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2권 한반도의 흙, 도자기로 태어나다
  • 2 토기 제작전통의 형성과 발전
  • 02. 삼국의 토기생산과 발전
  • 고구려
  • 고구려 토기의 형성 과정과 변천
최종택

고구려 토기의 기원과 형성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부분 미해결의 장으로 남아 있는데, 이는 전적으로 자료의 부족에 원인이 있다. 현재까지의 자료로 보아 중국 집안 일대의 혼강 유역과 압록강 유역의 청동기시대 토기의 전통 위에 전국시대 말에서 한대(漢代) 회도(灰陶)의 영향이 가미되어 고구려 토기가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고구려 전기에 보이는 굵은 모래가 섞인 조질태토와 세로로 달린 띠고리손잡이[帶狀把手] 및 마연(磨硏) 등의 속성은 청동기시대 이래의 전통이며, 고운 점토질의 니질태토(泥質胎土)와 회색토기 등의 속성과 일부 기종에서 보이는 한대 토기의 요소 등은 새로이 유입된 것이다.

그러나 3세기 이전의 토기는 자료가 거의 없어서 공백 상태로 남아있으며, 현재로서는 3세기 말∼4세기 전반경에 이르러서야 정형성을 갖춘 고구려 토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은 고구려의 집권적 국가체제 성립과 궤를 같이하는 현상이다.

고구려 토기는 제작기법 및 형태상의 변화에 따라 전기(300년 이전), 중기(300년∼500년), 후기(500년 이후)의 세 시기로 구분된다. 시기별·기종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고구려 토기의 일반적인 특 징으로는 고운 점토질의 니질태토와 물레나 돌림판을 사용한 성형기법, 띠고리손잡이와 평저기형, 일부 기종의 시유(施釉)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제작기술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 발전한다. 전기에는 태토에 굵은 사립이 섞인 조질토기가 많으며, 중기에 들어서 태토의 완전한 니질화가 이루어지고, 중기부터 저화도 녹갈도기가 제작되기 시작한다.

성형기법 면에서는 전기의 손으로 빚은 수제토기(手製土器) 위주에서 중기부터는 돌림판이나 물레를 사용한 윤제토기(輪製土器)로 변화된다. 표면을 마연하는 기법 역시 고구려 토기의 특징적인 요소로 생각되고 있으나, 전 시기를 거쳐 일부 기종에서만 마연이 확인되고 있다. 고구려 토기에는 문양이 시문된 토기가 드물지만 중기부터는 눌러서 찍는 압날법(押捺法)이나 그어서 새기는 음각법(陰刻法)에 의한 점열문(点烈文), 연속사각문(連續四角文), 거치문(鋸齒文), 어골문(魚骨文, 전나무잎무늬), 격자문(格子文), 사격자문(斜格子文), 동심원문(同心圓文), 파상문(波狀文), 중호문(重弧文) 등이 일부 기종의 어깨에 시문된다.

후기에는 이들 문양이 일부 계속 시문되기도 하지만 흔히 암문(暗文)이라고 불리는 찰과법(擦過法)에 의한 불규칙한 사선문이나 격자문, 연속고리문 등이 시문된다. 표면 색조는 고구려 전 시기를 통틀어 황색이 가장 많으나, 점차 회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중기 후반부터는 회색의 경질토기가 제작되고 이러한 전통은 발해시기까지 이어진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