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27권 농업과 농민, 천하대본의 길
  • 제3장 조선 전기 농업 발달과 농촌 사회 그리고 농민
  • 3. 벼농사 짓는 법과 밭작물 재배법
  • 15세기 밭작물 재배법의 특성
염정섭

15세기에 밭에서 잡곡을 재배하는 방법은 먼저 작물을 재배할 때 필요한 여러 가지 농작업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잡곡 재배 방법은 기본적으로 기경(起耕), 숙치(熟治), 파종(播種), 복종(覆種), 제초(除草), 시비(施肥), 수확(收穫) 등의 농작업을 적절한 시기에 적당하게 수행하는 것이었다. 이 가운데 전토를 다스리는 작업과 파종 작업을 묶어서, 더 나아가 복종 작업까지를 한데 모아서 경종법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다. 15세기 밭작물 경종법을 『농사직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각 작물별 경종법은 아주 간략하게 서술된 대두(大豆), 소두(小豆) 등 두과(豆科) 작물의 경우에도 기경부터 시작하여 복종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연속 작업으로 수행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재를 주로 이용하는 분전(糞田) 즉 거름주기와 결합시켜서 경종의 여러 단계를 수행하고 있었다.

먼저 한전을 기경하는 원리에 대해서 살펴보자. 『농사직설』은 한전 기경의 기본적인 원칙으로 “경지(耕地)는 천천히 하는 것이 적당하다. 천천히 하면 흙이 연해지고, 소가 피곤하지 않게 된다. 춘하경(春夏耕)은 얕게 하는 것이 적당하고, 추경(秋耕)은 깊게 하는 것이 적당하다.”405)『농사직설』 경지(耕地) : 『농서』 1, 8면. “耕地宜徐 徐則土軟 牛不疲困 春夏耕宜淺 秋耕宜深.”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었다. 봄여름갈이는 얕게 하고, 가을갈이는 깊게 하라는 것은 중국 북 위(北魏)의 가사협(賈思勰)이 지은 『제민요술(齊民要術)』이라는 농서에 등장하는 기경의 원칙이었다.406)『제민요술(齊民要術)』 권1, 경전 제1에서는 추경(秋耕)이 먼저 나오고 있다. 秋耕欲深 春耕欲淺. 봄 작물, 가을 작물에 연결되는 기경 작업에 얕고 깊은 차이를 두어서 갈기의 깊이를 각각 규정한 것은 봄철과 가을철의 토양의 조건이 다르기 때문이었다.407)민성기, 『조선 농업사 연구』, 일조각 1990 ; 이경식, 「조선 초기의 농지 개간과 대농 경영」, 『한국사 연구』 75, 한국사 연구회, 1991.

확대보기
밭갈이
밭갈이
팝업창 닫기

다음으로 조선 전기 한전 농법의 주요한 특색을 여러 가지 밭작물의 구체적인 경작 방식의 측면에서 살필 수 있다. 조선 후기 밭작물의 경작 방식과 조선 전기의 그것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나타난다. 한전의 밭작물 경작 방식은 양맥(兩麥)을 중심에 놓고 검토할 수 있다. 보리와 밀인 양맥을 재배하는 방식은 파종 시기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뉘는데, 가을에 파종하는 방식과 봄에 파종하는 방식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양맥은 다른 한전 작물과 달리 가을에 파종하여 여름에 수확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봄에 파종하여 가을에 거두는 다른 밭작물을 수확한 후에 양맥을 재배하는 경작 방식이 실현 가능한 것이었다.

조선 전기 『농사직설』에 보이는 밭작물 사이의 연결 관계를 정리하면 표 ‘『농사직설』에 보이는 한전 작물의 전작과 후작 연결 관계’와 같다. 전작(前作)이란 앞서 재배하는 작물이고, 후작(後作)이란 뒤이어 재배하는 작물을 가리킨다. 그리고 맥근(麥根)은 단순히 ‘맥(麥)의 뿌리’를 뜻하는 말이 아니라, ‘맥을 경작한 전토’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맥근전(麥根田)과 서로 통하는 용어이다. 이 표에서 양맥의 후작으로 점물곡속(占勿谷粟), 강직(姜稷), 대두(大豆), 소두(小豆), 호마(胡麻) 등을 경작하도록 관계가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농사직설』에 보이는 한전 작물의 전작과 후작 연결 관계
전작 후작 비고 근거 조목
맥근(麥根) 점물곡속
(占勿谷粟)
만종(晩種)하여도 조숙(早熟)한다. 종서속
(種黍粟)
양맥저(兩麥底) 강직(姜稷) 만종하여도 조숙한다. 6월 상순에 파종할 수 있다. 종직(種稷)
양맥근(兩麥根) 대두소두
(大豆小豆)
만종은 향명(鄕名)을 근경(根耕)이라 하고,
조종(早種)은 향명을 춘경(春耕)이라 한다.
종대두소두
(種大豆小豆)
서두속목맥근
(黍豆粟木麥根)
대소맥
(大小麥)
풀을 펼치고 불로 태운다. 종대소맥
(種大小麥)
맥근 대소맥 (1년 1작이다) 종대소맥
맥근 호마(胡麻) 기름진 땅이면 4월 상순에 분회(糞灰)와 섞어서
드물게 파종한다.
종호마
(種胡麻)

양맥의 후작으로 경작하는 작물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먼저 점물곡속과 강직은 둘 다 만종(晩種)하여도 조숙(早熟)하는 품종이었다. 따라서 맥근과 양맥저는 후작으로 일반적인 속성을 지닌 속(粟)과 직(稷)을 경작하는 방식이 아니었다. 다음으로 양맥근의 후작으로 대두와 소두를 경작하는 경우를 보면 여기에는 하나의 조건이 붙어 있었다. 바로 대두와 소두는 만종에 해당하는 품종만 재배가 가능하다는 조건이었다. 따라서 조종(早種) 하는 대두와 소두는 도저히 맥근전에 키울 수 없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호마는 애초에 황지(荒地)에 재배하는 것이 적당한 작물이었다.408)『농사직설』 종호마(種胡麻)(『농서』 1, 22면). 그런데 비옥한 밭일 경우라야만 4월에 맥근의 후작으로 호마를 경작할 수 있었다. 호마를 맥근전에 경작하는 것은 상당한 조건을 충족할 수 있어야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농사직설』에 보이는 양맥을 중심으로 설정된 작물 사이의 연계 관계를 1년 2작이나 2년 3작의 경작 방식으로 파악하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가장 일반적인 방식의 한전 작물 경작 방식은 각 작물을 1년 1작식으로 경작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옳을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