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28권 고문서에게 물은 조선 시대 사람들의 삶
  • 제4장 문서로 본 공동체 생활
  • 4. 각종 계와 결사 조직 문서
  • 각종 계
  • 기타 계
심재우

조선시대 계는 목적에 따라 워낙 다양하게 조직되었기 때문에 앞서 소개한 것 외의 개별 사례도 많다. 이를 몇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군포계(軍布契), 호포계(戶布契) 등 세금 납부에 공동으로 대처하기 위해 조직한 계가 있다. 다음으로 공계(貢契), 객주계(客主契), 보부상계(褓負商契) 등 상인 조합으로서의 성격을 갖는 계가 있다. 이 밖에 등촉계(燈燭契), 불량계(佛糧契) 등 불교 신도가 시주 활동의 일환으로 조직한 것도 있다.

확대보기
『괴원계첩』
『괴원계첩』
팝업창 닫기

여기서는 같은 관청에 근무하는 관료들이 조직한 청계(廳契)의 사례를 제시한다. 청계는 중앙이나 지방의 관청에 근무하는 관리나 아전(衙前)이 조직하는 계로 각 관청에 소속된 인원들 간의 결속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 다. 따라서 청계는 사교를 목적으로 한 일종의 친목계에 해당하지만 여기서는 기타 계의 사례로 소개하고자 한다.

이 계는 과거에 합격한 후 승문원(承文院)에 배속된 60여 명 가운데 면신례(免新禮)를 통과한 최종 24명이 1776년(영조 52) 2월 19일에 조직한 것이다. 이들 24명이 함께 승문원에 들어온 인연을 바탕으로 앞으로 서로간의 결속을 다지기 위해 이 계첩을 작성한 것이다.

겉표지에는 ‘괴원계첩(槐院稧帖)’이라 적혀 있으며, 안에는 ‘괴원신참동회록(槐院新參同會錄)’으로 되어 있다. 형식은 계원 명단을 적은 좌목과 계원 중에 홍중상(洪重相)과 김이만(金履萬)이 작성한 발문(跋文)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 각종 자료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조선 후기의 계는 계원 구성, 결성 목적 등이 매우 다양하였다. 같은 생각을 가진 많은 사람이 계를 조직하고 운영하면서 서로 간에 자연스럽게 인적 유대를 강화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