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2권 한반도의 흙, 도자기로 태어나다
  • 2 토기 제작전통의 형성과 발전
  • 01. 기술혁신과 공방의 발전, 원삼국시대
  • 토기 생산의 지역 전통
  • 진한·변한 지역(辰韓)·(弁韓地域)
이성주

원삼국시대 직전까지 남한 지역의 토기는 점토대토기였으나 변화가 진·변한 지역에서 가장 먼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세기 변·진한 지역의 목관묘에서 회색의 승문타날단경호가 등장하면서 와질토기가 시작된다. 처음 승문타날단경호 한 종류밖에 없었던 와질토기에 종래 무덤의 부장품으로 주로 제작되었던 점토대토기 파수부장경호와 주머니호가 회백색, 회흑색 연질에 타날수법으로 제작되면서 새로운 와질토기의 기종이 되었다.

이어 원삼국시대 전기의 목관묘가 후기의 목곽묘로 넘어갈 무렵 점토대토기 옹과 발 등에 타날수법이 적용되면서 적갈색연질토기로 바뀌었다. 목곽묘 단계에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분묘에 부장되는 와질토기가 크게 발전하여 그릇의 종류도 크게 늘고, 기술의 정교함도 상당한 수준에 이르지만 그 기술은 대량 생산을 위한 기술이 아니라 장식이 더욱 정교해진 와질토기를 제작하기 위한 노동집약적 기술이었다. 원삼국시대 말 낙동강하류에서 도질토기인 단경호가 처음 출현하는데 처음에는 단경호 하나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출현한 기술이었지만 곧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기술로 생산 체계를 구성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