韓國古代金石文)』 Ⅱ, 가락국 사적 개발 연구원, 175쪽, 1992.

삼국 통일 전후의 유교적 정치 이념은 진흥왕 순수비(眞興王巡狩碑)에서 찾을 수 있다. 진흥왕(540∼576)은 몸소 국경을 순수하고 나서 순수비를 세웠다. 순수비에서는 유교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를 표방하고 충신(忠信)과 절의(節義)를 강조하고 있다. 그 내용에서 “제왕이 호(號)를 세우면 자기 몸을 닦아서 백성을 편안하게 하지 않음이 없다.”라고 한 것은 수기치인의 유교적 수양과 정치 이념을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충성스럽고 신의가 있으며 재능이 뛰어나고 나라를 위해 충절을 다한 공이 있는 무리에게는 상과 벼슬을 주어 그 공훈을 표창할 것이다.”라고22)「마운령진흥왕순수비(磨雲嶺眞興王巡狩碑)」, 한국 고대 사회 연구소 편, 『역주 한국 고대 금석문』 Ⅱ, 가락국 사적 개발 연구원, 85∼90쪽, 1992. 한 데서 보듯 신라 청소년들에게 국가에 대한 충성을 요구하였다. 이처럼 충과 신은 신라 사회에서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유교적 덕목이었다.

더욱이 통일신라 왕실에서는 유학적 학습이 이루어졌다. 태종 무열왕의 둘째 아들 김인문(金仁問, 629∼694)은 어려서 취학(就學)하여 유가의 책을 많이 읽었다. 그는 당나라에 일곱 차례나 들어가 22년간 숙위(宿衛)를 하고 돌아왔다. 신라 왕실에서는 김인문 등에 의해 당나라를 통해 들어온 유교적 삶과 사유가 무르익고 있었다.

당 현종은 “신라는 군자(君子)의 나라라 일컬어지고, 자못 글을 잘 알아 중국과 비슷함이 있다.”라고 하면서 형숙(邢璹)을 신라에 보내어 “경서의 뜻을 강연하여 그들로 하여금 대국에 유교가 성함을 알게 하라.”고 일렀다.23)『삼국사기』 권9, 신라본기9, 제9(효성왕).

확대보기
김인문묘
김인문묘
팝업창 닫기

756년(경덕왕 24)에 신라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예를 표하자 당 현종 은 5언시(五言詩)를 지어 경덕왕에게 보내 주었다. 그러면서 신라왕은 해마다 사신의 예를 잘 행하고 예악(禮樂)과 대의명분(大義名分)을 잘 실천하므로 시 한 편을 지어 준다고 하였다.

의관을 갖춘 이는 예절을 받들 줄 알고 / 衣冠知奉禮

충성과 신의가 있는 자는 유학을 높일 줄 아는구나 / 忠信識尊儒

성실하도다! 하늘이 이를 굽어볼 것이며 / 誠矣天其鑑

어질도다! 덕행은 외롭지 않으리라 / 賢哉德不孤

가지고 있는 깃발은 작목과 같고 / 擁旄同作牧

후한 선물은 생추에 비길 만하다 / 厚貺比生蒭

푸르고 푸른 지조 더욱 소중히 하여 / 益重靑靑志

바람과 서리에도 늘 변하지 말지라24)『삼국사기』 권9, 신라본기9, 제9(경덕왕). / 風霜恒不渝

이 시에서 보듯 중국은 이미 신라를 예의의 나라로 알고 있었다. 중국으로부터 인의(仁義)의 칭호를 듣고 문장과 예악은 군자의 풍이 있었던 것이다. 이 시의 판본은 고려 때까지 남아 있었고 김부의(金富儀, 1079∼1136)가 송나라에 사신으로 갈 때 가져가 중국 황제에게 보이기도 하였다

그런데 통일신라의 유교는 화랑도(花郞道)의 정신과 서로 통한다. 화랑도는 유(儒)·불(佛)·선(仙) 삼교(三敎)를 두루 포함하고 있는 신라의 시대정신이었고 당시 나라를 다스리는 큰 요체였다. 화랑도에도 특히 삼국 통일 이전에는 유교적 색채가 강하게 내포되어 있었다. 화랑도의 기원은 진흥왕 때 민가의 아름다운 처녀를 가려 원화(原花)로 삼았고 그 무리 중에서 인물을 선발하고 또 그들에게 효제와 충신의 도를 가르친 데서 비롯하였다.

진흥왕은 “나라를 흥하게 하려면 먼저 풍월도(風月道, 화랑도)를 숭상하여야 할 것이다.”라고 하고 양가의 남자 중에 덕행이 있는 자를 뽑아 ‘화랑’이라 하고 처음으로 설원랑(薛原郞)을 국선(國仙)으로 삼았다. 이로부터 사람으로 하여금 악한 것을 고치고 착한 것을 힘써 윗사람은 공경하고 아랫사람은 순종하여 오상(五常)과 육예(六藝)의 도리가 일시에 널리 행해졌다.25)『삼국유사』 권3, 탑상(塔像) 제4 , 미륵선화 미시랑 진자사(彌勒仙花未尸郞眞慈師).

확대보기
화랑이 수련하던 장소
화랑이 수련하던 장소
팝업창 닫기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화랑들이 도의로써 서로 연마하였다는 것이다. 도의를 숭상하는 화랑도 정신은 고대 우리 민족의 고유 사상에 연원하겠지만 여기에 유교 정신이 가미되어 충효·절의·용감·정직을 더욱 표방하였다. 화랑들은 입산하여 기도하기도 하고, 종군하거나 출전하여 생사의 갈림길을 넘나들면서 죽음을 털끝보다 가볍게 여기고 의(義)를 태산보다 중하게 여겨 “진실로 의리에 어긋나면 천금의 이(利)에도 마음을 움직이지 않는다.”라고 하였다.26)『삼국사기』 권48, 열전8, 검군(劍君). 이러한 화랑도의 의리는 유교적 의리와 매우 상통하는 측면이 있었다. 특히 김유신은 유교적 삶을 실천한 대표적 인물이다. 629년(진평왕 51) 8월, 그는 신라가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 청주)을 공격하는 전투에 참여하였다. 그는 고구려가 반격하여 와서 신라군이 불리하게 되자 아버지 김서현(金舒玄)에게 “저는 평생에 충효로(써) 스스로를 기약하였으니 전투에 임하여 용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라고27)『삼국사기』 권41, 열전1, 김유신 상. 하면서 용맹하게 싸워 큰 전공을 세웠다.

확대보기
김유신묘
김유신묘
팝업창 닫기

신라시대에는 불교와 유교가 전혀 대립하지 않고 공존하였다. 따라서 승려도 불교는 물론 유학을 공부하기도 하였다.28)원광뿐만 아니라 낭혜 화상(朗慧和尙)의 경우도 어려서 유가(儒家)의 책을 읽어서 유가의 남은 멋이 입술에 젖어 있었다고 한다(최치원(崔致遠), 이우성(李佑成) 교역(校譯), 『신라 사산 비명(新羅四山碑銘)』, 아세아 문화사, 1995). 원광(圓光, 555∼638)은 25세에 중국에 유학하여 11년간 머물면서 삼장(三藏, 경(經)·율(律)·논(論))을 널리 통하고 아울러 유술(儒術)을 익혔다. 그는 600년(진평왕 22)에 귀국하여 가실사(加悉寺)에 머물면서 당시 사람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았다. 당시 사량부(沙梁部) 사람인 귀산(貴山)과 추항(箒項)은 젊은 시절부터 서로 절친한 벗이었는데 원광에게 나아가 자신들이 죽을 때까지 훈계(訓戒)로 삼을 말을 청하였다.

불교의 계명으로 보살계(菩薩戒)가 있는데, 그대들은 남의 신하된 몸이니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제 세속의 오계가 있으니 첫째가 사군이충(事君以忠), 둘째가 사친이효(事親以孝), 셋째가 교우이신(交友以信), 넷째가 임전무퇴(臨戰無退), 다섯째가 살생유택(殺生有擇)이다. 그대들은 충실히 행하여 소홀하지 마라.29)『삼국유사』 권4, 의해(義解) 제5, 원광서학(圓光西學).

원광의 이러한 가르침을 들은 귀산 등은 ‘살생유택’의 의미를 다시 물었다. 그러자 원광은 육재일(六齋日, 매달 8·14·15·23·29·30일. 사천왕이 천하를 순행하면서 사람의 선악을 살피는 날이라 함)과 봄여름에 살생하지 말고, 또 필요한 경우에만 한하여 많이 죽이지 말라고 하였다. 원광의 세속 5계는 충(忠)·효(孝)·신(信)·용(勇)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런데 귀산과 추항은 이러한 원광의 가르침을 실천에 옮겼다. 원광의 가르침을 들은 뒤 두 사람은 백제와의 전투에 참여하여 큰 전공을 세웠다.30)『삼국유사』 권4, 의해 제5, 원광서학. 602년(진평왕 24) 8월 백제 군사가 아막성(阿莫城)을 포위하자 진평왕이 날쌘 기마병 수천 명을 보내어 항전하였다. 전세가 불리해지자 노한 백제의 왕이 좌평(佐平) 해수(解讐)에게 보병과 기병 4만을 거느리고 신라의 네 성을 공격하도록 하였다. 이에 진평왕은 장군 건품(乾品), 무은(武殷) 등에게 대군을 거느리고 항전하도록 하였다. 해수는 전황이 불리하자 후퇴하여 천산성 서쪽 대택(大澤)에 복병(伏兵)하고 있었다. 무은은 승리한 기세를 타고 무장한 군사 1,000명을 거느리고 쫓아가 대택에 이르렀다. 이때 복병하고 있던 백제 군사가 급습하여 무은이 말에서 떨어지자 사졸들은 놀라서 어찌할 바를 몰랐다.

이때 무은의 아들 귀산이 크게 부르짖기를, “내가 일찍이 스승 원광 법사에게서 ‘임전무퇴’의 가르침을 받았으니, 어찌 감히 싸우다가 물러나 도망쳐서 스승의 가르침을 저버릴 수 있겠는가.”라고 말하고, 말을 아버지에게 주고 그의 친구 추항과 함께 창을 휘두르며 힘껏 싸워 백제군 수십 명을 죽였다. 그 결과 백제가 패배하여 죽은 시체가 들에 가득 찼고, 해수는 겨우 죽음을 면하였다. 그러나 귀산과 추항은 온 몸에 창상을 입고 죽었다. 진평왕은 신하들과 함께 아나(阿那)의 들판에 나아가 군사를 맞이하면서 귀산과 추항의 시신을 어루만지며 통곡하고 예를 갖추어 장사 지냈다.31)『삼국사기』 권45, 열전5, 귀산(貴山). 귀산과 추항은 바로 세속 5계에 따라 충과 효, 신과 용을 몸소 실천하는 유교적 삶을 살았던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