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2권 한반도의 흙, 도자기로 태어나다
  • 5 조선 진경의 정수, 후기 백자
  • 01. 조선, 그리고 후기 백자
  • 백자 소유의 평등
방병선

17세기 들어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왕실만이 소유가 가능하였던 백자를 공식적으로 사대부 계층까지도 가질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왕실 뿐 아니라 일반 사대부, 나아가 백성들까지도 비록 왕실용 청화백자와 같은 고급은 아니지만 지금껏 동경에 그쳤던 분원 백자나 인근의 지방 가마에서 생산된 백자 등을 일정 재화와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

경향(京鄕)을 불문하고 상하 신분이 다른 계급이 백자라는 동일 품종의 그릇을 사용할 수 있었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하층민들에게는 고무적인 일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더욱이 추상적이고 간결한 문양에 단순한 조형의 식기류나 제기류의 제작은 지방 가마 어디에서도 가능하였고 구매비용도 그리 많이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확대보기
회회청 안료
회회청 안료
팝업창 닫기

한편, 중국으로부터 비싼 값에 사와야 하는 청화 안료인 회회청(回回靑)은 열악해진 경제 사정과 배청(排淸)감정이 팽배하였던 사상적 환경 탓에 수입이 거의 단절되었다. 대신 조선 어디서나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산화철을 안료로 사용하는 철화백자가 주를 이루게 되었다. 철화백자의 안료는 취득이 용이해서 분원이나 지방 가마 모두 철화백자 제작이 수월하였다.

숙종연간인 17세기 말로 들어서면 점차 경제력이 회복되고 청과의 상호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분원의 청화백자 생산도 재개되었다. 또한, 분원제도의 정비가 점차 본격화되고 분원에 품질 좋은 원료 공급이 원활하게 되었다.

확대보기
철화백자포도문항아리
철화백자포도문항아리
팝업창 닫기

이후 중국과 일본과의 중계 무역 등으로 부를 쌓으면서 이전에 비해 경제적, 정치적으로 그 위상이 높아진 사대부와 중인(中人)들은 왕실 전용의 청화백자에 대한 강한 소유욕구와 동경을 실천에 옮기게 되었다. 이것이 가능해 진 결정적인 계기는 분원 경영의 재정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17세기 말 분원 장인들에게 사사로이 그릇을 구워 판매할 수 있는 사번(私燔)의 허용이었다.211) 『승정원일기』 370책, 숙종 23년 윤3월 2일. 이에 따라 일반 사대부들도 비용만 지불한다면 청화백자의 취득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제 왕실 전용의 청화백자는 고급 상품으로 탈바꿈하였다.

결국 17세기 들어 전국적인 백자 생산과 철화백자의 유행은 그릇을 통한 신분 상승의 욕구를 누리고자 하였던 많은 이들에게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 셈이다. 이런 의미에서 17세기는 전쟁의 후유증이 있긴 하나 일부 왕실 전용 그릇을 제외하고 경향의 각 수요층이 보편적인 양식의 그릇을 통해 신분의 평등을 누릴 수 있었던 시기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