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24권 유교적 사유와 삶의 변천
  • 제4장 예절로 다스리는 사회의 종법 질서
  • 4. 유교 의례의 표상, 제사
  • 국가의 제사
  • 중사
이영춘

국가의 중사에 해당하는 제사이다. 서울 남쪽 교외의 풍운뢰우단(風雲雷雨壇)에서는 풍운뢰우신을 제사하였고, 동쪽 교외의 선농단(先農壇)에서는 농사의 신인 신농씨와 후직씨를 제사하였으며, 선잠단(先蠶壇)에서는 양잠의 신인 서릉씨(西陵氏)를 제사하였고, 우단(雩壇)에서는 기우제를 지냈다. 농경 사회에서 농사와 관련된 제사를 중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국의 큰 산과 강 및 바다(嶽·海·瀆)도 중사로 제사하였다.207)악(嶽)에 대한 제사는 지리산(智異山, 전라도 남원, 남), 삼각산(三角山, 한성부, 중), 송악산(松嶽山, 개성부, 서), 비백산(鼻白山, 영길도 정평, 북)이며, 해(海)에 대한 제사는 동해(강원도 양주), 남해(전라도 나주), 서해(황해도 풍천), 독(瀆)에 대한 제사는 웅진(熊津, 충청도 연기), 가야진(伽倻津, 경상도 양산), 한강(漢江, 한성부, 중), 덕진(德津, 경기 임진), 평양강(平壤江, 평안도 평양부), 압록강(鴨綠江, 평안도 의주), 두만강(豆滿江, 함길도 경원)을 대상으로 하였다(『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 변사).

확대보기
『해동지도』의 경도(京都)
『해동지도』의 경도(京都)
팝업창 닫기

다음으로 중요한 제사는 문묘(文廟)208)문묘에는 대성전(大成殿)이라는 현판이 걸린 큰 사당과 동무(東廡)와 서무(西廡)라고 부르는 작은 사당이 있다. 대성전에는 공자와 사현(四賢, 안자·증자·자사·맹자)을 모시고 동무와 서무에는 기타 중국의 유학자들과 우리나라의 18현이 봉안되어 있다. 향교의 규모에 따라 제향하는 선현의 수가 다르다.에서 행하는 공자와 여러 제자들 및 배향된 유학자들에 대한 제사이다. 이를 석전(釋奠)이라고 하는데, 일 년에 두 번, 중춘(仲春)·중추(仲秋)에 행하였고, 매월 삭망(朔望)에는 간략한 전(奠)을 올렸다.

확대보기
숭령전
숭령전
팝업창 닫기

역대 왕조의 시조에 대한 제사도 중사였다. 초기에는 고조선의 단군, 후조선의 기자, 고려의 태조에게만 행하였지만, 후기에는 삼국의 시조도 포함되었다. 구월산의 삼성사(三聖祠)에서는 환인·환웅·단군을, 평양의 숭령전(崇寧殿)에서는 단군과 동명왕을, 숭인전(崇仁殿)에서는 기자를 제사하였다. 경주의 숭덕전(崇德殿)에서는 박혁거세를, 경기도 마전의 숭의전(崇義殿)에서는 고려의 왕건 이하 여러 왕을 제사하였다. 백제의 시조 온조왕을 제사하는 사당은 원래 직산에 있었으나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온조의 사당을 세우면서 그곳으로 제사를 옮겨 왔다. 이들 역대 시조에 대한 제사도 일 년에 두 번 시행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