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25권 기록과 유물로 본 우리 음악의 역사
  • 제2장 기보법의 발달과 악보
  • 1. 기보법의 발달과 종류
  • 연음표
권오성

연음표는 소리의 억양을 노래(가곡)의 사설 위에 부호로 표시한 기보법으로, 가객(歌客)들 사이에 암표(暗標)로 사용하던 일종의 부호보(符號譜)이다. 서양의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에 사용한 네우마(Neuma)와 비슷하다. 『가곡원류(歌曲源流)』·『협률대성(協律大成)』·『여창가곡록(女唱歌曲錄)』 등에 사용하였는데, 지금은 쓰지 않는다. 이것은 조선 말기 가객들이 노랫소리의 높낮이, 장단, 선율의 연결 등을 암기하기 쉽게 일종의 부호를 이용해 표시해 놓은 것이다.

『가곡원류』에는 연음표가 있다. 박효관(朴孝寬)과 안민영(安珉英)이 엮은 『가곡원류』의 전통을 이어받아 명창 하규일(河圭一, 1867∼1937)이 이왕 직 아악부(李王職雅樂部)에서 가곡을 가르칠 때에 사용한 발음표가 연음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설 옆에 연음표를 표시해 놓고 그것에 의해 노래를 불렀던 것이다.

확대보기
『가곡원류』
『가곡원류』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